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계고 학업성취도에 대한 시·도교육청의 영향 분석

        하정윤(Ha, Jungyoun),강지연(Kang, Jiyeon),최진숙(Choi, Jinsook),김대명(Kim, Daemy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고의 학업성취도(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국어·영어·수학 교과 보통학력 이상 도달 비율)에 대한 시·도교육청의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학업성취도는 교육청 변인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가, 둘째, 단위학교 학업성취도 차이는 교육청의 어떤 변인들로 설명할 수 있고, 그 설명력은 어느 정도인가이다. 단위학교 및 시·도교육청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정 하에 2수준 다층모형으로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시·도교육청에 의해 설명되는 학업성취도 차이는 12.330%로 확인되었다. 둘째, 단위학교 수준의 변인을 통제한 후, 시·도교육청 변인들에 의한 학업성취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교원연수 활성화 노력, 교사의 교육전념 여건 조성 노력, 학교 기본운영비 확대 비율, 교육환경개선 사업비 투자실적 비율이었다. 그리고 일반계고 학업성취도에 대한 시·도교육청 수준의 설명력은 60.74%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시·도교육청 수준의 변인들이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된 바, 시·도교육청의 권한과 기능 변화에 따른 정책과 재정 변인들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앞으로 시·도교육청 수준의 다양한 변인을 활용한 실증연구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ratio of achieving above the average score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t general high schools. The variables affecting the academic achievement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those of the schools and those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is study is designed for a multi-level analysis of level two under the hypothesis including variables of the schools and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at can affect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variances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by academic achievement were 12.330%. This means that the difference of academic achievemen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econd, after controlling for school-level variables, the differences betwee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measured by academic achievement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cademic achievement rat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variables depending upon factors such as the effort to revitalize teacher training, the efforts to create teachers devotion to education, the increase in the basic operating cost of the school, and the ratio of investment to educational environment improvemen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level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general high schools was found to be 60.74%.

      • KCI등재

        학생의 강의 만족 및 불만 요인은 무엇인가? : A대 서술형 강의평가 자료를 중심으로

        하정윤 ( Ha Jungyoun ),나민주 ( Rah Minjoo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논총 Vol.38 No.3

        본 연구는 서술형 강의평가 자료에 나타난 대학생들의 강의 만족 요인과 불만 요인을 분석하여 수업의 질 개선에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최근 대학에서는 정량적인 강의평가 점수보다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과 요구사항을 내포하고 있는 서술형 강의평가 자료를 분석하여 활용하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이는 강의평가의 주체인 학생들의 의견을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함으로써 실제 수업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변화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술형 강의평가에서 나타난 대학생들의 강의 만족 요인과 불만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서술형 강의평가 자료에 나타난 학생들의 강의의 질 개선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A대학에서 2016학년도 1학기에 두 차례 실시한 학생들의 서술형 강의평가 자료를 질적 연구분석도구인 NVivo 1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교수자의 내용 설명력이 높을 때 학생들은 강의에 만족하고, 수업내용 난이도가 적절하지 않을 때 불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개별 교수뿐 아니라 유관부서에서 수업의 질 개선을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노력을 수행해야 하는지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contributes to the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of class lectures with priority given to the students` descriptive evaluation of lectures in a university.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attempts in Korean universities to analyze and utilize descriptive lecture evaluation materials that contain the diverse opinions of students on class lectures and their academic needs. That would be a significant change in that it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instructions by reflecting on opinions of students. The authors utilized the NVivo 11analysis tool for qualitative research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descriptive lecture evaluation materials were written by students at a university and collected twice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16 and were subsequently analyze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lectures they attended when the teachers gave better explanations of the content of the lectures. The students were more dissatisfied when the degree of difficulty of the lectures was not appropriate. Also, this study suggests efforts professors and related departments should make to enhance the quality of instruction.

      • KCI등재

        대학생 핵심역량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의 차이 분석

        하정윤(Jungyoun Ha),김정민(Jeongmin Kim),강지연(Jiyeon Kang),차지철(Jicheol Cha)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핵심역량에 따른 진로 변인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대학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설계·운영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K-CESA 진단도구를 통해 대학생 핵심역량을 확인하였고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 등의 검사 결과를 수집하여 대학 유형에 따른 변인들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일원변량분석과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대학생 핵심역량의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 의사소통역량은 4년제 대학생들보다 지방 전문대 학생들이, 자원·정보·기술활용역량과 글로벌역량은 4년제 대학생들이 더 높은 역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 변인들은 대학 간 차이가 분명히 나타나지 않았지만, 진로장벽 변인은 수도권 4년제 대학생들이 지방소재 4년제 및 전문대 학생들에 비해 더 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역량 상위집단 학생들이 하위집단 학생들보다 높은 수준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을 보였고, 낮은 진로장벽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에서 일률적이고 단편적인 진로 프로그램보다는 학생들의 핵심역량과 진로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한 진로 프로그램을 설계·운영하는 것이 대학생들의 진로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get necessary information for designing the systematic and practical career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by checking the differences among core competency of collegiate and career variables. In order to do that, the core competence of collegiate was identified through 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K-CESA), and the survey results abou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career barriers were collected. And then the data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differentiate relationships among core competency of collegiate and career variables, based on the university types and the locati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ANOVAs and t-tests using the SPSS 21.0 program.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ly,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collegiate essential skill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s. Secondly, the students at metropolitan four-year universities feel more difficulties primarily in the variable of career barriers than the students at local universities and students at colleges. Thirdly, the students of high rank at core competence showed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n the students of low rank, and they feel less difficulties in the matter of career barrier. This study shows that in order to support students career efficiently, it is necessary for each college and university to design career program by considering the core competency and the level of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s, instead of providing them with a unified and fractional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