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만공(滿空) 문하 견성암과 환희대의 비구니 문중에 관한 일고

        한운진 ( Han Oonjin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023 전자불전 Vol.25 No.-

        수덕사를 중심으로 한 비구니 법맥(法脈)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한국불교의 절반을 차지하는 비구니 문중과 관습으로 실행되고 있는 사자상승(師資相承)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한국의 비구니 문중 가운데 특히 덕숭총림 수덕사 견성암과 환희대의 사자상승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 방법은 통시적인 고찰로, 시간 순서에 따라 부처님 당시 설립된 최초의 비구니 교단을 살펴보고, 이어서 한국의 비구니 교단, 그리고 견성암, 환희대 비구니 문중의 순으로 살펴보았다 한국의 비구니 법맥은 비구 교단과 동일하게 은사에서 제자로 이어지는 세계(世系)의 상속이 이루어지고 있다. 세계 법연의 전승은 선가의 전승 방식이 사용되었다. 다만 비구니 문중에서는 전법게(傳法偈)라는 형식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그러나 입실면수(入室面授)라는 전통은 끊이지 않고 지켜나가고 있었으며, 임종게(臨終偈)를 보여주기도 하였다. 수덕사를 중심으로 한 비구니 문중은 전국에 퍼져 있으며, 수덕사에 뿌리를 내리게 된 경우가 가장 많다. 수덕사에서 만공 문하에서 선지를 배운 비구니 선승이 번성하게 되었으며, 이를 중심으로 비구니 교단의 법맥이 형성되었다. 다음으로 덕숭총림 수덕사 비구니 문중 가운데 견성암, 환희대, 견성암에서 분화한 만성계열에 관해 소개하였다. 본 고를 통해 수덕사를 중심으로 한 비구니 문중은 사자상승을 통해 전승되고 있으며, 이는 혈연이 아닌 법연으로 이어졌음을 이해할 수 있었다. 다만 혈연 중심의 사회적 관습이 여전히 강한 힘을 발휘하고 있음도 알게 되었다. 불교의 사자상승이 사회문화적으로 공인되고 관습법으로 인정 받기 위해서는 공론화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사자상승의 현황을 알리는것이 중요함을 주장하였다. It deals with the transmission of nuns centered around Sudeoksa Temple. I looked into the nuns’ clans that occupied half of Korean Buddhism, and especially Gyeonseongam and Hwanheedae of Sudeoksa in Deoksungchonglim. I studied the research in chronological order from nuns’ clans which were established at the time of Buddha to the nuns clan in Korea, and then the nuns clan of Gyeonseongam and Hwanheedae. The nuns’ clans of Sudeoksa are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and most of them have taken root at Sudeoksa. Nuns who learned Zen under Mangong at Sudeoksa are prospered and Buddhist doctrine of nuns was formed around them. Next, I introduced Gyeonseongam and Hwanheedae among the nuns clans of Sudeoksa in Deoksungchonglim. Through this study, we understand that nuns’ clans centered around Sudeoksa have been handed down, and it was connected through Buddhist doctrine, not blood relations. However, we also learned that social customs centered on blood relations still have strong power. It is necessary to discuss in public in order to get social and cultural recognition for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and to be recognized as customary law, and I pointed out the importance to inform the current status of transmission of teacher and pupil.

      • ≪경허집≫으로 보는 한국불교의 수행문화

        한운진 ( Han Oonjin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022 전자불전 Vol.24 No.-

        본 논문은 ‘근대 선불교의 중흥조’ 경허 선사를 오롯이 보려는 일련의 시도이다. 텍스트는 ≪경허집≫이며 이를 통해 한국불교의 수행문화를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은 불교의 기본 수행으로 간경, 참선, 염불, 지계를 상정하고 이것이 한국불교의 특징인 선교의 융합, 정토로 경허의 사상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 분석은 시를 제외한 3편의 문장으로 시도하였다. 첫째 <함께 정혜를 닦아 함께 도솔천에 나서 함께 불과를 이루는 계사를 결성하는 글(結同修定慧同生兜率同成佛果稧社文)>에서 선교의 응용과 미륵정토 사상을 논의했다. 둘째 <진흙소의 울음(泥牛吼)>에서는 경허 스님의 참선 지도와 육바라밀의 해석을 살펴보았다. 셋째 염불과 지계는 <등암화상에게주다(與藤菴和尙)>에서 살폈다. 염불은 정심염불(定心念佛), 지계는 대승계를 주장한다. 경허의 문장의 특징은 꾸미지 않고 자연스러우며 통쾌한 의미로 일갈하는 문체로 가히 선가의 일필휘지이다. 그렇지만 때로는 대화체를 사용하여 후학들을 자상하게 일깨운다. 경허는 문장으로 후학을 깨우치는 한편 몸소 수행하고 지도하여 한국 근대 선불교를 다시 일으켰다. This study is a series of attempts to study Gyeongheo unbiasedly, the Joongheungjo(中興祖) of modern Zen Buddhism. Text is Gyeongheo-jip≪鏡虛集≫ and through this, the performance culture of Korean Buddhism was studied. The basic performances of Buddhism are kangyeong(看經), Zen meditation(參禪), Yeombul(念佛), and Jigye(持戒). The study examines how this was implemented in the ideology of Gyeongheo, the convergence of missionary work and Jeongto(淨土),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Korean Buddhism. A specific analysis was attempted in three sentences excluding poetry. First, the Seongyo(禪敎) application and the idea of Maitreya Jeongto(彌勒淨土) were discussed in the <結同修定慧同生兜率同成佛果稧社文>. Second, in <泥牛吼>, I looked at Gyeongheo's meditation guidance and interpretation of Yukbaramil(六波羅密). Third, Yeombul(念佛) and Jigye(持戒) were examined in <與藤菴和尙>. Yeombul(念佛) is a 定心念佛, and Jigye(持戒) claims a Mahayana sila(大乘戒). Gyeongheo's sentence is characterized by an unpainted natural and cool style. Sometimes a dialogue is used to remind younger students in detail. Gyeongheo revived modern Zen Buddhism in Korea by awakening his juniors with sentences and practicing and guiding in person.

      • KCI등재

        ≪대당삼장취경시화교주(大唐三藏取經詩話校注)≫의 번역과 주해(1) ― ≪대당삼장취경시화(大唐三藏取經詩話)ㆍ상(上)≫의 제1절부터 제3절까지

        박원기 ( Park Wonki ),한운진 ( Han Oonjin ),김희경 ( Kim Heekyoung ) 중국어문연구회 2018 中國語文論叢 Vol.0 No.90

        This paper is aimed at translating the whole of Poetic Tale on Going Pilgrimage for Buddhist Scripture of Tang Sanzang (大唐三藏取經詩話, here after Poetic Tale). This is a famous Vernacular novel during the Song Dynasty of China, but its creation time and processes are still unclear. Although the theory for the creation of the Song Dynasty are generally required, there are also theory for the creation of the Tang dynasty and the creation of the Won Dynasty. It is claimed to have a literary aspect similar to that of Bianwen. And from a linguistic point of view, there are all aspects of the language of the Tang dynasty, the Song Dynasty and the Won Dynasty. In short, the book has complex and transitional properties. For this reason, Poetic Tale has a very important literary and linguistic value. Research into this book can reveal the process of changing literary genres from Bianwen to pictorial novels. Studies of the book can also reveal changes in language during the Tang, Song and Won Dynasties. In particular, since the study of this book is incomplete in Korea, we expect this translation to be of great help to the study of this book in Korea. In addition, this translation is expected to help a lot in the study of A Journey to the West (西遊記) in the Chinese literary academic world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