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장인정신 -컴퓨터, 조율할 수 있는 유연한 디지털 미디어, 공예 활동으로서의 그래픽 디자인의 가능성을 위한 개념적 틀

        크리스로 ( Chris R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6

        1996년, 말콤 맥컬로우(McCullogh)는 컴퓨터 및 관련 프로세스가 직접 손 , 공예 , 공예 결과물에 연결될 수 있는 ``실무에 사용되는 디지털 손`` 에 대한 잠재적인 상황들을 조사했다 . 1996년 이래로 그래픽 디자인 산업은 상당히 발전했으나, 그래픽 디자인 분야에서의 창작, 실행, 생산에 있어서는 근본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맥컬로우의 사고와 연구는 아직도 충분히 수용되지 않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디자인 분야에서 컴퓨터는 개념적으로나 실제적으로 모두 불편한 위치에 자리하고 있다. 지적 활동으로서의 그래픽 디자인의 지속적인 발전은 속도와 효율성을 강조함으로써 컴퓨터와 손을 사용한 디자인 제작을 어린 디자이너들의 일로 격하시켜버리고 말았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현상은 디자인계 곳곳에 스며들어, 시간과 기술, 다양한 접근을 덜 필요로 하는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디자인을 만들어 내곤 한다. 이것을 반복되는 결과는 어디서든 존재할 수 있는. 즉, 만든 사람이 나타나지도 않고, 구분이 되는 특징도 없으면서, 노련한 디자이너의 작업인지 처음으로 디자인 작업을 해 보는 아마추어의 작업인지 차이가 별로 나타나지 않는 디자인을 탄생시킨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그래픽 디자인의 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즉, 적절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충분히 시간을 투자하지 않은 프로젝트를 그냥 수행해 내는 상황으로 그 가치가 강등된 것이다. 이 문제의 한 부분은 디자인 산업계나 학계 모두 컴퓨터나 그것의 사용을 단순한 도구로 여긴다거나, 이론이나 엄격한 개념이나 지적인 것에 비해 열등한 것으로 놓는데 있다. 이 논문에서는, 서로 전혀 다른 두 개의 단어를 활용하여 공예와 오래된 지식(tacit knowledge)이 컴퓨터의 디지털 디자인 과정과 조화를 이루는 상황을 훌륭히 표현한, ``디지털 장인정신``이라는 개념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을 논의할 것이다. ``디지털 장인정신``이라는 개념은 디자인 산업 분야에 존재하고 있는 몇몇 상황들을 검토하고 어떻게 공예지식과 디지털 과정이 교차하여, 그래픽 디자인을 한걸음 더 나아가게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한 유익하고 의미있는 방법들을 탐구해 볼 것이다. 본 논문은 ``디지털 장인정신(digital craftmanship)이 오늘날의 그래픽 디자인 산업 내에서의 가치, 보상, 미래 업무 환경 등의 부분에 미치는 잠재적인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후 실제 학교의 교육 환경 내에서의 디지털 장인정신의 응용 등에 대해 추후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In 1996, Malcolm McCullogh surveyed potential conditions for a ``practiced digital hand``, where the computer and its associated processes could be directly related to the hand, craft and craft output. Since 1996, the graphic design industry has seen substantial developments and yet at a fundamental level, the creation, execution and production of graphic design have yet to fully embrace some of McCullough`s thoughts and conditions. The computer continues to reside in an uncomfortable position within the design industry both perceptually and somatically. The continued progression of graphic design as an intellectual practice has relegated the computer and the production of design to the hands of younger professionals with an emphasis on speed and efficiency. This in turn has often created pervasive design that requires less investment of time, skills and approach. A recurrent result of this is ubiquitous graphic design - design with no owner, distinguishable character and with little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work done by seasoned practitioners versus first time amateurs. This has negatively affected the perceived value of graphic design and relegated it in some contexts to pure execution with less appropriate compensation and insufficient time allotted for project development. Part of the issue exists in the industry and academia`s continued positioning of the computer and its operation as mere tools, secondary or tertiary to theory, conceptual rigor and intellect. This paper discusses recent research done in an antithetical concept best described as ``digital craftsmanship`` - a condition where both craft and tacit knowledge are congruous with the digital design processes of the computer. The concept of ``digital craftsmanship`` examines some of the existing conditions of the industry and where and how craft knowledge and digital processes can intersect in beneficial and meaningful ways for graphic design moving forward. This inquiry has potential implications for value, compensation and future working conditions within the graphic design industry today. Further research could also involve the application of digital craftsmanship to design education environments and other areas of practice.

      • KCI등재후보

        ‘슬기와 민 - 페리지 060421~170513’ 전시의 탈근대적 아카이브 특징에 대한 연구

        박장호 ( Park Jangho ),크리스로 ( Ro Christopher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0 전시디자인연구 Vol.17 No.1

        이 연구에서는 아카이브에 대한 미학적 시각으로 슬기와 민의전시 ‘슬기와 민 - 페리지 060421~170513’이 가지고 있는 탈근대적 아카이브를 문헌 조사를 통해 연구했다. 아카이브의 근대성은 객관성, 역사성, 가치 중립성 등으로 나타난다. 할 포스터와 스벤 스피커는 아카이브 아트를 통해 아카이브의 불완전함을 드러내는 탈근대적 아카이브를 제시한다. 자크 데리다는 아카이브의 태생적인 죽음 충동을 지적하며, 자기 보존과 파괴라는 모순적 욕망이 동시에 존재함을 강조한다. 슬기와 민의 전시는 아카이브의 근대성과 함께 탈근대적 특징을 함께 가진다. 또한 이 전시는 과거에 대한 기록과 이미지들이 자기 파괴적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데리다의 아카이브에 대한 인식을 시각적으로 구현한다. 이를 위해 작가는 불충분한 시각정보를 관객에게 의도적으로 제공하며, 흐려짐이라는 시각 표현으로 떠올리려 할수록 떠오르지 않는 기억을 드러낸다. 또한 이 탈근대적 접근을 통해 작가 스스로도 디자이너와 예술가라는 경계에서 유령적 지위를 취하고 있다. The thesis is mainly focused on the aesthetic perspective on design archives, and the post-modern archives that can be found at the exhibition ‘Sulki & Min - Perigee 060421 ~170513’ is the main object of the study. The modernity of the archive is represented by objectivity, historicality, and value neutrality. Hal Foster and Sven Spieker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a post-modern archive that reveals the incompleteness of the archive through examples of an archive art. Jacques Derrida claims that the archive has self-destructive desire as known as a death drive, and it is a ghostly space where contradictory desires for self-preservation and destruction exist simultaneously. Sulki & Min's exhibition has the characteristics of archive art in that it has features of post-modern archives as well as features of modern archives. In addition, this exhibition visually embodies Derrida's perception on archive that records and images of the past have self-destructive desire. To this end, the designer duo intentionally provides insufficient, literally blurry visual information to the audience that shows the ambiguousness of memories. In addition, through this post-modern approach, the designers themselves becomes a spectre wandering at the border between design and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