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N. 구밀료프의 시에 나타난 동양 테마와 모티브

        홍기순 ( Hong Kee-soon ),김성일 ( Kim Sung-il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8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4 No.-

        19세기말 20세기 초 러시아 상징주의 시인들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동양의 테마는 구밀료프를 비롯한 아크메이즘과 미래주의 시인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동양에 대한 관심은 유럽중심주의의 위기와 이에 대한 극복을 모색하는 가운데 점차 확산되었다. 구밀료프의 동양에 대한 관심은 이국적인 동경의 차원에 머무르지 않는다. 그는 동서양의 시학적 유사성뿐 아니라 형이상학적인 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구밀료프의 동양 테마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 테마는 창작 시기별로 다양한 변화를 보여준다. 초기 시에서 시인은 중국을 비실제적 내용으로 기술하고 존재하지 않는 상징적 공간으로 묘사하며, 중기 시들에서는 이전과 반대로 독특한 ‘영혼의 중국’을 보여준다. 후기 시에선 당시 러시아의 무섭고 비극적인 현실과 어떤 목가적이고 이상적인 머나먼 세계를 대비시켜 보여준다. 이는 초기 미학적 기획으로부터 파국으로 가득 찬 유럽을 등지고자 하는 시인의 말년의 염원까지의 삶의 궤적을 잘 보여준다. 구밀료프 시의 인도차이나 모티브는 동양의 이국적 정취와 자신의 법칙에 따라 살아가는 시인의 특별한 세계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 시인은 낯선 세계에 명료한 실제성을 부여하려는 자신의 아담주의(адамизм)적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인도 테마의 경우 인도의 정통교리와 유사성을 보여주는 윤회의 모티브가 핵심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실제 인도를 연상시키는 그 어떠한 특이한 유사성도 없는 독특한 정신의 발원지로서의 인도 이미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선 내용적으로 상당한 차이를 나타낸다. 끝으로 구밀료프의 일본 테마는 그것을 주된 테마로 간주했던 동시대 시인들과 달리 그에겐 단지 낯설고 먼 예술일 뿐인 부차적인 주제에 불과했다. 동양 테마에 관한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매우 흥미로운 사실을 보여준다. 즉, 구밀료프가 자신의 작품 속에서 동양에 대한 심층적이고도 다양한 관심을 보여주고 있으며 종종 그러한 주제들을 변형 및 재해석하여 제시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세계관은 결코 유럽 중심주의를 떠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The theme of the Orient, which started in earnest from Russian symbolist poets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heavily influenced on the Acmeist and Futuristic poets. The interest in the Orient has spread gradually, seeking to overcome the crisis of Eurocentrism. Gumilev’s interest in Orient does not stay in the dimension of exotic longing. He has also paid attention to metaphysical problems such as the similarity of poetics in the East and West, including the exploration of poetry, soul and spiritual world, reincarnation, and reincarnation. The theme of China, which Gumilev paid attention to the largest proportion of oriental themes, shows various changes throughout the period of his poetic creation. In the early poetries, poet describe China as non-practical facts and portray it as a symbolic space tha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poetries, Guilev shows a unique ‘Chinese Souls’ as opposed to the previous one. His late poetry contrasts the scary and tragic reality of Russia at this time with those of some idyllic and ideal faraway world. Indochina motifs in the poetry of Gumilev show the exotic mood of the Orient and the special world of poet who lives, according to their laws. In this way, the poet shows his characteristic of Adamism to give a clear reality to a strange world. The motif of reincarnation, which shows the eternal repeatability of life, is at the core of the Indian theme. The process of reincarnation of souls and infinity of similar transformations exhibit similarities with the orthodox doctrines of India, having at the same time considerable differences from the contextual point of view. Unlike the contemporary poets who regarded it as the main theme, Gumilev's presentation of Japan as a theme was only a secondary subject for him. It was just an unfamiliar art. This difference in perception based on similar experience with oriental themes presents very interesting facts. To put it differently, Gumilev unravels deep and diverse interest in the Orient in his works and often presents and reinterprets such themes, but his worldview has nevertheless never been derailed from the theme of Europeanism.

      • KCI등재

        М.Ю. 레르몬토프의 시에 나타난 조국의 테마 - ≪조국(Родина)≫과 ≪바르드의 노래 (Песнь Барда)≫를 중심으로 -

        홍기순 ( Hong Kee Soon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0 슬라브연구 Vol.36 No.1

        본 논문은 19세기 러시아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시인이자 작가 중 한 명인 М.Ю. 레르몬토프의 서정시에 나타난 조국의 테마에 관한 내용이다. 레르몬토프의 작품에서 애국적 모티브와 관련을 갖는 ‘조국’은 주요한 테마 중 하나이다. 그렇지만 이 테마는 국내에서 전문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레르몬토프에게 있어서 조국은 자신이 태어나서 자란 러시아를 의미한다. 시인은 한편으로는 러시아의 모든 것들을 사랑하였고 영광스럽게 생각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러시아를 무자비하고 잔인한 전근대적 권력이 지배하면서 모든 인간의 소망을 강제로 억압하는 농노제의 국가로 신랄하게 비판하는 이중적 세계관을 보여주고 있다. 레르몬토프의 시적 화자에게는 인간의 자유를 위한 투쟁과 폭력과 탄압에 대한 저항 그리고 조국에 대한 무한한 사랑이 운명처럼 반영되어 표현되고 있다. Ⅱ장에서는 러시아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의 경향과 각각의 특징적인 주장을 기반으로 레르몬토프가 러시아 시인과 작가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레르몬토프의 시 «조국(Родина)»과 러시아의 시인 및 작가들의 작품에 나타난 ‘조국’의 테마를 대비시켜 상호간에 끼친 영향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Ⅲ장에서는 본고의 새로운 논거로써 레르몬토프의 초기 시 «바르드의 노래(Песнь Барда)»의 문학적 근원인 야즤코프의 «러시아에서의 타타르 통치 시대의 바르드의 노래»의 내용과 시인의 창작 의도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시 «바르드의 노래»의 역사적 근원과 조국의 테마 원형에 대해서 살펴보고, 시의 내용을 소개하고 분석하면서 시인의 초기 시와 대비하여 ‘조국’의 모습과 특징들이 어떤 이미지로 묘사되어 구현되고 있는 지, 그리고 시인의 시학적 세계관이 어떻게 승화되어 가는 지에 대한 과정 등에 대해서 고찰하고 있다. 또한 레르몬토프의 시학적 세계관에 큰 영향을 준 제카브리스트 시인들의 시민 서정시의 문체론적 경향과 19세기 러시아 문학사의 큰 흐름이었던 낭만적 발라드의 특징들을 보여주는 장르적 혼재성에 대한 주제적 층위의 내용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러시아가 겪었던 외세의 침략에 따른 역사적 상황과 그 난국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발현되는 평범한 병사들의 영웅적 공적과 각각의 시에서 묘사되는 전투 현장의 참관자인 시적 화자의 역할과 공간성에 따른 유사성과 차이성을 비교하여 보여주고 있다. 레르몬토프는 초기 시작품 활동에서부터 생을 마감하는 시기에 이르기까지 ‘조국’에 관한 테마를 자신의 다양한 감정과 뉘앙스를 내포한 이중적 세계관을 통해 지속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레르몬토프의 초기 시에 속하는 «바르드의 노래»와 후기 시에 속하는 «조국»을 시인이 청년기에 창작했던 다른 시들과의 비교·분석, 그리고 러시아 문학사에 등장하는 다른 작가들의 작품과의 상호 영향 관계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또한 시인의 ‘조국’에 대한 사랑과 역사적 상황에 대한 이미지의 시학적 승화라는 측면에서 초기 시에서는 감정적 열정의 미숙함을 드러냈으나, 후기 작품에서는 조국의 이미지는 보다 안정되고 완숙한 자기만의 시학적 세계관이 반영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유의미한 작업을 수행하였다. This article is about the theme of his motherland in the poetry of Lermontov, one of the poets and writers representing Russian Romanticism in the 19th century. In Lermontov’s work, “The Motherland,” which is related to patriotic motifs, is one of the main themes. For Lermontov, his motherland means Russia, where he was born and raised. The poet, on the one hand, loves all things about Russia and admires it, but on the other, shows a contradictory attitude on the world in which he harshly criticizes Russia as a country of serfdom, where ruthless and brutal monarchy power rules and forces all human wishes. To Lermontov’s poetic narrator, the struggle for human freedom, resistance to violence and oppression, and infinite love for his country are expressed as if they were meant to be.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s of Russian scholars’ research achievements and how Lermontov influenced Russian poets and writers based on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 arguments, and how it affected each other by contrasting the themes of Lermontov’s poem “The Motherland” with the works of Russian poets and writers. This paper gives an in-depth look at Lermontov’s early poems, “The Song of the Bard.” We look at the historical sources of the poem “The Song of the Bard” and the prototype of the motherland’s theme while introducing and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poem, as well as the process of how the images and features of ‘the motherland’ are embodied and how the poet’s poetic world view is sublimated. For example, the textual tendency of Dekabrist poets to greatly influence Lermontov’s poetic world view and the contents of the subject hierarchy on the romantic ballad features that were a big trend in Russian literary history in the 19th century are being analyzed. It also focuses on the content of Yazikov’s “Song of the Tatar era in Russia,” the literary source of “The Song of Bard,” and the poet’s creative intent. It compares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of the foreign invasion that Russia experienced with the heroic exploits of ordinary soldiers in overcoming its difficulties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role and position of the poetic narrator, an observer of the battle described in each poem. In conclusion, from early start-up activities to the end of his life, Lermontov implies a variety of emotions and nuances in the duplicity of the world on his ‘motherland’. He revealed the immaturity of his early emotional passion, but in his later work, he can confirm that his motherland’s image is reflected through a more stable and mature poetic outlook on the world. This article is significant in that it deeply looks at the motif and theme of “the motherland” shown in the works of Lermontov, a subject where no professional research has been conducted not only in Russia but also in the Western countries and Korea.

      • KCI등재

        О проблеме изучения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и времени

        홍기순(Hong Kee Soo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8 노어노문학 Vol.20 No.2

        본고는 예술 텍스트의 시간과 공간의 구성에 관한 문제는 방법론 및 세계관과 관련한, 이론적이고, 역사적이고 문학적인 수많은 제 문제들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그와 동시에 그 자체가 내포하고 있는 현실성을 상실하지 않으면서도 광범위한 학문적 조망의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서정적 텍스트에서의 관점은 예술 세계의 시ㆍ공간적 구조를 제시하고, 특정한 가치 체계와 예술적 서술의 양식을 부여하고 있다. 바로 이것이 시ㆍ공간적 개념의 체계 안에서 표현되고 있는 의미상의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레르몬또프의 《기도》에는 그 시 자체가 내포하고 있는 갈등 구조 속에 세계에 대한 두 개의 시각과 두 개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첫째로 지상(인간)의 공간, 보다 정확히 표현하자면 시인의 《영혼》이 자리하고 있는 삶의 공간, 즉 시인의 삶의 공간(《ЗП》로 표기)이 있고, 둘째로 천상(신)의 공간(《НП》로 표기), 이 공간에서 시인은 단지 마음으로 그리며 생각할 뿐, 그 곳에 위치하지 못하는 곳이다. 《기도》에는 두 개의 서로 대립되는 기호론적인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그들 사이의 경계에 주인공이 자리하고 있다. 시인이 살아온 삶의 여정과 인식을 통해서 그가 직접 《ЗП》와 《НП》 사이에서 체험한 갈등에서 시의 슈젯이 시작되고 있다. 시의 주인공에게 있어서 두 공간은 필수적인 장소이지만, 각각의 공간에는 주인공이 극복하기 어려운 특징들이 자리하고 있다. 레르몬또프가 지상에서의 인간의 여정을 《ЗП》와 《НП》 사이의 경계에 있는 것으로서 정의하고 있는 점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레르몬또프의 서정적 《я》는 인간이 죽은 후에 이동할 것으로 예상되는 《ЗП》에서 《НП》로의 이동을 개인적인 파멸이라고 여기고 있다. 이것은 주인공이 가지고 있는 가장 가치 있는 것으로 예술 창조를 통해서 형성한 진리 추구의 파멸을 의미하는 것이다. 《ЗП》는 혼란 상태에 빠진 곳으로 진리가 부재하는 공간이지만, 진리에 도달하는 여정의 가능성은 여전히 가지고 있다. 레르몬또프 서정시의 주인공에게 있어서 진리에 도달하는 이 여정은 가장 가치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자유로운 선택에 기반을 두고 있다. The need to explore artistic space and time has to do with dual nature of a literary work. The artistic time and space revealed in literature belongs to most important ontology and characterize the existence of artistic world. And the artistic time and space revealed in literature belongs to epistemology as well and assumes the form of perception and awareness of reality. The issues of time and space of artistic text raise literary questions related to methodological, theoretical, historical matters. The issues also leave the door open for academic research without necessarily losing touch with the reality. The view of emotional text presents the structure of time and space of artistic world, and reveals special value system and artistic explanation. This forms the contextual message within the framework of time and space. Lermontov's "Prayer" constitutes two views and two spaces within the framework of conflicts. First is the space(ЗП) of the earth. In other words, it is the place where the poet's soul resides, that is, it is the place of the poet's life. Second is the space(НП) of god. This is the imaginary place, where the poet can not reside. The poem, "Prayer" contains two conflicting semiotic spaces. Between the two resides the hero. That is where his journey and perception of his life between 'ЗП' and 'НП', begins. The two spaces are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hero of the poem but each space contains characteristics that seem to be insurmountable. In other words, in 'НП' is the foundation of life. But the life itself resides in the darkness of 'ЗП'. As a result, the hero of the poem experiences fear and hatred before 'ЗП' and at the same time, fear the possibility of relying on 'НП'. The conflict shown in the poem is viewed as a collection of conflicts that can not be resolved and also considered individual matter of existence of the hero.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pact that Lermontov defines human journey on earth as something existing between 'ЗП' and 'НП'. A poet should keep 'Foundation of life', a creative talent in his soul and let it loose in the world dominated by Satan. The emotional T of Lermontov considers the man's movement after death from 'ЗП' to 'НП' individual destruction. This refers to the destruction of truth that has been pursed by the hero by way of artistic act. 'ЗП' is a space where there is no truth. It is a place of chaos. But it still has a possibility of reaching the truth. The journey by Lermontov to the truth is based on free choice, which is considered the most valuable thing.

      • KCI등재

        ОБРАЗ «ТУРГЕНЕВСКОЙ ДЕВУШКИ»

        홍기순(Hong Kee Soon),김성일(Кim Sung Il) 한국노어노문학회 2018 노어노문학 Vol.30 No.1

        투르게네프 소설의 핵심은 구체적인 시대를 사는 사회적 유형의 주인공들이 벌이는 개인 드라마 속에 있다. 그는 인간의 개인적 사회적 특성이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고 생각하고 자신의 주인공들을 복잡한 사회 심리적 갈등 속에 참여시켜 시험한다. 작가 특유의 소설 구성 원칙도 바로 여기에서 비롯된다. 투르게네프의 주인공들은 인생의 법칙과 자신의 개인적 운명을 숙명적인 것으로 받아들인다. 이점에서 그는 1840년대의 자유주의 인텔리겐치아를 전형적으로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투르게네프 소설의 사랑의 슈제트는 개인과 사회의 복잡한 변증법을 잘 드러내준다. ‘투르게네프의 여성’은 운명적으로 만나게 되는 남자주인공보다 정신적으로 더 강인하다. 루진의 나탈리야 라순스카야가 그 유형이다. 그녀가 제기하는 행동 모델은 발생학적으로 푸시킨의 타찌야나를 원형으로 한다. 작가의 여주인공은 사랑에 의해 눈을 뜨게 되고 각성된 성질의 모든 아름다움과 힘을 드러내면서 남자주인공에게 독특한 ‘시금석’과 생생한 시련이 된다. 러시아문학의 해방사상과 관련하여 투르게네프는 새로운 유형의 여성을 창조해낸다. 전야의 옐레나 스타호바가 바로 그 유형이다. 이전의 여주인공들과 확연히 변화된 그녀는 ‘투르게네프의 여성’의 본질을 결정짓는다. 그녀는 ‘적극 선’을 추구하는 가운데 기꺼이 자신을 희생한다. 그녀는 여성의식의 각성을 본질로 하는 조르지 상드의 여성사상을 반향하고 있다. 아울러 풍경은 투르게네프의 이전 작품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두 작품에서도 아주 중요한 심리적 기능을 수행하며 자연은 주인공들의 심적 체험을 ‘동반하며’ 그들의 성격을 드러내는 수단으로 작용한다. 투르게네프의 작품들 속에서 ‘여성 텍스트’는, 비록 슈제트와 구성의 중심을 이루지는 않지만, 투르게네프의 전체 비관주의적인 세계관 속에서 유기적인 일부를 이룬다. 그것의 의미는 러시아 여성의 형상을 창조해낸 사회역사적 측면으로 종결되지 않는다. 심층적인 측면에서 볼 때 ‘여성 텍스트’는 당대의 독자들의 인식과 일치되지 않는 자신의 ‘주요 의미’를 드러낸다. 이 ‘주요 의미’는 텍스트내적 연관성 그대로 역동적인 상호텍스트적 연관성에 의해서 포착된다. The core of the novel is in a personal drama, starring in the social types that live in specific times. He thinks that the pers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are inseparable. Therefore, Turgenev tests his or her subjects by participating in complex social psychological conflicts. The principle of composition of a novel is also derived here. The main characters of Turgenev accept the laws of life and their personal fate as fatal. At this point, he can represent a typical representation of liberal intelligence in the 1840s. The love plot of the Turgenev novel, reveals the complex dialectics of individuals and societies. "The woman of Turgenev" is mentally stronger than the male character who is destined to meet. Nataliya Lasunskaya of <Rudin> is that type. The behavioral model she poses is embryologically circular with Tatiyana of the Pushkin. The heroine of the artist is opened by love and reveals all the beauty and power of the awakened nature and becomes a unique "touchstone" and a vivid trial for the heroine. In connection with the liberation ideology of Russian literature, Turgenev creates a new type of woman. That"s the type of Yelena Stakhova of <On the Eve>. The woman, who has been transformed with the heroines of the past, determines the nature of the woman of Turgenev. She is willing to sacrifice herself in pursuit of "the good." She is echoing the idea of George Sand of awakening in a woman"s consciousness. In addition, the landscape plays a very important psychological function in these two works as well as in the previous works of the Turgenev, and nature acts as a means to "accompany" and reveal the nature of the protagonists" mental experiences. In the works of Turgenev, the "female text" forms an organic part of Turgenev"s whole pessimistic world-view, although it does not form the center of plot and composition. Its meaning does not end with the socio-historical aspect that created the image of Russian women. From a depth perspective, the "female text" reveals her own "major meaning" which is inconsistent with the perceptions of contemporary readers. This "main meaning" is captured by dynamic intertextual relevance as it is with text interrelationship.

      • KCI등재

        F.M. 도스또옙스끼의 종교ㆍ철학적 체계의 특수성 고찰

        홍기순(Hong Kee Soo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2

        도스또옙스끼는 현세(現世)에서의 인간의 지위와 존재의 의미에 관한 자신의 ‘영원한 질문’에 대한 대답을 구하기 위한 복잡한 탐색 과정을 겪었다. 작가에게 있어서 그리스도교와 성서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는 자신의 종교적 예술적 원칙들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영적 및 정신적 방향지침들 중의 하나였다. 작가에 의해서 묘사된 모든 이념들의 해석을 위한 유일한 열쇠는 신앙이었고, 그의 정신적 도덕적 추구 과정은 인류가 지향해야할 삶의 궁극적인 의미였다. 또한 아름다움은 진리의 의미에서 나타나는 선의 외형적 활동의 형태이다. 바로 이것이 도스또옙스끼 창작 세계관의 근본적인 초석이자 ‘토대’이며, 작가의 종교 철학적 교리의 중심이다. 따라서 도스또옙스끼에게 있어서 아름다움은 미학적인 것이라고 하기 보다는 오히려 존재론적 범주에 속한다. 도스또옙스끼의 세계에서 인간의 어떤 행위의 근저에는 바로 선과 진리와 관련된 아름다움에 관한 통달의 원칙이 자리하고 있다. 인류가 우주 공간 속에서 통달한 문화적 경향의 모든 고찰들이 도스또옙스끼의 창작 속에서 최대한의 가치를 부여받고 있는 것이다. 도스또옙스끼의 특성은 철학과 이념을 소설을 통해서 제시한다는데 있다. 사실 그의 작품들은 문학 작품의 형태로 구성된 철학적 창작이다. 도스또옙스끼는 그 자신이 수난을 당하고, 그 자신이 고통스럽게 체험했던 그런 문제들을 가지고 자신의 주인공들이 괴로워하기를 강요하면서, 그 문제들을 자신의 주인공들로 하여금 해결하도록 위임하고 있다. 또한 도스또옙스끼는 우주와 지상에서 인간을 확인시켜 주고, 인간을 구원해 주는 가장 중요한 힘으로 간주되는 사랑에 대해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였다. 도스또옙스끼는 러시아와 세계의 사고(思考)의 역사에서 새로운 시기의 근원이라고 간주될 수 있다. 그의 가장 중요한 업적으로는 정신적인 문제가 직접적으로 종교적인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영적 존재의 가장 복잡한 문제들은 사람들이 끊임없이 접하게 되는 가장 평범한 상황들과 함께 하는 것처럼 생각하게 만든 점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뿌쉬낀(А.С.Пушкин) 작품의 영상화 연구

        홍기순(Hong Kee Soo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노어노문학 Vol.19 No.1

        본 연구는 러시아 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가장 많은 작품이 영상화 된 뿌쉬낀의 문학작품(“대위의 딸”)을 영화 예술과 비교 분석한 것이다. 이는 문학 작품이 영상화되면서 나타나는 특징에 대한 연구를 통해 문학과 영상 예술에 대한 공존적 발전 관계를 밝히고자 함과 동시에, 문학과 영화의 차이와 특성을 밝힘으로서 각각의 독립적인 예술 장르적 이해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뿌쉬낀의 원작 소설 “대위의 딸”과 역사적 작품인 “뿌가쵸프 역사”를 근원으로 제작된 두 편의 영화 “대위의 딸(1959)”과 “러시아 폭동 (2000)”를 비교 분석하여, 소설과 영화에서 나타나는 텍스트 해석의 차이와 그런 결과를 야기하는 시대적인 배경 및 영상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형과 각색, 그리고 이 두 영화의 감독들의 연출 의도 등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현재 뿌쉬낀 작품에 대한 지속적인 재해석 작업은 단순히 문학 분야에서만 진행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영화는 물론 연극, 발레, 오페라 등의 다양한 종합 예술 영역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문학적 상호 텍스트성이 영역을 확대하여, 예술 장르간의 상호텍스트성의 양상으로 발전되고 있는 현실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는 문학과 영화 작품의 구체적인 비교 분석이라는 측 면에서 나름대로 의미있는 작업이라 하겠다.

      • KCI등재

        L. 톨스토이의 소설 『카자크인들』에 나타난 자연

        김성일 ( Sung Il Kim ),홍기순 ( Kee Soon Hong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4 世界文學比較硏究 Vol.48 No.-

        Completely depressed by the world around themselves, numerous literary heroes in the 19th century Russian literature daringly escaped into the regions of the so-called Caucasus in order to discover their own identity. Likewise, some of Tolstoy`s protagonists take the same path, following their predecessors. The Cossacks written at the time of the writer`s philosophical and religious turning point has been observed from the perspective of both Tolstoy`s philosophical and artistic system and the description of nature. This point is discovered in the image of ‘the mountains,’ ‘landscape of the mountains, and deer and cave,’ and of the figure of Eroshka in the story. Struggled with the upper society at the time, the protagonist-romantist Olenin ran into this exotic Caucasus region; the fugitive Olenin faces the first morning and was drawn to the magnificent nature and its beauty. From this unique experiences, the hero`s consciousness changes and he is full of pleasure unlike his past doings. In short, Olenin`s entire life and identity, it seems, undergoes a total new makeshift. One of most significantly, Olenin`s self-identity takes place when he and aged Eroshka went hunting in the middle of the forest and deer cave. Isolated in the forest, the hero, Olenin recognizes that all human beings and creatures die in destiny and finally what happiness is. The oneness with the nature, the climax of this story, is forged in the figure of Eroshka, the aged hunter. Undoubtedly, the figure of Eroshka is a typical example of the oneness between people and the nature. Olenin`s settling down in the Caucasus region turns out a failure; he turns back to which he belong, the urban and civilized world. He was not successful in discovering of self-identity. In this way, the story, in which Olenin experiences the nature and the Cossacks, tells us that hi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world and of specifically this exotic nature is not fused into this primitive, but natural and realistic one. 19세기 러시아 문학에 있어 카프카스 지역은 많은 작품의 주인공들이 자신이 속한 세계에 절망하여 도피하기 위해 혹은 새로운 의미를 찾고자 떠났던 문학적 공간이었다. 톨스토이의 주인공들 역시 자신의 전임자들이 떠났던 그 길을 뒤따라갔다. 『카자크인들』의 주인공 올레닌은 모스크바 상류 사회에 환멸을 느끼고 카프카스로 떠난다. 그곳에서 그는 아침녘 하늘과 산이 어우러지는 자연의 전체성의 장엄함과 아름다움에 매료되어 새로운 인식의 변화와 삶의 즐거움, 자신의 사명 등을 깨닫게 된다. 톨스토이의 철학적 탐구의 전환기에 쓰여진 소설 『카자크인들』은 작가의 사상적 예술적 시스템의 모델로 간주되며 자연을 비롯한 풍경묘사는 이 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한 결정적인 입장으로 검토된다. 『카자크인들』에서 이러한 자연(문학적 풍경)의 특징은 카프카스 ‘산’의 정경과 ‘사슴 굴’, ‘예로슈카’의 이미지 등을 통해 잘 드러나고 있다. 소설의 주인공인 낭만주의자 올레닌은 자신을 둘러싼 상류 사회와의 갈등이 깊어지면서 카프카스로 탈주해 온다. 카자크 영토에서 맞은 첫 아침 그는 하늘과 산이 어우러지는 자연의 전체성의 장엄함과 아름다움에 매료된다. 이 경험을 통해 올레닌의 세계인식은 새롭게 변화되며, 그의 삶은 과거와 달리 새로운 즐거움으로 충만하게 된다. 이로써 그는 자신의 진정한 사명을 깨닫고, 카자크 세계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올레닌의 낭만적 자기동일성의 체험은 그가 나이든 카자크 예로슈카와 함께 사냥 나갔다가 발견한 숲속의 사슴 굴에서 이루어진다. 자연과의 단둘만의 상황 속에서 그는 모든 육체적 존재의 동족성과 필멸성을 깨닫고, 자신의 진정한 행복과 자기희생의 열망에 사로잡히게 된다. 하지만 그의 이러한 깨달음과 열망은 이성과 에고이즘의 산물일 뿐이다. 자연과의 진정한 합일은 소설의 가장 긍정적인 인물들 중 하나인 예로슈카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그는 내적 가치를 소유한 자연에 가장 가까운 사람이며, 카자크의 산악 세계의 고유한 일부분이다. 그는 작가의 관점을 가장 잘 보여주는 근본적인 표현자이며 그의 세계관의 토대는 인간을 자연계의 일부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예로슈카의 이미지는 민중의 자연적 삶의 융합의 전형적 예이다. 도피자로서 올레닌의 카프카스 정착은 실패로 돌아가고, 카자크들로부터 외면당하게 된다. 그는 자기동일성을 찾지 못한 채 그곳을 떠난다. 자연과 카자크인들에 대한 올레닌의 체험은 그의 관념과 낭만주의적 성격으로 인하여 사실주의적인 방향으로의 용해가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