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서울시 권리중심형 공공일자리 사업 참여장애인의 삶의 질 변화에 관한 연구 : 중증, 최중증 장애인을 중심으로

        최형민(HyounGmin Choi) 한국장애인재단 2023 장애의 재해석 Vol.2023 No.-

        우리나라의 경우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 사업의 핵심 용어로 사용되는 ‘권리중심형 공공일자리’는 영어의 ‘Focusing on rights-oriented public jobs’을 번안하여 아직 많이 알려지지 않은 서울시에서 시작한 사업이다, 그 후 맞춤형 중증 장애인 권리중심형 공공일자리, 권리중심형 공공일자리 등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며 시작이 되어 왔다. 해당 사업 제도에 의한 개념 정의를 보면, 권리중심형 공공일자리라는 것은 유엔 장애인권리협약(UN CRPD)를 기반으로 중증 장애를 지닌 자에게 안정된 일자리 및 다양한 직무 활동으로 이것 또한 노동이다. 중증장애인에게 맞춤형 일자리라고 표현한다. 권리중심형 공공일자리 노동자의 필요 여부는 특정한 일자리 혹은 직무 활동이 아니라 사회에 배제된 중증장애인도 다양한 직무 활동을 통해 노동을 인정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2023년 장애인일자리사업 대상자를 2,000명 확대하여 총 2만 9,546명에게 지원하고, 활동 보조사 보조 등 4종의 장애인 일자리를 신규 개발하여 총 42종의 직무 유형을 지원하는 등 장애인일자리사업을 확대 시행한다고 하였다. (보건복지부, 2023. 1. 9. 조간). 장애인 일자리를 지속해 늘려가는 등 좋은 취지가 많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아직도 중증장애인 인구 현황에 비해 실제로 중증장애인이 근무할 수 있는 공공일자리의 비율은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다. 그렇기에 해당 연구를 통해서 권리중심형 공공일자리로 근무하는 노동자의 고용 문제를 파악하여 고용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해당 일자리를 통해서 삶의 질이 얼마나 향상이 되었는지 탐색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향후 10년 후인 2033년에는 맞춤형 권리중심형 공공일자리를 통해 사회에서 배제되었던 중증장애인도 노동의 기회가 열려있을 것으로 예측되며, 중증장애인이 근무하는 기회의 요건은 더욱 증가가 될 것이다. In South Korea, the term Rights-Centered Public Job, a key concept in the program for individuals with severe and profound disabilities, was derived from the English phrase Focusing on rights-oriented public jobs. This program, initiated by the city of Seoul, is not yet widely recognized, but has since expanded under various terms such as Customized Public Jobs for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Rights-Centered Public Jobs. According to the programs conceptual definition, Rights-Centered Public Jobs are tailored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based on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UN CRPD). These jobs aim to provide stable employment and diverse work activities for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recognizing that labor includes a wide range of tasks. The need for workers in Rights-Centered Public Jobs is not limited to specific job roles but encompasses the idea that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should be acknowledged for their contributions to society through various work activities. In 2023, the government plans to expand the Disabled Workers Employment Program, supporting a total of 29,546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cluding 2,000 new beneficiaries. The program will offer 42 different types of job roles, including activity support and assistant roles. While this expansion is commendable, the proportion of public jobs available to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remain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actual population of such individual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employment issues faced by workers in Rights-Centered Public Jobs and explore ways to improve employment conditions. It also seeks to investigate how these jobs have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workers. Looking ahead to 2033, it is anticipated that the opportunities for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Customized Rights-Centered Public Jobs will continue to grow, and the criteria for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will become even more significant.

      • KCI등재
      • KCI등재

        임산부에서 발생한 말라리아 감염 2예

        최형민 ( Hyung Min Choi ),김윤진 ( Yun Jin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3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14 No.1

        최근에 한국에서는 수입형 말라리아가 증가하고 있고, 간간이 토착형 말라리아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말라리아에 감염된 산모는 드문 경우로, 본원에서 임신 2분기에 감염되어 산전에 치료 후 건강한 만삭의 신생아를 분만한 한 예와 임신 33주 경에 조기 분만 후 균이 동정되어 치료 후 신생아는 출생 후 6주경에 선천성 말라리아로 치료한 한 예를 경험하였다. 이에 본 저자들은 상기 증례들을 각각 간단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ecently, in Korea, the number of malarial infections from endemic countries are in increasing and occasionally domestic infections are reported. But the malarial infection during pregnancy is rare case. We have experienced two cases of malarial infected pregnant women. They did not traveling in malaria endemic area and transfusion history. One had been treated during antepartum and delivered a healthy baby at term and her baby did not have any evidence of congenital malarial infection. But another pregnant woman has not been treated antepartum and treated after delivery. Her baby was infected with congenital malaria. Thus, we present these two cases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 KCI등재
      •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한 심전도의 기저선 제거

        최형민 ( Hyoung Min Choi ),김원식 ( Wuon Shik Kim ),정광일 ( Kwang Il Jeong ),황재호 ( Jae Ho Hwang ) 한국감성과학회 2003 춘계학술대회 Vol.2003 No.-

        본 연구에서는 심전도 신호의 전처리 과정에서 원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기저선을 제거 할 수 있는 웨이브렛 모함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European S-T T database의 심전도 신호에 다양한 웨이브렛 모함수를 적용하여 기저선을 제거하였으며 제거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SNR과 RSE를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가장 우수했던 웨이브렛 모함수는 db8(diff: 27.12), coif5(diff: 25.32), sym7(diff: 25.13)이었으며, diff(meanSNR-meanRSE)의 값이 23미만으로는 심전도의 진단 파라미터까지 왜곡시키므로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 철거교량을 활용한 도시시설물의 안전성 평가 기법 개발

        최형민(Choi, Hyoung Min),이원우(Lee, Won Woo),강창묵(Kang, Chang Mook),정진수(Jung, Jin Soo),공정식(Kong, Jung Sik)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10 한국구조물진단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2010 No.2

        구조물은 공용연수의 경과에 따른 노후화로 시설물의 성능이 서서히 손실되기 마련으로, 기존의 구조해석에서는 이러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성능저하를 정확히 산정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과거에 단순 폐기되던 철거교량에 대하여 시편채취, 파괴시험 등을 실시함으로써, 공용중인 교량에 대한 성능평가 및 거동분석 기법 등 안전성 평가기법을 연구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As the service period of structures are increase, the performance are gradually decrease. Because several established structure analyses have limitation,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degradation accurately as time pass. It is the purpose of studying, based on the safety assesment technique like performance assesment and behavior analysis, to the extract of sampling and to the performance of the destruction test about simply the discarded bridge ruined during the past.

      • KCI등재

        임신 전 체질량지수와 임신 중 체중 증가에 따른 주산기 예후

        최형민 ( Hyung Min Cho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11

        목적: 임신 전 체질량지수와 임신 중 체중 증가에 따른 주산기 예후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본원에서 만삭 분만하였던 임신부 중에서 임신 전 체질량지수를 알 수 있었던 임신부를 대상으로 하여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kg/m2)는 아시아 기준 저체중(<18.5), 정상체중(18.5≤BMI<23), 과체중(23≤BMI<25), 비만(≥25)의 네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임신 중 체중 증가는 정상 체중 증가를 12~13.5 kg을 기준으로 저체중 증가군(<12 kg), 정상 체중 증가군(12~13.5 kg), 과체중 증가군(>13.5 kg)의 세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각 군에서의 모성합병증과 신생아합병증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 임신부는 전체 225명이었고, 임신 전 체질량지수에 따라 나누었을 때 각각 저체중군 35명(15.5%), 정상체중군 132명(58.7%), 과체중군 31명(13.8%), 비만군 27명(12.0%)이었으며. 임신 중 체중 증가는 저체중 증가군 73명(32.4%), 정상체중 증가군 44명(19.6%), 과체중 증가군 108명(48.0%)이었다. 임신 중 체중 증가의 정도를 세 군으로 나누어 임신 전 체질량지수에 따른 분포와 비교하여 보면 통계적으로 의의 있게 저체중군에서 과체중 증가군이 많았으며, 과체중군, 비만군에서 저체중 증가군이 많았다. 주산기 예후에서는 임신 전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임신성 당뇨, 제왕절개분만의 빈도, 거대아의 빈도가 각각 의의 있게 높았다. 그리고 임신 중 체중 증가가 많을수록 제왕절개분만의 빈도, 거대아의 빈도에서 각각 의의 있게 높았다. 결론: 임신 전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임신성 당뇨, 제왕절개분만, 거대아가 의의 있게 증가하였으며, 임신 중 체중 증가가 많을수록 제왕절개분만, 거대아가 의의 있게 증가하였다. Objective: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BMI), gestational weight gain and perinatal outcomes. Methods: The data of women who delivered at term in our institute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7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Four categories of prepregnancy BMI and three categories of gestational weight gain were constructed and used maternal, neonatal outcomes. Results: This study included 225 women with term delivered in our institute. According to prepregnancy BMI categories, lean (<18.5), normal (18.5≤BMI<23), overweigh (23≤BMI<25), obese (≥25) were 35, 132, 31, 27, respectively. According to gestational weight gain categories, lean (<12 kg), normal (12~13.5 kg), overweight (>13.5 kg) were 73, 44, 108, respectively. Gestational weight gain above guidelines was common in low prepregnancy weight group,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women with increased prepregnancy BMI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cesarean section rate, and large for gestational age (LGA) (P<0.05). In women with overweight gain during pregnancy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cesarean section rate and LGA (P<0.05). Conclusion: Increased prepregnancy BMI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cesarean section rate, and LGA. Also excessive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cesarean section rate and LG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