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암스테르담 재생 호텔의 맥락적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장선아 ( Chang¸ Suna ),한태권 ( Han¸ Taekwon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국제사회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비즈니스와 관광을 위한 호텔산업의 급속한 발전을 가져왔다. 이러한 배경 아래 국내에서도 서울을 중심으로 호텔신축이 빠르게 증가하였지만, 대다수의 대형 브랜드 호텔은 획일화된 디자인과 정형화된 서비스공간으로 되어있어 도심 속의 역사적 장소성을 기대하고 찾은 해외 방문객들을 충분히 만족시키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역사·문화자원 보존정책의 철저한 실행을 통해 전통적인 요소의 맥락적 디자인 특성들을 잘 살리면서 현대적인 요소들이 어우러지도록 잘 관리되어있는 도시 암스테르담의 사례를 통해서 지속 가능한 재생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및 범위) 연구 범위는 암스테르담 정부의 재생프로젝트로 유휴화된 지역의 역사적, 장소적 맥락성을 디자인에 반영하여 재생디자인 하여 복합문화 예술 단지로 주목받고 있는 De Hallen complex 지역과 NDSM Wharf 섬에 있는 호텔들을 선정하고 재생디자인 호텔에서 나타나는 맥락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도시재생 및 역사적 관계성과 관련된 문헌과 참고서적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맥락적 특성의 기준을 제시한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한 재생디자인의 맥락적 관점을 중심으로 크게 시각적(형태적) 요소, 비시각적(의미적) 요소로 분리하여 각각의 요소에 특성들을 도출한다. 셋째, 선정된 건축물들이 가지고 있는 디자인 공간을 앞서 도출된 맥락적 요소들의 관점으로 특징을 분석틀과 함께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선정 건축물과 주변 환경들과의 관계를 고려한 장소적 지역적 특성들을 재생디자인 관점에서 재검토하여 유휴공간을 호텔로 재생 디자인할 때 맥락적 특성들을 활용하여 문화적, 예술적 가치를 높이는 방법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결과) 사례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암스테르담의 새로운 문화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는 두 지역은 방치되고 있는 유휴공간을 장소가 가진 역사적 맥락성을 잘 활용하여 특성을 가진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재생 디자인함으로써 지역 경제의 회복과 활성화에 성공한 좋은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결론) 본 연구는 오랜 역사를 가진 도시들에서 증가하고 있는 재생 건축되는 호텔을 위한 디자인 방향을 제안함에 있어 맥락적 관점으로 도출한 디자인 특성들이 반영된 공간구성 예시를 활용하여 향후 노후화된 지역의 호텔산업의 재생디자인 방향과 더불어 복합문화공간과의 연계성을 통한 공간 계획의 기초연구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impact of globalization and its active exchanges continue to increase, the hotel industry has developed for both business and leisure tourism. Due to this phenomenon, Seoul has experienced a surge in hotel construction. However, most big-name hotel brands have homogenous designs and standardized services, thereby creating challenges for foreign visitors who wish to experience the cultural history of a city through the design of the hotel spac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direction of sustainable renewable design in Amsterdam, a city that successfully harmonizes modern elements while still making good use of its traditional elements by implement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preservation policies. (Method) This study reflects the historical and spatial context of the idle area that was used in the Amsterdam government's regeneration project for the design and selection of the De Hallen complex and NDSM Wharf Island hotels; these spaces are now attracting attention as complex cultural and artistic complexes, and deriving contextual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regenerative design hotels. For the research, literature and reference book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and historical relationships are first theoretically reviewed, and the criteria for contextual characteristics are presented. Second, through precedent research that focused on the contextual perspective of regenerative design, characteristics are derived from each element by largely dividing them into visual (physical) and non-visual (meaningful) elements. Third, the design space of the selected buildings is organized along with the analysis fram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textual elements. Lastly, by considering the relation of the given space and its environmental / regional features, the study re-examines the important contextual characteristics that can increase the cultural and artistic value of spaces through the process of regenerative design.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the two regions emerging as new cultural areas in Amsterdam are a good example of a successful recovery and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by redesigning neglected idle spaces into spaces that provide new experiences with characteristics by utilizing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place. (Conclusions) This study proposes design directions for hotels that are being regenerated and constructed in historical cities. We hope that using examples of design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a contextual point of view will inform basic research on spatial planning through its connection with the complex cultural space.

      • KCI등재

        石濤의 ‘一’과 노자의 ‘道’ 비교분석

        장선아(Suna Chang) 한국도교문화학회 2012 道敎文化硏究 Vol.36 No.-

        石濤의 ?畵語錄?은 유·불·도의 ‘三敎一致’ 사상을 폭넓게 수용한 동양예술론을 대표하는 저서이다. 석도 미학에 있어서 핵심은 무엇보다 ‘一劃論’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그의 일획론은 老子의 道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 본 논문에서는 석도의 일획과 노자의 도 사이의 유사점을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그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자의 도는 일종의 혼돈으로서 무한한 만물을 창출하는 가능태인데, 석도가 말한 墨 역시 무한한 萬象을 드러내는 일종의 혼돈으로서 ?을 통해 무한한 만상이 드러난다고 보았다. 둘째, 노자는 우주 생성을 ‘무 → 유 → 만물’의 전개과정으로 보았는데, 석도 역시 회화예술을 ‘無法 → 有法 → 衆法’의 전개과정으로 보았다. 셋째, 노자는 無에 根源性?統一性?通性?虛性이란 특징을 갖고 있다고 보았는데, 석도 역시 일획에 根源性?統一性?通性?虛性이란 특징을 갖고 있다고 보았다. 즉 일획은 만법과 만상의 근원이며, 하나로써 다양한 만물을 관통하며, 막힘이 없이 자유자재로 운동변화하며, 편견 없이 사물을 받아들인다고 하였다. 넷째, 노자는 변화?무위?자연?생명?자유?창조성?개별성을 중요시하였는데, 석도 역시 이것들을 중요시하였다. 총괄적으로 말하면, 석도는 일획론을 통하여 무한한 만물을 창조하는 가능태로서의 墨, 일체의 속박 없는 逍遙의 경지, 다양성의 창조적 표현, 개별의 주체성, 주체와 객체의 合一을 추구하고자 하였는데, 이러한 예술론의 저변에는 노자의 사상이 흐르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