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한 안내염으로 의뢰된 113 사례 분석 및 시력예후와 관련된 인자

        최성찬(Seong Chan Choi),조한주(Han Joo Cho),김형석(Hyoung Seok Kim),한정일(Jung Il Han),이동원(Dong Won Lee),조성원(Sung Won Cho),이태곤(Tae Gon Lee),김철구(Chul Gu Kim),김종우(Jong Woo Kim)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3

        목적: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한 감염성 안내염으로 본원에 의뢰되어 치료 받은 환자들을 분석하여 최종 시력과 연관된 인자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8년부터 2013년까지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한 안내염으로 본원에 의뢰된 환자 113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초진시력, 술 후 안내염 발생 시기, 전방축농 유무, 의뢰되어 시행한 치료의 종류, 균 동정 유무 및 종류 등이 최종시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결과: 환자 총 113명 중 초진시력이 안전수동 이하인 환자는 75명(66.3%)이었으며, 치료 후 최종시력이 0.5 이상 회복된 환자는 73명(64.6%)이었다. 초진시력이 안전수동 이상인 경우에 시력예후가 더 좋았으며(p=0.001), 그람 음성균에 의한 감염인 경우(p=0.007) 또는 백내장 수술 후 2일 이내에 발생한 안내염인 경우(p=0.043) 최종시력이 유의하게 나빴다. 초진시력이 안전수동 이상인 환자에서 초기 치료로 유리체절제술과 안구 내 항생제주입술은 최종시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초진시력, 동정된 균의 종류와 백내장 수술 후 안내염 발생까지의 기간이 치료 후 좋은 시력예후와 연관이 있었다. 조기 유리체 절제술과 안구 내 항생제주입술의 치료 효과는 분명치 않았으나,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o evaluate factors affecting final visual acuity by analyzing patients referred with infectious endophthalmitis after cataract surgery. Methods: A retrospective investigation of clinical notes of 113 patients referred with endophthalmitis following cataract surgery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13. To evaluate factors affecting final visual acuity, initial visual acuity, onset of endophthalmitis after the cataract surgery, types of treatment, presence of hypopyon and culture results were investigated. Results: Of the 113 patients, visual acuities at presentation were hand motions or less in 75 patients (66.3%) and final visual acuities after treatments were 0.5 or better in 73 patients (64.6%). Cases with initial visual acuity of hand motions or better achieved favorable outcomes whereas cases with gram-negative infection or endophthalmitis occurring within 2 days postoperatively showed poor prognosis. Statistically, vitrectomy versus intraocular antibiotic injection as primary means of treatment showed no differences in final visual acuity in patients with initial visual acuity of hand motion or better. Conclusions: Visual acuities at presentation, type of cultured organism and onset of endophthalmitis after cataract surgery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visual prognosis. Advantages of initial vitrectomy versus intraocular antibiotic injections were unclear and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cessary to clarify these issues.

      • KCI등재

        아토피 환자에서 발생한 망막박리의 임상적 양상

        최성찬(Seong Chan Choi),조한주(Han Joo Cho),이동원(Dong Won Lee),조성원(Sung Won Cho),김철구(Chul Gu Kim),김종우(Jong Woo Kim),김형석(Hyoung Seok Kim)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8

        목적: 아토피 환자에서 발생한 망막박리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 및 수술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아토피 환자에서 발생한 망막박리로 본원에서 치료 받은 37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초기시력, 과거력, 망막박리의 종류, 망막열공의 개수와 종류, 시행한 수술 종류, 망막박리의 재발 유무, 백내장 동반유무 등을 조사하였다. 백내장 유무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초진시 백내장이 없는 환자군을 A, 백내장이 있는 환자군을 B, 이전 백내장 수술력이 있는 환자군을 C로 구분하여 각 군 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37명 중 남자가 29명, 여자가 8명이었으며, 양안 망막박리는 10명(27.0%)이었다. 망막열공의 위치는 이측을 포함한 경우가 47안 중 42안(89.4%)이었으며, 비측에만 열공이 생긴 경우는 5안(10.6%)이었다. 백내장 여부로 구분한 세 군 간에 성비, 평균 나이, 수술 전후 교정시력, 안축장 길이, 열공의 위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차 수술 후 12명, 총 14안(37.8%)에서 망막박리가 재발하였고, 양안 망막박리로 진단 받은 환자 10명 중 5명에서 재발하였다. 재발한 14안 중 12안이 본원에서 재수술을 받았고, 그중 3안에서 다시 재발하여 추가수술을 시행 받았다. 결론: 아토피 피부염에서 동반된 망막박리는 양안에 동시에 발병한 경우가 많으며, 망막열공이 이측에 있을 확률이 높다. 백내장이 동반되어 있거나 이전 백내장 수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 백내장이 없는 환자에 비해 유의하게 망막박리의 재발이 많았다(p=0.024).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surgical outcomes of retinal detachment associated with atopic dermatitis. Methods: A retrospective investigation of clinical notes of 37 patients with retinal detachment associated with atopic dermatitis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15. Initial visual acuity, medical history, type of retinal detachment, number of tears, types of treatment, success rate of treatment, and presence of cataract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with cataract,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lens status: group A (eyes with clear lens), group B (eyes with cataract), and group C (pseudophakic eyes). Results: Of the 37 patients, 29 were male and 8 were female; 10 patients had bilateral retinal detachment (27.0%). The retinal breaks were often located temporally (89.4%), with only 5 cases (10.6%) involving nasal-side retinal break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the ratio of males to females, age distribution, visual acuity before and after treatments, axial length, and location of retina breaks among the three groups. After primary surgery, retinal detachment recurred in 12 patients (14 eyes), 5 of whom were initially diagnosed with bilateral retinal detachment. In addition, 12 of 14 eyes underwent a second operation, in which detachment recurred in 3 eyes. Conclusions: Incidence of bilateral retinal detachment was high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and the retinal breaks were often found on the temporal side. Retinal re-detachment was statistically high in patients with cataract or pseudophakic eyes compared to patients with clear lens (p = 0.02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