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우울증상 분포

        하운식(Unshik Ha),전덕인(Duk-In Jon),홍현주(Hyun Ju Hong),정명훈(Myung Hun Jung),김미경(Mi Gyeong Kim),홍나래(Narei Hong) 대한노인정신의학회 2015 노인정신의학 Vol.19 No.2

        Objective: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Methods:Through a community mental health mass screening program in senior society, 197 elderly were evaluated for de-pressive symptoms with Korean version of 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K). The subjects were grouped into nor-mal or caution groups with a cut-off score of 6. The response rate and odds ratio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in each ques-tion. Results:Although they had low total score, many subjects in normal group have the symptoms of the question 2, 13, 5, 10, 7, 4 (in order). Question 12, 6, 8, 4, 14, 3 (in order) showed higher odds ratio in caution group than normal group. Questions be-longed to a factor ‘general depressive mood’ scored much higher odds ratio than the other. Conclusion:Even the elderly with low score in SGDS-K might complain of symptoms such as decreased level of energy, ac-tivities, interests, and memory. However the subjects with high score tend to report feeling more worthless, afraid, helpless, bored, hopeless, and empty. It can be helpful to know the distribution of depressive symptoms for providing careful mental health ser-vice to the elderly dwelling in the communities.

      • KCI등재

        유방암 환자와 보호자의 디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단기심리개입 프로그램의 개발: 예비분석을 통한 적용가능성 평가

        한수완,정소연,이현정,하운식,신영선,김종흔,유은승 한국건강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6 No.4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reduce the distres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breast cancer patients and caregivers. A short-term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practicability through a pilot study. In response, a three-session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Better Together’) was developed and a pilot study was conducted in breast cancer patients and caregivers under treatment. Pre, post, and 1month follow-up assessments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changes in the level of depression, distress, quality of life, marital intimacy of the patients and care givers, the care burden of the caregiver, and the patient social support. The satisfaction assessment and subjective reports of the program validated the usefulness of the program. During the recruitment period,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program was 8.7% and four couples who completed the program were analyzed. As a result, depression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quality of life was increased in patients with a large level of effect size(d=-1.23–3.45). Both the patient and caregiver reported an increase in marital intimacy. While the caregivers’ care for patients was increased, depression and distress did not show any increase.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usability of the ‘Better Together’ program in clinical settings and its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 환자와 보호자의 디스트레스(distress)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단기 심리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범 적용을 통해 효과와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암환자와 보호자가 함께 참여하는 3회기 심리상담 프로그램(‘Better Together’)을 개발하였고, 치료 중인 유방암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예비 연구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전과 후, 1달 후 추적 평가를 통해 환자와 보호자의 우울과 디스트레스 수준, 삶의 질, 부부친밀도, 보호자의 돌봄 부담, 환자의 사회적 지지도에서의 변화를 평가하였고, 프로그램 종결 후 만족도 평가와 주관적 보고로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대상자 모집 기간 중 프로그램의 참여율은 8.7%였으며, 이들 중 프로그램을 모두 마친 4쌍의 사례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 후 환자의 우울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고,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아져 큰 수준의 효과크기(d=-1.23∼3.45)를 나타냈다. 환자와 보호자 모두 부부 친밀감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프로그램 후 보호자는 환자에 대한 돌봄이 증가하였지만, 우울과 디스트레스는 증가하지 않는 양상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 현장에서 Better Together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과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