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Ability of Bone Mineral Density and Microstructural Indices to Reflec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rabecular Bone in the Intertrochanteric Region

        Wen Quan Cui(최문권),Ye-Yeon Won(원예연),Kwang-Kyoun Kim(김광균),Myong-Hyun Baek(백명현),Sung-Gu Yeo(여성구),Han-Sung Kim(김한성),Han Ter Min(민한터)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8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골밀도와 미세 골구조의 성질이 전자부 골소주의 기계적 특성(예, 탄성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15명의 환자로부터 대퇴골 전자부에서 총 15개의 고관절 골소주 시편을 채취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PIXImus2 골밀도 측정기, 고해상도 미세 컴퓨터 단층촬영기,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골밀도와 2차 및 3차원 미세구조 지수, 그리고 기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골밀도, 구조 지수, 탄성계수 간의 상관관계를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결과: 저자들의 본 연구에서 골밀도 및 골 체적비는 기계적 특성을 예측하는데 가장 중요한 인자였으며, 삼차원 마세구조 지수(예를 들어 구조 모델 지수) 또한 51% 정도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기계적 특성을 예측하였다. 골밀도와 미세구조지수를 조합한 경우에 탄성계수의 변화량을 예측하는데 잘 반영하였다. 결론: 골밀도와 미세구조지수를 이용한 복합적인 분석은 전자부에서 탄성계수를 예측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이다.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ribution of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the microstructural properties of trabecular bone to predict its mechanical property, i.e., its elastic modulus in the intertrochanteric region.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15 trabecular bone core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the proximal femurs of patients who were to undergo to total hip arthroplasties. The BMD measurement, 2-D and 3-D microstructural parameters, and elastic modulus of each bone core were obtained with PIXImus2 densitometer, high-resolution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CT), and micro-finite element analysis (FEA). The multiple relationships among the BMD, structural parameters and elastic modulus were assessed with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Linear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bone volume fraction (BV/TV) was the best predictor for Young's modulus, as well as the BMD. A 3-D microarchitectural parameter, the structure model index (SMI) could well explain the variance of Young's modulus by 51%. The ability to explain the variance of Young's modulus was improved by combining the structural indices with each other, as well as by supplementing the BMD with any of the examined structural indices. Conclusion: A combination of microstructural paramet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bone mineral density measurement could provide the best predictions of the elastic modulus of cancellous bone in the intertrochanteric region.

      • KCI등재

        Zone-dependent Analysis of the 3D Microstructural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Myong-Hyun Baek(백명현),Kwang-Kyun Kim(김광균),Wen Quan Cui(최문권),Keyoung Jin Chun(전경진),Ye-Yeon Won(원예연),Jin Soo Park(박진수)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8

        목적: 최근 미세단충촬영기가 개발되면서 미세한 해면골의 2차원 및 3차원 영상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 소개되었다. 저자들은 미세단충촬영기 및 유한요소모델을 이용하여 괴사된 대퇴골두 해면골의 미세구조 및 기계적 특성을 분석하여 대퇴 골두 무혈성괴사의 치료법 중에서 골두 보존술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구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미세단층촬영기를 이용하여 7개의 괴사된 대퇴골두의 제1압박골소주군 부위를 촬영하여 미세구조영상을 얻어 구조분석 및 유한요소모델을 만들었다. 이들 모델은 3개의 부위(Zone)으로 나뉘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결과는 반응부위(Zone Ⅱ)에서 구조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의 중요한 변화를 보였다. 특히, 골소주 두께, 골 체적비, 반력, 그리고 영률은 다른부위(Zone Ⅰ and Zone Ⅲ)에 비해서 중요한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Zone Ⅰ과 Zone Ⅲ에서는 중요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 반응부위에서 구조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이 강해진 것은 ONFH의 골두보존술에서 부분전치환술시 시멘트를 중요하게 지지해 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Zone Ⅱ는 임플란트의 함몰을 피하기 위해서 이 부분을 보존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The development of micro-CT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for the analysis of the 20 and 30 micro-images taken with the high-resolution techniqu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icrostructur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rabecular bone with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ONFH) by using micro-CT and the finite element model, and we wanted to elucidate ways to help surgeons during headsaving procedures. Materials and Methods: Seven bone cores obtained from human femoral heads with osteonecrosis were scanned using the micro-CT system. Based on the micro-images, the finite element model was created in three region within the ONFH, respectively, and finite element analysis was then performed. Results: The results showed salient changes of the microstructural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the reactive zone (Zone Ⅱ) specimens. Specifically,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trabecular thickness, the bone volume fraction, the reaction force and Young's modulu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ther zones were found. Conclusion: The Zone Ⅱ within the ONFH has a strong microstructure and good mechanical strength. The results of our study, are impotant for surgeons when they are cementing a partial resurfacing implant to preserve the femoral head during treatment for ONFH. Thus, we suggest that Zone Ⅱ should be preserved as much as possible to avoid implant subsidence.

      • KCI등재후보

        한국인에서 대퇴거와 대퇴스템의 형태학적 연구

        원예연 ( Ye Yeon Won ),조재호 ( Jae Ho Cho ),최문권 ( Wen Quan Cui ),구경회 ( Kyung Hoi Koo ),김준용 ( Joon Yong Kim ),윤태봉 ( Tae Bong Yun ) 대한고관절학회 2007 Hip and Pelvis Vol.19 No.1

        목적: 한국인 대퇴거의 형태학적 자료를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얻고, 우리나라에서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에 자주 사용되는 무시멘트성 대퇴스템과 대퇴거와의 형태학적 관계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한국인 54명(평균 연령 49세)의 양측 고관절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대퇴거의 길이, 높이 및 두께를 측정하였으며, 대퇴거로부터 전방 피질골까지의 수직거리를 측정하여, 선정된 대퇴스템 중 많이 쓰이는 크기의 전후폭과 비교하였다. 결과: 53(98%)명의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에서 대퇴거가 관찰되었다. 대퇴거의 길이(11.4±3.0 mm), 높이(35.1±5.96 mm) 및 두께(2.4±0.7 mm)는 연령에 따라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p>0.05), 대퇴거로부터 전방 피질골까지의 거리는 선정된 무시멘트성 대퇴스템에서 주로 사용되어진 크기의 전후폭을 대부분 수용할 수 있었다. 결론: 한국인에서 대퇴거는 나이에 상관없이 항상 존재하는 피질골 구조임을 알 수 있었으므로, 대퇴스템의 초기 회전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판단 되었다. 무시멘트성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할 경우 대퇴거를 보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orphological data of the calcar femorale using high resolution CT and to determine its relationship with the morphology of femoral stems commonly used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CT scans of the bilateral proximal femurs were randomly obtained from 54 Korean subjects(31 males and 23 females). The mean age was 49 years. The length, vertical height and thickness of the calacr femorale were measured. The medial dimension of the proximal portion of the femoral stems was investigated and matched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 anterior cortex of the proximal femur and the midpoint of the calcar femorale. Results: The calcar femorale was visible in 53 CT scans(98%). The length, vertical height and thickness of the calacr femorale was 11.4 3.0 mm, 35.1 5.96 mm and 2.4 0.7 mm, respectively,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with age. The dimensions of the femoral stems were compatible with the morphology around the calcar femorale. Conclusion: The calcar femorale is a constant cortical structure that can provide consistent rotational stability for the proposed cementless stems.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the calcar femorale be preserved during the femoral prepa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