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여수 주변해역의 인공어초 사후관리 현황과 발전방향

        추효상(Hyosang CHOO),김동선(Dong Sun KIM),안승환(Seung Hwan AHN)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2008 수산과학연구소논문집 Vol.17 No.2

        It is important to manage artificial fish reefs with installation for restoration. we made survey for installation’s condition(location, amount etc.), fish community and amount of fishing net around installation area(6,142ha) of artificial fish reefs with side scan sonar and diving in Yeosu Coast of Korea. Number of the total installed and found artificial reefs is defined 46,872 and 39,003 (83.2%) artificial reefs, respectively. Observed artificial reefs is dominant dice type(19,663) and is the most of them in Geomun and Keumo islands. In addition, biological monitoring is shown that it is composed of fouling or settlement of marine communities in most of the artificial reefs. Most marine wastes around artificial reefs area are sort of the fishing gear such as net, rope, and fish trap. Also, marine wastes around artificial reefs are totally 41.82 ton less than 40 m depth in Yeosu.

      • 서남해 주변해역의 조석, 조류특성

        추효상(Hyosang Choo)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2019 수산과학연구소논문집 Vol.28 No.-

        조석진폭은 자은도 주변이 가장 크고, 내병도 주변에서 가장 작았으며, 진도 남쪽에서 진도북쪽, 목포, 자은도 순으로 남쪽에서 북으로 올라올수록 점차 커졌다. 조석분조 중 M2 분조의 진폭이 가장 컸으며, 전체 진폭에 대한 반일주조진폭의 비율은 52~65%로 외해에 위치한 내병도에서 가장 크고 목포에서 가장 작았다. 일주조는 18~22%로 역시 내병도에서 가장 컸고 목포에서 가장 작았다. 천해조 성분인 배조와 복합조 진폭은 각각 4~9%, 5~13%로 내병도에서 가장 작고, 목포에서 가장 컸다. 배조와 복합조를 합한 천해조 성분은 조석에 의한 마찰효과와 비선형효과로 지형이 복잡한 내만으로 갈수록 그 비가 컸다. M2 분조의 평균고조간격은 내병도가 가장 빨랐고 진도북쪽, 목포, 자은도의 순서였다. 이는 조석파가 진도 남쪽 해역에서 북쪽으로 점차 진행함을 보여주었다. 관측정점 간 평균고조 간격의 차이는 약 21~26분이었다. 조석은 대체로 반일주조형태였으나, 내병도는 일주조가 다소 우세한 혼합조 형태였다. 조류는 진도~가사도, 진도~하태도에서 창, 낙조에 따라 북동과 남서, 화원반도~팔금도에서 북서~북동, 남동~남서 방향의 유속변화를 나타냈다. 진도~가사도, 진도~하태도는 북동-남서 방향의 좁은 수로를 따라 강한 왕복성 조류를 나타냈다. 대조시 화원반도~팔금도는 화원반도 서쪽의 조류와 자은도~증도의 조류로 인해 창, 낙조에 따른 일정 패턴이 나타나지 않고 유향, 유속변동이 큰 불규칙한 회전성 조류변동을 나타냈다. 화원반도~팔금도의 최강 창, 낙조류 출현시각은 진도~가사도, 진도~하태도와 비교해 약 1.1시간 늦었다. 조류타원은 대체로 반일주조 성분이 일주조 성분보다 우세하였다. 대조시 화원반도~팔금도는 진도~가사도, 진도~하태도에 비해 회전성 조류특성을 나타냈다. 진도~하태도와 화원반도~팔금도는 위치적으로 서로 인접하였으나 조류특성은 매우 상이하였다. 항류 (평균류)는 대조시 화원반도~팔금도, 진도~가사도를 제외하고 대체로 남서 방향 낙조류가 북서 방향 창조류보다 우세하였다. 진도~목포의 우리나라 서남해안에서 측정된 조석 및 조시에 따른 층별 조류 관측결과로부터 지금까지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던 서남해 다도해 주변해역에서의 조석특성과 해수유동구조가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동 해역에서의 해양자원과 에너지 개발을 위한 해역구분, 에너지 부존량 추정, 적지 선정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estimate tide and tidal flows around Southwestern Waters of Korea, tide and current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Tidal amplitudes increase from south to north at the study area. M2 component is largest and semidiurnal component accounts for 52~65 percents in the whole tidal amplitude. The place where the rate is highest is Naebyung Island and lowest is Mokpo. Also, diurnal component takes 18~22 percents and shows high in Naebyung Island and low in Mokpo. Over tide and compound tide for shallow water constituents have 4~9 percents and 5~13 percents in the whole tidal amplitude, respectively. However their rates are large in Mokpo and small in Naebyung Island. Shallow water constituent due to tidal friction and advection effect grows more and more going into the inside of the study area. At Naebyung Island, mean high water interval of M2 tide is earliest. Current flows NE at flood and SW at ebb at Jin Island~Gasa Island and Jin Island~Hatae Island, but it flows NW~NE at flood and SE~SW at ebb at Hwawon Peninsula~Palgeum Island. Tidal current form show reversing at Island~Gasa Island and Jin Island~Hatae Island and rotating at Hwawon Peninsula~Palgeum Island. The time when maximum speeds of flood and ebb appear at Hwawon Peninsula~Palgeum Island is delayed for 1.1 hours as against at Jin Island~Gasa Island or Jin Island~Hatae Island. Characteristics of tidal flows between Jin Island~Hatae Island and Hwawon Peninsula~Palgeum Island are quite different. Constant flows are dominant southwest.

      • 광양만 내 묘도 주변해역의 조석, 조류특성

        추효상(Hyosang CHOO) 전남대학교 어업기술연구소 2020 어업기술연구소보고지 Vol.13 No.1

        In order to estimate tide and tidal flows around the Myo Island in Gwangyang Bay, tide and current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Tide shows the mixed form with dominant semi-diurnal tide. Mean high water interval of M2 tide at the north of Myo Isalnd is earlier than that at the south. However high water of spring time and spring range at the north are lower than at the south. Flood currents flow NE~SW from the east of Myo Island, past W through the north and south and run W~SW at the west. Ebb currents flow out E from the inner part of Gwangyang Bay, past E through the north and south and run ESE at the east of Myo Island. Current speed is fastest at the east of Myo Isalnd and slowest at the west. The mean flow during the observational period is fast at the east with the speed of 7~28cm/s and slow at the west with 1~7cm/s. Direction of mean flows at surface is E at the west, the south and the east, but NW at the north. However, the currents at bottom are opposite to the surface flows. Flood flows more strongly than ebb at the north and the east in the entrance of Gwangyang Bay. At the west, ebb currents are more strong than flood currents. Tidal current form show rotating at the west and reversing at the others.

      • 소록도 동쪽 해역의 조석, 조류

        추효상(Hyosang Choo)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2019 수산과학연구소논문집 Vol.28 No.-

        소록도 동쪽 해역의 조석은 M2 분조에 대한 평균고조간격은 고흥 발포항, 거금수도, 녹동항의 순으로 녹동항이 가장 늦었다. 조석형태수는 반일주조가 우세한 혼합조 형태였다. 평균해면은 187.8~211.0 cm로 발포항에서 낮고, 거금수도에서 높았다. 약 최고고조위 및 대조 평균 고조위도 거금수도가 가장 높았다. 대조차, 평균조차, 소조차는 녹동항이 가장 컸다. 소록도 동쪽 NC-1 정점의 유동은 전반적으로는 반 일주조가 탁월한 왕복류로 북동과 남서류가 우세하였으며 평균유속 약 20 cm/s, 최강유속 43.6 cm/s였다. 수심에 따른 유향변화나 유속감소는 크지 않았다. 대, 소조에 따른 유속비율은 표층과 중층 60%, 저층 85%였다. 창조에 비해 북동 방향의 낙조가 우세하였으며 창, 낙조에 따른 유향의 반전은 약했다. 관측기간 동안 평균류는 4~10 cm/s 크기의 북북동류가 존재하였다. 소록도 동쪽 NC-2 정점의 유동은 NC-1 정점과 달리 창조시 서~북서, 낙조시 남동으로 최강유속은 낙조류 86.0 cm/s였다. 유속은 NC-1 정점보다 컸다. 평균류는 3~10 cm/s로 NC-1 정점과 유사하나 유향은 남~남남동으로 반대방향이었다. 조시에 따른 유동변화로, 대조기 NC-1 정점 표, 중, 저층은 일주조 장축방향 50~65°, 크기 3~5 cm/s였으며 반일주조는 225°, 크기 13~16 cm/s였다. 반일주조 장축과 단축의 비는 0.2~0.3으로 장축이 단축에 비해 큰 왕복성 형태였다. 대조와 소조기 NC-2 정점의 표층은 일주조와 반일주조의 장축방향이 대조와 소조시 차이를 보였으며, 대, 소조시 항류의 변화도 컸다. 반일주조 장축과 단축크기 비는 0.02~0.07로 NC-1 정점에 비해 조류의 왕복성이 더 컸다. 관측기간 중 NC-1 정점의 조류는 남서~북북동방향으로 왕복하면서 북북동~북동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대조시 NC-2 정점은 소조시나 NC-1 정점보다 조류진행이 규칙적이지 못했으며 진행거리도 짧았다. 소조시는 서~남동방향으로 왕복하며 약 5 km를 이동하였다. 소록도 동쪽해역에서 측정된 조석 및 조시에 따른 층별 조류관측결과로부터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이 해역의 조석특성과 해수유동구조가 파악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향후 해양생산력 조사를 위한 해역의 연직혼합 계산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estimate tide and tidal flows around the east of Sorok Island in the South Sea of Korea, current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simultaneously at two observational stations. Tide shows the mixed form with semi-diurnal and diurnal tide around the east of Sorok Island. Mean high water interval of M2 tide is earliest at Balpo harbor, Gohung Peninsula and delayed in order of at Geogum Channel and Nokdong harbor. It means that tide proceeds from Balpo to Nokdong through Geogum Channel. Currents at St. NC-1 flow NE at ebb and SW at flood dominantly and have mean speed of 20 cm/s and maximum speed of 43.6 cm/s. Ebb flow is stronger than flood flow. Mean flow during the observational period has the speed of 4~10 cm/s and NNE direction. At St. NC-2, currents flow W~NW at flood and SE at ebb and its maximum speed is 86 cm/s, which are stronger than St. NC-1. However unlike St. NC-1, mean current flow S~SSE. Tidal current ellipses around the east of Sorok Island have reversing form.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