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함양을 위한 PBL 중심의 공간디자인 연구

        하숙녕,장은지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8

        (Background and Purpose) Today, the policie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focus on introducing an education system to nurture creative convergence talent. Among the educational methods for developing these abilities, PBL is recognized as an effective educational alternative to develop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rive implications through the entire design process and the completed results to develop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through a PBL-applied class model in the education field of Shop Space Design. (Method) This study first establishes the basis of the instructional model through PBL-related literature. Second, it applies the designed class model to the “Shop Space Design” course to second-year students majoring in spatial design at a university in Korea. Third, it conducts a survey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evaluates and analyze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nd derives the applicability and implications of the PBL instructional model. (Results) The survey showed that satisfaction was generally high in the evaluation at each stage of the class. In the first stage of planning, the second plan drafting was as high as 94%. In this process, it is judged that students who had no experience in the field solved a problem through the process of acting and observing on their own while exploring and checking the space. In the second stage, the process of reconfirming the problem and deriving a solution, it was found that the continuous feedback of the instructor facilitated problem-solving. In the third stage of evaluation, more than 94%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it was helpful in developing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final presentation, evaluation, and final panel stage. Finally, it is considered a significant step for problem solving that shows results by making efforts until the end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of the students themselves to solve community problems through the entire process of planning, checking, implementing, and solving. (Conclus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pplying a learner-centered class model in the process of finding and solving problems in the community, and its significance is to verify it through the evaluation of factors and results for problem-solving abilities by applying it to the actual education field.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serve as a basis for continuous instructional model development in spatial design major courses in the future.

      • KCI등재

        지속가능한 공간을 위한 재료 활용 웹 디자인 개발

        하숙녕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기술 문명 지향의 산업사회가 야기한 환경 문제를 해결하려는 대안으로써 환경에 아무런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지속성이 있거나 모든 제품이 수명이 다한 후에도 다른 용도로 쓰이기 위해 재사용할 것을 적극 권장하고 있으며, 나아가 지구 환경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대처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간을 디자인함에 있어 사용된 후 버려질 산업제품이나 이미 사용했던 자원들을 다시 사용하기 위해 원활한 공급과 수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사용 재료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해결방안으로 재료 웹사이트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디자인 개발범위는 다양한 재사용 재료들의 정보자원의 역할로써 웹상의 맵(Map)을 통해 편리하게 공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웹 서비스 구축을 위한 디자인 개발의 범위로는 재사용 재료(Re-used Material)에 중점을 두고 진행하고자 하며, 관련 자료 고찰을 통해 연구의 필요성을 언급하고자 한다. 아울러 현재 실행되고 있는 국내‧외 대표 재료 웹사이트 사례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재료 활용 웹 디자인의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웹사이트 프로토타입의 기획 및 설계를 통해 디자인을 도출하고 완성된 웹 프로토타입을 기반으로 하여 전문가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개선점을 찾고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결과) 개발한‘리디자인팩토리’의 웹 디자인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재사용 자재를 선정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는 재료를 보유하고 있는 장소의 위치, 종류, 수량, 규격, 활용사례를 통한 아이디어 제공 등 자재 주문 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과 수거를 위한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는 재사용 재료를 활용한 디자인 설계 및 프로세스 단계로 수거한 재사용 재료를 이용하여 설계 또는 시공에 필요한 자료를 검색하고 과정을 통해 이해를 돕는 과정이다. 이는 재료를 적용하고 제작하는데 있어서 시간적인 절약과 다양한 방법으로 연출할 수 있도록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디자인 결과물 실행단계는 이 모든 과정을 거친 디자인에 한하여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단계로써 Facebook, Twitter, You tube, Instagram, Blogs, CSR 웹사이트 등을 통해 모든 전 과정을 등록함으로써 재사용 재료를 활용한 공간을 전파시키고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결론) 본 디자인을 기반으로 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웹을 활용하는데 있어서 공급과 수요가 원활하게 이루어졌는지 파악하고자 공급자와 수요자를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문제점과 한계점을 파악하여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지속가능한 공간디자인을 위한 재사용 디자인의 웹 개발에 대한 기초연구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하숙녕,이준민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3

        (Background and Purpose) As a preliminary study on developing a reuse design website for sustainable space, this study aims to lay the foundation for activating sustainable space by creating a reuse design environment, expanding consumers’ participation in it, and disseminating it through web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approach and solve substantial, realistic reuse design website development issues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space design experts. (Method) Twenty-five experts who have experience working with reusable materials were selected a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ees. The subjects were mostly women who majored in interior space design. They were working people in their 40s and 50s, with about 20 years of related work experience and expertise in education and research. To conduct the interviews,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open questions was readied in advance and applied mainly based on a list that is generally applicable to reusable materials. Later, research was carried out as a main interview method for eliciting more in-depth interviewee responses to descriptive questions by asking the question again in a more specific, analytical way. (Results) This study intended to present a solution and activate the use of reusable materials by considering related issu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in-depth interview method,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presented in four categories, namely market analysis, sustainability, marketing and sales, and distribution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which comprised 12 derived characteristics. First, market analysis with respect to reusable material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ublic through expanded social interest in reuse and recycling. In particular, an examination of remodeling cases for existing aging spaces revealed infinite possibilities for utilizing reusable materials. Second, in terms of sustainability, an important aspect of utilizing reusable materials is to bolster public confidence in environmental friendliness, for which acts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such as minimizing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reducing waste, were found to take priority. Third, the importance of advertising and promotion to marketing and sales was highlighted as crucial to vitalizing the utilization of reusable materials in various fields. Fourth, in terms of distribution services, it was confirmed that from website design to development, distribution, and commercialization, expansion is essential to the smooth distribution of reusable materials. (Conclusions) This study should provide ideas and opportunities for the many designers who are tasked with creating innovative new designs through web design and the use of reusable materials in environmentally sustainable spaces.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공간을 위한 재사용 디자인의 웹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로써 웹 개발을 통해 재사용 디자인 환경을 조성하고 많은 수요자들의 참여를 확장하고 보급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공간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사용 디자인을 활용한 웹 사이트 개발을 위해 공간디자인 분야의 전문가를 중심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문제에 대해 접근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조사를 위해 조사대상자는 재사용 재료 관련 분야의 업무경력이 있는 전문가들 25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주로 실내·공간디자인 전공의 여성이 대부분이었으며, 관련업무경력이 20년 전후인 40~50대 실무직과 교육·연구직에 종사하는 전문가들로 구성되었다. 진행방법으로는 재사용 재료 관련 전반에 해당되는 목록을 토대로 연구자가 작성한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지를 중심으로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주된 면접기법으로는 서술적인 질문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답변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이고 분석적인 재질문을 하여 심화된 응답자의 대답을 유도할 수 있도록 사다리법(ladder research)으로 진행하였다. (결과) 본 전문가 심층인터뷰 조사를 통하여 재사용 재료 활용과 관련된 문제를 고려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더욱 활성활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인 심층면접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도출된 12가지 특성의 결과를 기반으로 시장분석, 지속가능성, 마케팅 영업, 유통 서비스의 4가지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재사용 재료 관련 시장 분석을 통해 본 결과, 재사용, 재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확대되면서 대중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존의 노후화된 공간 리모델링 사례를 살펴보면서 재사용 재료 활용에 대한 무한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검토해 본 결과, 재사용 재료를 활용에서 중요한 것은 환경 친화성에 대한 공신력을 갖추는 것으로써 환경 파괴를 최소화하고 폐기물을 줄이는 등의 환경보존이 우선적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케팅 영업 측면에서 검토해 본 결과, 다양한 분야에서 재사용 재료의 활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려면 광고와 홍보가 마케팅에서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었다. 넷째, 유통 서비스 측면에서 검토해 본 결과, 재사용 재료의 원활한 유통을 위해서 웹 사이트 디자인에서부터 개발, 보급, 실용화까지의 확장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본 연구의 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환경지속적인 공간을 위한 재사용 재료의 웹 디자인 및 구현으로 인해 새로운 디자인을 창조해야 하는 많은 디자이너들에게 아이디어를 제공함과 동시에 혁신적인 디자인을 창조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Value of Minimalism in Yoshio Taniguchi's Museum

        하숙녕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1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7 No.7

        Recently, design work to empty a space has been arousing the interest of many people through the mass media. The phrase ‘to empty a space’ is synonymous with the meaning of ‘to empty’, or ‘something not there’, ‘to remove’, ‘to be tidy’. In the artistic sense,'minimal' implies the meanings of 'excluding decorations','refined images', and 'simple lines or planes'.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ended to be led by the Modern Movement, and by the end of the 60s, many other styles of architecture based on the Ideology of Modernism were formed. As part of the modernism, a new art trend called 'Minimalism' emerged, and it was derived not only into indoor spaces, but also into various fields such as music, culture, movies, fashion, architecture, furniture, and design. Most of all In 1997, the project that drew the greatest attention from the world's architectural world was the architectural design competition of The Museum of Modern Art in New York, the center of modern architecture and contemporary art. It was a difficult task that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world, as the extension would be built right next to such a famous building, resulting in comparison and evaluation. The final winner was this unexpected figure, Yoshio Taniguchi of Japa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minimalism in space are analyzed in connection with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space centered on the museum designed by Yoshio Taniguchi. The analysis items are divided into the elements applied to the design, the connection of the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based on which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value of the space. As the method of this study, minimalism was examined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an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rough each case on how to express natural elements and plan in connection with certain spatial elements for minimalist design against four art museums designed by Yoshio Taniguchi between 1991 and 2004 through personal visits and excerpts from web searches and literature. As a result of analyzing his work, the characteristics of minimalism of Yoshio Taniguchi are a simple box-shaped structure, implement artificial and natural lightings and the spirit of emptiness. In the early 1990s, Taniguchi pursued a style of creating spaces with elabor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visions, and Inokuma Museum became a decisive moment in completing such a style. Yoshio Taniguchi‘s works went beyond the refined and minimalist style of European designers and had a subtle oriental lyricism there. While the conflicting concepts of bigness and rusticity flew through neat straight lines and curves, they had a deep meaning. After all, the morphological motif of his minimalism architecture can be found in modernist thoughts of the West, but the philosophical motif and its development can be found in the view of nature of the East.

      • KCI등재

        A Study on Consumer Awareness for the Active Use of Reused Materials for a Sustainable Space

        하숙녕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6

        (Background and Purpose) As an alternative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a technology-driven industrial society,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objects be repurposed after their end of lives without inducing a detrimental effect on the environment. It is time to systematically supply and manage such materials so that they can be continuously provided to the design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approach and solve practical and realistic problems through an FGI survey to activate the use of reused materials for sustainable space design. (Method) Five groups were formed that were each composed of four subjects of an actual consumer group interested in eco-friendly, reusable, and sustainable space design. The subjects were in their 40s-50s, had a university or higher degree, and mainly resided in apartments. Because the subject groups were interested in concepts related to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o be sufficient to draw a more diverse and concrete opinion. The researcher conducted a workshop based on a questionnaire in an atmosphere where group opinions could be freely discussed, and then summarized the results. (Results) This FGI survey confirmed the results of a preceding statistical survey on the awareness, preference, and experience of reused material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tatistical survey, 48%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of reused materials to a moderate degree; in the FGI survey, they generally knew about them. Second, the statistical survey results showed that detailed guidelines and a maintenance plan for reused materials are required in order for them to be used in space design; however, the FGI survey results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types as well as to secure demands. Third, when applying them to the space design, most respondents sai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nvironmental friendliness, price, and harmony with the surroundings. Also, when choosing reused materials, statistics respondents preferred low-cost, easy-to-maintain, and long-lasting materials, while FGI respondents preferred long-lasting, easy-to-maintain, and low-cost eco-friendly materials, taking design, color, and structure into consideration. Finally, the FGI respondents demanded that the materials be long-lasting, easily disposable, and easy to maintain when they are used for space design in construction in the future. (Conclusion) In order to utilize the reused materials in space, it is necessary for the required resources to be smoothly supplied or directly collected through a network convention when and where they are needed. In order for a sustainable design with insight for a future to be established through this study, a new sustainable design axis of a social network and consumer participation should be formed for balanced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재사용 재료를 적용한 지속가능한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하숙녕,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7 No.2

        본 연구는 현대 소비사회에서 과잉 생산되어 방치되거나 폐기되는 재료들을 이용하여 1차 가공만을 거쳐 공간에 다시 사용함으로써 지속적인 재료로 재창조된 사례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산업화된 사회에서 많은 양의 자재들과 제품들은 사용되지 않고 그대로 비축 혹은 종종 폐기처리 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을 지속가능한 재사용 재료로 정의하고 이를 실내의 부분이나 전체를 계획하는 과정에서 다시 사용함으로써 재사용재료의 당위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재사용 재료를 가연성과 불연성으로 분류한 후, 실내디자인에 적용된 재사용 재료의 종류와 특성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제일 많이 사용된 재사용 재료는 불연성의 금속류였으며, 그 중 컨테이너박스가 가장 많이 조사되었다. 이는 내구성이 좋고 오래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료들로써 간단한 도구를 사용하고도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연성 폐기물은 나무류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재사용 재료는 실내전체에 사용되기 보다는 부분적으로 혼합되어 적용되었으므로 한 장소에 다양한 소재들이 조사되었다. 공간의 유형은 주거공간이 7곳, 상업공간이 5곳, 전시공간과 업무공간 그리고 복합문화공간이 각각 1곳으로 조사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공간에서 사용되었다. 이는 새로운 디자인을 창조해야 하는 많은 디자이너들에게 단순히 새로운 재료들을 추가하는 대신에, 그전에 존재하고 있었던 것들을 새로운 방법으로 대체하여 적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함과 동시에 혁신적인 디자인을 창조할 수 있다는 것을 재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examples of reproduction of objects that are left over, or disused because of overproduction in a consumer society through a single process, making them continuously useful by placing them in space. In industrialized societies, a large amount of materials and products are unused and accumulated. The industrial waste produced in this process of accumulation can be considered as a sustainable reused material, and it gets validity of reusable material as it becomes reused in a part of an interior or the whole part of it. Therefore, reused materials in interior design can be analysed by categorizing them into raw combustible incombustible.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most reused material was a container box, also metallic materials were used a lot. They are durable and sustainable materials that can be transformed with only simple tools. In combustible waste, the mostly used material was wood, and the others were used partly by mixed with other materials. Also, the types of researched space are 7 living places, 5 commercial spaces, 1 exhibition places, a working place and a cultural complex. For many designers who create new designs, it suggests and proves an idea of creating a new and innovative thing out of existing objects rather than just using new materials.

      • KCI등재

        지속가능한 공간디자인을 위한 건축재료 웹 사이트 비교 분석

        하숙녕 ( Ha¸ Sookny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2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들어 뉴트로, 레트로와 같이 옛날의 과거를 그대로 재현하거나 새롭게 재해석하는 공간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공간을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과거에 사용했던 재료를 재사용하면서 감성을 더해 새로운 가치를 부여한 공간으로 재탄생 시킴으로써 현 시대의 대표적인 디자인 트렌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을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재료를 재사용함에 있어서 체계적인 재료의 정보와 빠른 공수방법이 필요할 것이다. 오늘날, 4차 산업혁명시대에 직면하면서 모든 것이 연결되고 보다 지능적인 사회의 중심이 되면서 웹상의 참여와 공유, 개방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웹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시스템화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료 재사용에 대한 웹 정보는 아직 체계적으로 구축되어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재료들 중 재사용을 취급하는 국내외 기업들의 웹 사이트의 현황을 비교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지속가능한 공간디자인을 위한 재료 웹 사이트 관련 국내외 이론을 고찰하고 웹 동향 등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홈페이지들의 구체적인 항목들과 함께 특징을 파악하여 비교 분석해보고자 한다. 특히 국외의 경우, 재료 재사용에 있어서 앞장서고 있는 네덜란드 건축디자인회사인 슈퍼유즈(Superuse)에서 개발한 하비스트맵의 검색항목들을 중심으로 특징을 살펴보고 국내의 홈페이지와 비교분석한다. 분석방법은 각 가업별 웹상에서 확인가능한 콘텐츠의 유무여부를 조사하였으며, 내용으로는 취급하는 폐자재 종류, 규격, 가격, 현장적용 사례이미지, 온라인주문 등이다. (결과) 국내외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 재료확보 및 조달방법의 개선필요,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재료들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웹 개발필요, 유통과정의 시스템화 개선필요, 온·오프라인상의 재료 플랫폼 마련 등 개발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재료를 조달하고 있는 국내기업의 웹사이트 9곳을 조사한 결과, 취급하고 있는 재료들이 다양하지 못하고 제한되어 있으며, 홈페이지 상 상세한 내용들은 찾기 어려웠다. 또한 주문방법이 대부분 전화주문이었으며, 공수방법은 직접수거 및 배송가눙으로 표기되어 있다. 반면, 선진사례의 경우, 온라인 상의 맵을 통해 다양한 재료들을 한눈에 볼 수 있었으며, 실제로 적용된 프로젝트들을 공유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이해를 높였다. 특히, 공수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필요한 재료를 가장 근접한 거리에서 주문하고 공급받을 수 있도록 알려줌으로써 운송시에도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결론) 지속가능한 공간환경을 위한 재사용 재료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해 온라인상의 정보모델 개발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체계적인 웹페이지 구성으로 인해 누구나 쉽게 주문하고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 시대가 요구하는 디자인을 더욱더 활성화시킬 수 있은 방안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recent years,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spaces that reproduce the past as they were, or reinterpret it like Newtro or Retro. In designing a space, the reuse of materials used in the past has established itself as a representative design trend of contemporary times by adding sensitivity and recreating a space with new values. However, in order to design such a space, above all, systematic material information and fast transport methods are needed in reusing materials. (Method)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and compare specific items and characteristics of currently running material websites by reviewing domestic and overseas theories and examining web trends for sustainable spatial desig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overseas countr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rvest map developed by Superuse, a Dutch architecture studio leading the way in the reuse of materials, were examined and compared with the domestic website. In the analysis,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tents that could be checked on the web by each company was investigated, and the contents included the types of waste materials handled, specifications, prices, images of field applications, and online orders. (Results) As a result of examining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trends, there was a need to improve material acquisition and procurement methods, to develop a web to see various types and sizes of materials at a glance, to improve a distribution process system, and to develop a material platform on- and off-line. As a result of a survey of nine websites of domestic companies that were procuring materials, the materials handled were limited and not diverse, and it was difficult to find detailed information on the website. In addition, most of the ordering methods were phone orders, and the transport was marked as direct collection and deliver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advanced case, various materials could be seen at a glance through an online map, and the consumers' understanding was raised by sharing the projects that were actually applied. In particular, in transport, there was an advantage of saving energy during transportation by notifying users to order and receive the necessary materials from the nearest distance. (Conclusions) The development of an online information model is indispensable for the continuous supply of reused materials for a sustainable spatial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n that can further activate the design required by the contemporary times that will allow anyone to easily order and receive supply through a systematic web page configuration.

      • KCI등재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의 재사용 조명디자인 개발 연구

        하숙녕 ( Sooknyung Ha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3

        (연구배경 및 목적)본 연구는 사람들이 많이 왕래하는 재래시장과 상점이 만나는 먹자골목에 위치한 조명이라는 점에서 친숙하게 느껴져야 하는 가로등임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조명은 매우 현란한 조도와 산만한 조합으로 계획되어 있다. 따라서 현 조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함으로써 수년 간 이 지역, 이 시장을 방문해 온 사람들에게 보다 편안하고 친밀감 있는 골목이 될 수 있도록 재계획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설치된 낡은 조명환경을 개선하고 시장 활력을 제고하기 위해 조명의 조도를 정비하고, 재계획하여 새로운 디자인으로 개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한 디자인 방법으로는 우선 원재료를 다시 사용하여 개발된 국내·외 조명사례의 사례들을 조사, 분석함에 있어 디자인의 방향을 설정하고, 나아가 본 조명디자인을 위한 디자인 정비 및 주변 환경 정비 현황을 통해 재사용 디자인 콘셉트를 설정하고 전개함으로써 새로운 연출보안등으로 거듭나고자 한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물인 LED 연출보안등은 기존 보안등의 별, 달 연출조명을 그대로 사용하되 콘트롤상에 문제가 있었던 부분을 보완하였고, 추가 제작 및 재조합 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조명으로 재탄생되었다. 이를 위해 기존 19개 폴에 사용되었던 별, 달의 LED조명을 모두 수거하여 세척 후, 다시 조립하고 재배치하였으며, 기존의 폴은 주변의 색과 어울리는 색 계열로 다시 도장하고, 별, 달 조명을 지탱해주는 철재 프레임 구조물은 추가로 제작하여 연장하였다. 그 결과로써 현란했던 조명의 색은 속도조절과 시간 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색상의 변화를 준 디밍효과로 인해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통일성 있게 변하였으며, 주변과 자연스럽고 조화롭게 연출되었다. (결론) 대량생산과 대량소비의 시대에 사용이 끝난 제품도 폐기가 아닌 귀중한 자원이 된다는 것을 바탕으로 자원순환시스템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버려진 재료들이 자원화로 다시 돌아가는 것이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매우 유리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페자원들의 해체, 수집, 운반 등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실천할 수 있는 재료들의 순환시스템 개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street lamps have been planned based on flashy lighting with extreme high intensity of illumination and visual clutter causing the distraction even in the food alleys, the intersection of conventional marketplace and stores bustling overpopulating with people, although the lighting would need to be felt familiar to the passers-by Thus,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current problems of current lighting and revamp it so as to redesign the lighting in such a way that it can create the alleyways that the visitors, who had visited this marketplace in this region over the last few years, could find familiar and comfortable with. For that, it would be meaningful to improve currently old lighting environment, adjust the illumination and revitalize the market, thus re-planning them into novel designs. (Method) For the design methods necessary in this study, we will set the basic course of design for investigating and analyzing practical cases of lighting design refurbishment in Korea and abroad which involved the reuse of raw materials, and furthermore, set and apply the design concept of the reuse design by looking into current status of design revamp and environment refurbishment for this lighting design, pursuing the new lighting based on presentation and security lamps. (Results) The LED presentation and security lamps, the results of this study, used the presentation lighting that featured the shape of stars and moon on the existing security lamps, but made improvement by eliminating the control problem. They were transformed into new lighting through the process of recombination. For that, we collected all LED lamps creating the shape of stars and moon, which were used on existing 19 poles. After washing these those LED lamps, we reassembled and rearranged them, applied the paint to existing poles in colors blending harmoniously with those of the surrounding area, and additionally made the steel frame structures supporting the star and moon lighting, and then connected them together. It was achieved by the dimming effect causing natural variation of color in a way that suited the passage of time, along with the adjustment of speed (Conclusions) It would be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create the resource recycling system constantly based on the realization that the products at the end of life can be also turned into valuable resources, rather than being discarded, even in this era of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Converting the discarded materials into resources would bring significant benefits to the society and economy. Thus,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basis for exploring the measures necessary to develop the recycling system of materials which would enable constant management of waste resources through all process of dismantling, collection, transportation, etc.

      • KCI등재

        재사용 재료 웹 구현을 위한 디자인 개발

        하숙녕 ( Ha Sookny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6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PC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인터넷 접속이 일상화되어 웹상의 참여와 공유, 개방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웹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시스템화되고 있다. 즉, 초고속 정보화 사회에 직면하면서 모든 것이 연결되고, 보다 지능적인 사회의 중심이 되면서 공간의 개성화와 다양화, 그리고 트렌드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디자인은 웹상의 재사용 재료 정보제공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재사용 재료를 필요로 하는 불특정 다수의 입장에서 최적화된 재료의 웹사이트를 설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재료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재사용 재료를 활성화 시키는데 의의가 있다. 궁극적으로 산업적으로 중요한 건축재료를 쉽게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웹을 제안하는 것으로 공간을 디자인함에 있어 사용된 후 버려질 산업제품이나 이미 사용했던 자원들을 다시 사용하기 위해 원활한 공급과 수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사용 재료 정보 웹사이트를 설계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진행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사용 재료의 개념을 고찰하고 디자인 웹 관련 연구동향을 살펴본다. 아울러 국내·외 재사용 재료를 취급하는 회사들의 홈페이지를 검색하여 현황을 조사하고 비교 분석함으로써 웹 설계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체계화 방향을 모색한다. 둘째, 재사용 웹은 크게 재료 선정단계, 디자인 설계 및 프로세스 단계, 디자인 결과단계로 진행한다. 셋째, 현실에 적용 가능한 유연한 방식의 콘텐츠를 통해 재사용 웹을 도출한다. (결과) 본 디자인 개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료 선정단계는 메인 창을 시작으로 하여 공급업체정보와 디자인 갤러리가 검색가능하다. 디자인 갤러리는 재사용 재료를 사용하여 완료된 공간과 제품들을 검색할 수 있으며, 디자인 시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둘째, 디자인 설계 및 프로세스 단계는 공급을 필요로 하는 각 재료들에 대하여 재료 검색, 재료 위치, 재료 선택, 재료상세정보, Q&A, 주문 및 배송으로 계획하였다. 이는 향후 시연을 통해 보완될 예정이다. 셋째, 디자인 결과단계는 시공 후 공간의 이미지를 공유함으로써 재료의 활용도를 높이고 확산시키는데 의의가 있다. (결론) 향후 웹 구현을 위한 프로세스에서는 본 연구에서 설계한 웹 디자인에 대하여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보완하고 발전시킨 후, 시스템 스펙 구성, 데이터베이스 설계, 웹사이트 구현, 테스트, 배포(서비스)의 과정을 거치며 지리적 위치 정보(Geolocation) 및 지도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활용하여 SNS플랫폼에 공유를 위한 기능을 통합한 재료정보사이트를 구현하여 실행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oday,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the user-customized web, characterized by participation, sharing and openness on the web, real-time Internet access using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as well as PCs has become commonplace, and it is being systematized so that desired information can be easily found. In other wor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time when it is possible to rapidly respond to spatial individuation and diversification, and trends in the face of a high-speed information society where everything is connected, and it becomes the center of a more intelligent society. This design study on the provision of re-used materials information on the web has significance in promoting the use of re-used materials by designing a website optimized for materials from the point of view of unspecified individuals in need of re-used materials to select desired materials. (Method) This study proceeds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re-used materials is reviewed and research trends related to design web are examined. In addition, the direction for systematizing the database for web design is explored by searching the websites of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handling re-used materials,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and comparatively analyzing them. Second, the stages of the reuse website largely proceeded in the order of material selection, design and process, and design results. Third, it derived the reuse website through contents in a flexible way that can be applied to reality. (Results) The contents of the design development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material selection stage, supplier information and a design gallery can be searched starting from the main window. In the design gallery, spaces and products completed using re-used materials are searched, which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applicability during design. Second, in the design and process stage, each material that needs to be supplied are arranged as Search materials, Locate materials, Select materials, Details in materials, Q&A and Order and delivery. It will be supplemented through future demonstrations. Third, in the design results stage, it aims to increase and spread the applicability of materials by sharing the image of the space after construction. (Conclusions) In the process for web implementation in the future, this study intended to build and realize a material information website that integrates the sharing function on SNS platforms by utilizing geolocation and map API through the processes of system specification configuration, database design, website implementation, testing, and distribution after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requirements for the web design of this study to be supplemented and developed.

      • KCI등재

        PBL 수업모델을 적용한 상업공간디자인 교육 사례 연구

        하숙녕 ( Ha Sookny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4차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고등교육기관의 교육정책은 창의·융복합적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교육시스템을 도입하는것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이러한 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방식 중 PBL(Project Based Learning) 수업모델은 다양한 경험과 실용적인 학문을 습득하게 하는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함양시키는 효과적인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에게 사회에서 실제로 경험하게 되는 문제(프로젝트)를 설정하여 프로젝트를 직접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줌으로써 현장(지역사회)에서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과정을 상업공간디자인 수업과 연계하여 적용하고자 한다. 적용된 PBL 수업모델은 학습자들이 충분히 동기부여가 될 수 있는 맥락성, 개방성, 실제성을 가진 문제를 교수자가 직접 개발하여 제시하고 수업에서 현장에 있는 실무자들이 학습자의 문제해결과정에서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문제를 활용하는 유형으로 가장 현장과 긴밀하게 연계되는 형태의 문제유형1)을 적용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2020년 9월 23일부터 12월 20일 간 진행된 상업공간디자인 전공실습교과목에 PBL 수업모델을 적용하였으며, 총 20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PBL 수업모델의 개념과 특징을 파악한다. 둘째, 주차별 수업의 세부내용과 단계별 진행방법을 제시한다. 셋째, 프로젝트 최종결과물의 발표를 통해 PBL 수업모델의 적용가능성과 시사점을 도출한다. (결과) PBL 수업모델을 적용한 상업공간디자인의 수업진행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감을 전혀 모르던 학생들은 주변 상인들과의 사전 인터뷰조사와 주변환경을 답사함으로써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사이트선정을 하는데 있어서 수월하게 진행되었다. 둘째, 개별프로젝트가 아닌 팀프로젝트로 진행했기 때문에 서로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었고, 상호작용하는 협업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셋째, 본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단계별로 도입된 SM-PBL수업모델은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찾아서 해결해나가는 과정을 통해 서로의 부족함을 보완하고, 서로 소통하는 자세를 보임으로써 학생들의 다양한 관점을 공유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결론) 본 프로젝트를 통해 학생들은 각자의 아이디어를 서로 공유하면서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었고, 문제를 해결하고자 비판적인 사고와 비전을 서로 공유하면서 완성도를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단, 본 프로젝트는 현장(지역사회)에서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담은것으로 결과물에 대하여 실제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할 수 있다면 그 효과는 배가될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체계적이고 구체화된 PBL 모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education policies of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been focusing on the introduction of education systems to foster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Among the educational methods for developing such an ability, problem-based learning (PBL) is recognized as an effective alternative for cultivating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o acquire various experiences and do practical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apply the process of developing students' ability to discover and solve problems in the field in connection with a commercial space design class by setting up a problem that students will actually experience in society and giving them the opportunity to solve it on their own. The applied PBL utilizes the problem type most closely related to the field in which a teacher develops and presents problems with contextuality, openness, and authenticity to motivate learners. (Method) The PBL model was applied to a major subject practice of commercial space design which was held from September 23rd to December 20th, 2020 with a total of 20 student participant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PBL model, as well as the overall curriculum outline and progress of commercial space design are identified. Second, the weekly class details and step-by-step method of commercial space design applied with the PBL model are presented. Third, the applicability and implications of the PBL model are derived through the presentation of the final outcome of the project. (Results) The results of the class applied with the PBL model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ho had no field sense, were able to accurately identify the problem and select a site by conducting pre-interviews with neighboring merchants and explor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econd, as it was carried out as a team project rather than an individual project, they were able to share each other's vision and have an opportunity for interactive collaboration. Third, in the SM-PBL model that was introduced step by step in conducting this project class, students shared various viewpoints and tried to solve the problem with new ideas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and solving problems on their own, thereby complementing each other's shortcomings, and showing an attitude of communication. (Conclusions) Through the project, students were able to show their creativity while sharing their ideas, critical thinking, and vision with each other to improve the degree of perfection to solve the problem. However, it is judged that the effect may be doubled if a plan that can actually be used for the result is formulated, as the project only contains the process of discovering and solving the problem in the field. This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a systematic and detailed PBL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