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재미있는 가축이야기(1) - 인간에게 선택 받은 동물 "가축"

        조창연,Jo, Chang-Yeon 한국사료협회 2010 飼料 Vol.45 No.-

        지금 까지는 축산이 가지고 있는 가치에 대하여 1차산업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평가하여왔습니다. 그러나 축산은 여러 가지 문화가 포함된 것으로 가축이라는 인류의 문화유산을 지금 우리에게 남겨주었고 또 우리는 그 문화유신을 후손에게 넘겨주어야 합니다. 앞으로 연재를 통하여 축산 가축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인 가치를 서술하고자 합니다만, 필자는 문화학을 공부한 적이 없이 축산학만을 전공한 사람으로 문화적인 접근에 대하여는 생소합니다. 또한 자금까지 읽은 단편적인 지식을 전달하기 때문에 잘못된 관점도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독자님들의 깊은 이해를 구하면서 시작하겠습니다.

      • KCI등재후보

        디지털 콘텐츠의 의미생성 전략 분석

        조창연(Jo Chang-yeon) 인문콘텐츠학회 2008 인문콘텐츠 Vol.0 No.12

        이 논의는 광고 미디어의 환경변화에 의해서 새롭게 나타나는 디지털 콘텐츠 중심의 광고를 살펴보고, 그것이 기존 광고의 의미 생성의 지평 확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그 장르적 변화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광고의 메시지 구조와 생성의 특성을 살펴보고, 광고의 디지털화가 진행되면서 가능해진 광고의 장르를 살펴보았다. 뉴미디어의 발전, 특히 디지털화는 광고의 텍스트적 구조를 변화시키고, 텍스트가 디지털화 되면서 이야기의 중심에 스토리텔링, 즉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들어서면서, 광고가 텍스트에서 콘텐츠로 진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콘텐츠로서 광고는 탈 중심적이고 위계적이기 보다는 자유롭게 성장하는 네트워크 조직으로 구성되며, 그 의미는 결정론적이기보다는 상호작용적이며 창발적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광고 원형 혹은 소스는 다양한 이야기의 소스가 되고 이 콘텐츠들은 역으로 하나의 이야기의 소스가 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연구는 애니콜의 애니스타 광고를 사례로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가 광고 메시지의 구조와 의미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게 된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광고가 콘텐츠 광고라는 새로운 광고 장르로 그 지평을 확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some possibilities of changing ad genre. For this purpose we look into the structural characters of digital contents that is newly noticed in the environmental change of Advertising Media, and to analyse his influence upon the horizontal extension of ad meaning generation. Furthermore we take into consideration characters of generating ad message and possible change in ad genre. The development, especially digitalization of new media change the structure of ad text, and advertising is able to be developed from text to contents, the text being digitalized and storytelling coming into shape. Ad as sort of contents is charactered as neither non-centered nor phased, rather sort of free developing network organization, where ad meaning is generated not deterministic, but interactive and emergent. From these results a ad source or prototype get to be source for various different story and vice versa. In the study is chosen anystar ad campaigns for an example to understand how digital contents take influences on ad message form and ad meaning generation. These study results will contribute to broaden the horizontal level from ad to new ad genre as contents advertising.

      • KCI등재

        뉴로 커뮤니케이션: 휴먼커뮤니케이션의 뇌과학적 탐색 연구

        조창연 ( Chang Yeon Jo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17 No.1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some possibility of modelling the human communication on the basis of cognitive science and brain-science studies in which a sender can transmits his/her messages to the receiver without message distortion. First the current human communication models on transmitting message were reviewed focusing on the process of the message distortion. The review reveals that these models commonly consist of sender expressing meaning, message encoded with meaning, medium transmitting a message, and receiver receiving message. The encoded message and its medium have played a deceive role in getting over the time and place(space), but because of their mediated functional characteristics, they also played negative role in transmitting the message by distorting sender`s message. The limit of these mediated characteristics in previous human communication models can be considerably developed when our thought is message in itself and could be transmitted as it is. This possibility is shown in evolutional biological studies, i.e., the studies of cognitive science and brain science that are recently new developed. Especially those achievements in the studies of brain wave are suggestive of excited possibility. This discussion will provide a momentum for how to understand the span of the human communication on the basis of cognitive science and brain-science studies.

      • KCI등재

        협상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토대와 함의: 80년대와 90년대의 협상이론을 중심으로

        조창연 ( Chang Yeon Jo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0 No.3

        Negotiation is an extremely useful tool in mediating conflicts that arise throughout society when various interests collide, functioning as a tool to bridge the differences in opinions amongst people. The features of negotiation have been gradually evolving along with continuous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For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negotiating based on historic situations and its implications on today`s form of negotiation. Recognizing these issues, this study discusses how the process of negotiating transformed with time, the critical issues that appeared along with these changes, and what its implications are on current negotiation techniques by analyzing literature reviews. The study sampled study results from the 80s and 90s using the strategic sampling method and identified seven standards, which are, negotiation concept, basic principles of negotiation, negotiation goal, negotiation strategy, negotiation tactic, negotiation process and negotiation outcome using the cross sectional indexing method. The results, concluded from this study, revealed significant characteristics. Due consideration for the other party engaging in the negotiatio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emotional negotiation factors, value creation, assessment of diversity or differences, emphasis on the long-term-oriented effects of negotiation, adequate information sharing and incorporating negotiating into everyday lif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