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 효과 메타 분석

        하명숙(Myungsook Ha),이민정(Minjeong Lee),신주연(JooYeon Sh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3 열린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2002년부터 2022년 12월까지 국내 출판된 연구 중 PICOS의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35편의 논문을 최종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1.35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유형별 분석결과, 진로지원 프로그램이 가장 큰 효과를 보였고, 학교생활적응지원 프로그램, 심리지원 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났다. 결과변인 분석 결과, 진로관련 변인의 효과가 가장 높았고, 인지적 측면, 사회적 측면, 정서적 측면 순으로 나타났다. 중재회기는 10회기 이상 실시되었을 때가 10회기 미만이었을 때 보다 더 효과적이었으며, 보호시설에 거주하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도모하여, 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 설계 시 고려할 사항들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the support programs for youth school dropouts by conducting a meta-analysis with 35 domestic studies published from 2002 to 2022.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school dropouts support programs was 1.35, which was considered high. Among the four types of the support programs, the career support program showed the greatest effect, followed by the school life adaptation support program and the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 Among the four areas of the resulting variables, the variables related to career aspects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followed by cognitive aspects, social aspects, and emotional aspects. The programs with more than 10 sessions showed higher effectiveness compared to programs with less than 10 sessions. Programs conducted with adolescents living in group residential youth facilities showed better effects compared to programs with youths living in their own home.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effectiveness of support programs for school dropou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ADHD아동을 위한 중재적 개입 국내 연구 동향 및 질적 지표 분석

        하명숙(MyungSook Ha), 지은(Eun 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초등학교 ADHD아동의 중재개입 프로그램 관련 국내 연구물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할 수 있는 방향성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방법 국내에서 연구된 초등학교 ADHD아동의 중재적 개입 연구동향을 알고자 2009년부터 2022년 12월까지 연구된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연구 문헌 검색 및 논문을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선정된 41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논문 분석틀에 따라 분석을 하였으며 집단 대상 연구와 단일대상 연구의 질적지표를 분석하여 증거기반 중재를 살펴보았다. 결과 저학년(1~3)의 학생 수가 고학년(4~6)보다 많았으며, 남자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 중재 장소와 중재 환경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이 되지 않았다. 중재 연구 프로그램은 예술 활동 기반 중재연구가 많이 제공이 되었으며 종속변인에 따른 분석은 ADHD아동의 인지⋅행동적 측면의 연구가 다수 되었다. 집단대상 중재 연구 프로그램의 질적 지표는 수행 및 운영자의 정보기술, 비교집단의 교수 기술은 충족하는 연구가 부족하였다. 단일대상 중재 연구 프로그램의 질적 지표는 환경기술, 측정 타당도의 기술, 종속변수 기초선 측정, 기초선 기간의 기술을 충족하는 연구가 부족했다. 결론 연구에서 제언하는바 초등학교 ADHD아동의 중재 연구에서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는 연구 설계가 필요하며 연구대상자 중재 환경 기술을 명확히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학교 ADHD아동의 중재 효과성과 질적 지표 분석의 증거 기반을 고려한 연구를 통해 향후 이를 반영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Objectives Domestic studies related to intervention programs for children with ADHD in elementary school are reviewed, and based on this, a direction for developing and applying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s is sought. Methods In order to know the research trend of interventional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DHD in elementary school studied in Korea, research literature was searched and papers were selected, focusing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 studied from 2009 to December 2022. For this purpose, 41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hesis analysis framework, and the evidence-based intervention was reviewed by analyzing the qualitative indicators of group-subject studies and single-subject studi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nalysis,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1 to 3) was higher than that in the upper grades (4 to 6), and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many studies targeting boys. In previous studies, there was no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tervention site and intervention environment. As for the intervention research program, many art activity-based intervention studies were provided, and analysis according to the dependent variable involved a number of studies on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children with ADHD. As for the qualitative indicators of group targeting intervention research programs, there was a lack of studies that satisfied performance, operator's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mparative group's teaching skills. As for the qualitative indicators of single-subject intervention research programs, there were insufficient studies that satisfied the environmental description, description of measurement validity, baseline measurement of the dependent variable, and description of the baseline period. Conclusions The study suggests that intervention studies of children with primary school ADHD need to be design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ies, and to clarify the description of the subjects' intervention environmen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studies reflecting thi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by considering the evidence-based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and qualitative indicators of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DHD in elementary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