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寶珠와 觀音菩薩의 相關性에 관한 硏究

        최미순(Choi Misoon) 한국미술사학회 2007 美術史學硏究 Vol.256 No.256

        보주는 원래 인도에서 주술적인 護符〔符籍〕로 시작하여 ‘고뇌로부터 구해주는 것’으로 의미가 점차 확장되었는데, 그 전개과정은 일개 瓔珞에서 如意寶珠로 변모하는 과정과 일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살의 지물로 등장하는 보주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 형태에 따른 분류를 시도한 결과 보주에는 육각 결정형, 팔각형, 원형의 세 가지 유형이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세 유형은 기존의 연구결과와 달리 별개의 의미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보주라는 커다란 유기체적 존재 안에서 조금씩 변형된 형태일 따름일 뿐이며 모두 사리와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기능하고 있었다. 그리고 사리장엄구와 이들 세 유형과의 관련성을 검토한 결과 육각 결정형 보주 형태로 된 사리 내용기(사리장엄구 중 가장 안쪽에 있는 사리용기)를 찾아내는 뜻밖의 수확을 거둘 수 있었다. 그로 인해 지금까지 사리와 별도로 취급해 오던 육각 결정형 보주도 사리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밝혀내었다. 또한 원형 보주가 사리의 대체물로 대중에게 수용되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원형으로 테두리만 진 것과 원형의 테두리 안에 두 줄을 그은 것은 비록 형태적인 측면에서 조금 차이가 나지만 결국 사리를 상징하는 물체로서 석가모니와의 관계를 전제로 보살의 지물에 도입되어 보살상의 성격을 결정했다는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보주의 불교적 의미와 기능을 살피기 위해 보주를 지물로 한 조상들이 성행하는 시기에 한역된 불교경전 중에 보주라는 용어가 등장하는 구절을 검토하여 그 상황을 통계적으로 분석 종합해 보았는데, 보주의 신비로움에서 비롯된 불가사의한 비유를 제외하면 석가모니의 본생담 중 하나인 능시태자류 본생담을 중심으로 단일한 하나의 카테고리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 설화의 공통요소들을 추출해본 결과 이 본생담은 남해를 둘러싼 해상무역과 주로 관련 되어 있으며, 관음의 소의경전인 『法華經』「관세음보살보문품」의 주된 내용 중 하나인 諸難救濟와도 상관되었을 가능성을 언급해보았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보주를 지물로 한 보살상 형식의 성립과 전개 양상을 살피기 위해 초기 조상들의 지물을 엄밀하게 분석해보았는데, 보주를 쥔 손의 형태에 따라 봉보주보살 형식/봉지보주보살 형식/집보주보살 형식,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그 중에서 봉보주보살 형식이 중국의 초기 상들에서부터 등장하였고 봉지보주보살 형식과 집보주보살 형식은 그보다 늦게 조형되기 시작한 듯하다. 봉보주보살 형식은 수인의 모습으로 미루어 ‘공양’이라는 행위를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는데, 『법화경』의 「관세음보살보문품」에 서술된 무진의보살이 관음보살께 영락을 바치는 행위와 관음보살이 이를 받아 석가모니불과 다보여래께 다시 공양한 장면을 표현하는데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한다. 봉지보주보살 형식은 주로 남조의 조상에서 조형되었으며, 수인은 사리와의 관련 속에서 비롯된 형태로 북제 대에 이르면 북조에서도 조형 예가 보인다. 집보주보살 형식은 삼존불의 협시로 조형되기 시작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주로 이보살병립상이나 단독상으로 조형되며, 북제 대에 이르면 조형 예가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세분되는 세 유형을 하나의 형식으로 통합해보면, 주로 연봉오리를 쥔 관음보살과 대칭을 이루어 시무외ㆍ여원인을 한 본존을 협시하는 모습으로 삼존불을 구성하고 있는데, 이 형식의 시기적인 지속과 양적인 증가는 놀라울 정도였다. 이 삼존상을 구성하는 보살상의 보주 지물은 초기에는 연봉오리와 유사하여 구분이 불가능한 형태를 보이다가 북위 말경에 이르면 지물의 형태가 완성되어 삼존불을 구성히는 존격이 일정한 예로써 하나의 유형으로 자리를 잡아간다. 그리고 동위 대부터 북제 대에 걸쳐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삼존불 형식에서 연봉오리를 든 관음보살과 집보주보살이 하나로 세트를 이룬 이보살병립상 형식이나 집보주보살 형식으로 된 단독상과 같은 새로운 도상들이 파생되어 나오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들 조상에 적힌 ‘雙觀音’이나 ‘觀音’이라는 명문으로 미루어 집보주보살상이 관음으로 불렸음을 알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 집보주보살상이 능시태자 본생담에 근거한 석가모니의 전생보살과 관음보살이 일체화된 조형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 두 존격의 일체화라는 현상에는 석가모니가 지니고 있던 중생에 대한 자비심이 능시태자와 보주를 매개체로 하여 관음보살에 투영되는 신앙적 변모 과정이 암시되어 있으며, 이 과정을 통해 석가모니와 관음보살은 직접적으로 연관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일반 대중은 집보주보살상에서 관음보살의 자비심뿐만 아니라 석가모니의 모습도 본 것이며, 그로인해 여러 보살 중 최고의 위치에 놓일 수 있었다. 이러한 신앙적 배경을 근거로 집보주관음보살 도상은 출현한 이래 수대에 이르기까지 비약적인 증가를 보이며 지속적으로 성행하였다고 판단된다. 寶珠는 석가모니의 正覺의 結晶으로써 그의 깨달음을 온 천하에 顯示하는 證票이자 衆生을 향한 석가모니의 자비심을 상징하는 매체이다. 따라서 깨달음을 얻고자 수행을 하고 있는 보살들에게는 여래가 되기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게 해주는 指標였던 한편 일반 중생들에게는 각각의 根機에 따른 바람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신비로운 물체로 인식ㆍ수용되었다. 따라서 보주는 지혜로써 깨달음을 얻어 현재의 삶을 규정하는 因緣과 業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개인적인 영역〔正覺, 小乘〕을 넘어, 無明과 그로 인한 고통으로 괴로워하는 일반 대중을 구원하여 종교적인 영역〔慈悲, 大乘〕으로 탈피하게 해주는 중요한 지물로 볼 수 있다. In India, the Cint??-ma?i (Korean Poju, a wish-granting jewel), originally referred to a sort of amulet like jewel with a magical protecting power, however, its meaning had been transformed into an important Buddhist object that possesses the power of saving its believers from sufferings This conceptual transformation, in fact, elucidates how a magical amulet had developed into an important symbolic object named as Cint??-ma?i in Buddhist visual culture.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I have categorized the Cint??-ma?i into three different types based on its shapes: Hexagonal, octagonal, and round shapes, Unlike previous scholarships, I would like to assert that these three types of the Cint??-ma?i did not exist independently, but rather coexisted, and more importantly, they developed in a great interactive context in a dose relation to the ?ar?ra. While conducting a close examina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int??-ma?i and ?ar?ra, I have discovered an innermost ?ar?ra casket in the octagonal shape. which strongly resonates the octagonal Cint??-ma?i Therefore, a conventional point of view that differentiates the octagonal Cint??-ma?i from the ?ar?ra needs to be reexamined, Moreover. I would like to assert that Cint??-ma?i and ?ar?ra had an inseparable relationship in terms of their religious and iconographic features. Regarding the fact that the round shaped Cint??-ma?i started to be accepted as a replacement of ?ar?ra among lay believers, the two different decor found on the surface of the Cint??-ma?i: outlined with either one line or with two lines, seemed to be less significant at least in terms of determining the religious nature of the round shaped Cint??-ma?i I believe that the Cint??-ma?i, which had been perceived as an symbolic object to replace the ?ar?ra was finally chosen as a religious attribute for Bodhisattvas based on its strong tie with Sakyamuni Buddha. In the second part of the paper, I have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Cint??-ma?i and its religious function on a base of a dose examination on sutras that refer to Cint??-ma?i These sutras written in Chinese were published during the periods that saw a great number of Buddhist sculptural images holding Cint??-ma?i in the hands. The stories that mentioned the term, Cint??-ma?i, offers a comprehensive insight into how the Cint??-ma?i became associated with mysterious supernatural power. More importantly, the Cint??-ma?i often appeared in Jataka tales Like the Nengshi Prince Story. This sort of stories are related to marine trades in me South Sea (Nanhai), suggesting that its scriptural origination might have been from a chapter called "the Universal Gate of Bodhisattva Avalokitesvara," in the Lotus Sutra. This chapter is well-known for Guanyin's various compassionate miracles that saved people in troubles. In the third part of the paper, I have scrutinized the iconographic formation of the Cint??-ma?i as well as its periodical development. There are three types of Bodhisattva based on the way of holding the Cint??-ma?i: two hands holding the Cint??-ma?i in their palms, one hand holding the upper paJt of the Cint??-ma?i and the other holding the lower part, and only one hand holding the Cint??-ma?i. Among these three types, "Two hands holding the Cint??-ma?i in their palms" appeared in earlier Chinese sculptures, while the other two types were employed in later works. In particular, "Two hands holding me Cint??-ma?i in their palms:' may be understood as a symbolic act of offerings. Probably, this particular iconography can be a-aced back to an episode in the chapter "Universal Gate of Bodhisattva Avalokitesvara" in the Lotus Sutra , which narrates Guayin Bodhisattva offers both Sakyamuni and Prabhutaratna with a jewel. The hands that grab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citamani, was highly popular in the works from the Southern Dynasties (420-589). Such a particular manner of holding the Cint??-ma?i, in fact was transmi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