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태아 두피 털주머니 발생과정에서 bcl-2의 발현

        마스키 디라즈(Dhiraj Maskey),최인영(In-young Choi),박기섭(Ki-Sup Park),프라단 조누(Jonu Pradhan),유영복(YoungBok Yoo) 대한해부학회 2009 Anatomy & Cell Biology Vol.42 No.4

        발생 14-24주의 한국인 태아 두피조직을 대상으로 아포프토시스를 억제하는 유전자인 bcl-2가 털주머니(hair follicle)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고집적 (high-throughput) 연구방법인 tissue-array 기법으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발생 14주에서 24주까지 표피의 바닥세포에서 bcl-2가 발현되었고 bcl-2가 발현된 멜라닌세포는 표피의 바닥층, 바닥위층, 털바탕질세포 사이와 바깥상피뿌리집에서 관찰되었다. 발생 초기나 세포가 계속 생성되는 부위에서 미성숙한 세포가 bcl-2를 발현하여 세포 사망이 억제되나 분화가 진행되면서 bcl-2 발현의 감소로 세포 사망이 증가하여 조직의 형태형성이나 기능 완성에 기여하는 것이 사람의 태아 발생기 털주머니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understand the role of the apoptosis-suppressing gene, bcl-2, in the hair follicle development. Immunohistochemistry for bcl-2 was performed using a high-throughput tissue-array technique, on Korean fetal scalp tissues at the 14 weeks, 16 weeks, 19 weeks & 24 weeks of the develop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asal cells of epidermis were stained from 14 weeks to 24 weeks and the immunoreactive melanocytes were observed in the basal layer and suprabasal layer of epidermis as well as in the hair matrix cells and the external root sheath. At 19 weeks, the follicles at all stages of morphogenesis were observed. In the early stages, the epithelial cells of hair germ and hair peg, the mesenchymal cells surrounding them were stained. In the more advanced stage, the bcl-2 expression of follicular epithelial cells diminished to allow keratinization, hair canal formation and holocrins secretion to take place. In the bulbous hair peg stage, the hair papilla cells, the hair matrix cells, the basal cells of the primitive sebaceous gland, the primitive arrector pilli and the basal cells of the external root sheath were stained. We confirmed in the developing hair follicle that in the early stage or in the place where the cells continued to proliferate, the immature cells expressed bcl-2 to suppress cell death to overcome the susceptibility to cell death and when the differentiation was being achieved, the reduction of bcl-2 expression increased cell death to perform the tissue morphogenesis or the organ functions.

      • KCI등재

        The Effect of 835 ㎒ Radiofrequency Radiation Exposure on the Immunohistochemical Distribution of Calbindin D28k and Calretinin in the Mouse Cerebellar Cortex

        Dhiraj Maskey(마스키 디라즈),In-young Choi(최인영),Ki-Sup Park(박기섭),Jonu Pradhan(프라단 조누),Young Bok Yoo(유영복) 대한체질인류학회 2009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2 No.4

        현대 널리 보급된 무선 휴대폰의 사용은 이로 인해 발생하는 전자기파가 뇌와 신경계통에 미칠 생물학적 영향은 중요 관심사이지만, 아직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전자기파의 방출로 인해 신경계통에 미치는 영향으로 여러 연구에서 뇌의 여러 부분에서의 신경세포수의 감소, 신경세포의 손상 등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행동을 관장하는 소뇌부분에 관한 어떤 연구도 진행되지 않아 본 연구에서 생체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이온인 칼슘의 물질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calbindin D28k (CB)와 calretinin (CR)의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 염색학적인 방법으로 생쥐의 소뇌에서 835 ㎒전자기파 방출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CB와 CR 특이 항체에 대한 면역염색성은 835 ㎒의 전자기장에 서로 다른 시간 동안 노출시킨 후 시행하였는데, 사용한 실험조건은 1.6W/㎏ 에서 하루 1시간씩 5일 동안 노출된 군, 4.0W/㎏에서 하루 1시간씩 5일 동안 노출된 군, 1.6W/㎏에서 하루 5시간씩 하루 동안 노출된 군, 4.0W/㎏에서 하루 5시간씩 하루 동안 노출된 군, 그리고 1.6 W/㎏ 에서 한달 동안 8시간씩 매일 노출된 군을 이용했다. CB의 면역반응성은 조롱박세포에서 현저하게 관찰되었으며, 가지돌기와 먼쪽 축삭들에서도 관찰되었다. 1.6W/㎏에서 5일 동안 전자기파에 노출된 경우 CB의 면역반응성이 감소하였고, CR의 면역반응성은 주로 과립층의 작은세포들에 국한되었으며, 면역반응성은 한 달간 노출된 군에서 염색성이 증가되었으며, 조롱박세포층에서는 어떤 세포도 염색된 것을 관찰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835 ㎒ 전자기파에 장기간 지속적으로 생체가 노출되면 신경계통에서 물질대사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칼슘농도의 변화를 초래해, 소뇌에서의 칼슘대사 이상으로 인한 병적인 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Widespread use of mobile phones and subsequent electromagnetic field (EMF) exposure have raised crucial question of their possible biological effects on the nervous system. The study on the effect of radiofrequency (RF) radiation on the nervous system, however, did not precede enough to determine the biological hazard to brain. Until now,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decreases in neuron number and neuronal damage in the cortex, hippocampus, and basal ganglia in the brains of animals exposed to RF radiation. However, there were few reports about the cerebellum, the main voluntary motor control center. In this regard, by using immunohistochemisty, current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calbindin D28k (CB) and calretinin (CR)-immunoreactivity (IR) in the mouse cerebellar cortex after EMF exposure at 835 ㎒ for different exposure times and absorption rates, 1h/day for 5 days at 1.6 W /㎏, 1 h/day for 5 days at 4.0 W /㎏, 5 h/day for 1 day at 1.6 W /㎏, 5 h/day for 1 day at 4.0 W /㎏, daily exposure for one month at 1.6 W /㎏. Among groups, most prominent CB IR was observed in the Purkinje cell layer followed by molecular and granular layer. The highest CB IR was noted in 5 h/day for 1 day at 1.6 W /㎏ in the entire three layers while the lowest was noted in one month at 1.6 W /㎏. Similarly CR IR was maximum in one month at 1.6 W /㎏ whilst the lowest was observed in 1 h/day for 5 days at 4.0W/㎏. EMF exposure for 5 days at 1.6 W/㎏ reduced CB-IR. The CR-IR was mainly localized in small cells in the granular layer, with maximum IR observed after one month exposur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suggest the possibility of alterations of calcium ion concentration, which playa role in maintaining metabolic homeostasis, in the cerebellum after long-term exposure to 835 ㎒ of RF radiation, which might lead to the disruption of normal tra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