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정신건강이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조은주B(Eun-Ju CHO),조은주A(Eun-Joo JO)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6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정신건강이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 되었다. B시 소재 K대학의 간호학과 3, 4학년 학생 11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0월 5일에서 8일까지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0.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영적간호역량과 영적안녕 및 영적안녕의 하위요인인 종교적 안녕과 실존적 안녕 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영적간호역량과 정신건강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영적간호역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신건강이었으며 다음으로 영적안녕과 종교기간 순이었고, 설명력은 29.4%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영적간호역량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과 영적안녕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piritual Well-being, Mental Health on Spiritual Care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were 116 nursing college students in B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Oct. 5th to 8th, 2020 through the survey of the participants. Then, this study statistically processed the data using the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SPSS WIN 20.0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Care Competence and Spiritual Well-being.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Care Competence and Mental Health. The meaningful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Spiritual Care Competence were Mental Health, Spiritual Well-being and period of religion in order. These factors were responsible for 29.4% of the total variance in Spiritual Care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In conclusion, to increase the Spiritual Care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and Spiritual Well-being intrevention program.

      • 간호대학생의 가치관과 간호전문직관이 통일의식에 미치는 영향

        조은주(Eun Joo Jo),김정희(Jeong Hee Kim),임경민(Kyeong Min Lim) 고신대학교 전인간호과학연구소 2019 전인간호과학학술지 Vol.12 No.-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sense of value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consciousness of national unification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ubject were 84 nursing students in B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8 to 11, 2019, and analyzed using a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sciousness of national unification by sex, health status, relation with another nation and reason for national unification. In addition,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consciousness of national unification and sense of values. Meaningful variables that influenced consciousness of national unification were sense of values, reason for national unification and relation with another nation. The factors comprised 28.7% of total variance in the consciousness of national unification of nursing students, and sense of values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Conclusion: To increase the consciousness of national unification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of national unification, and nursing student exchange program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조은주(Eun-Joo Jo),강정미(Jung-Mi Kang),임경민(Kyoung-Min L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B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생 122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5월 6일부터 5월 13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Scheff"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정도는 5점 만점의 평균 평점 3.23점,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4점 만점의 평균 평점 2.71점, 셀프리더십은 5점 만점의 평균 평점으로 3.63점이었다. 대상자의 셀프리더십 정도는 건강상태(p<.001), 대인관계(p=.001), 전공만족도(p<.001), 임상실습 만족도(p=.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셀프리더십과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음의 상관관계(p=.028)가,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양의 상관관계(p<.001)가 있었고,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건강상태, 스트레스 대처방식, 전공만족도이었다. 이중 건강상태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전체 설명력은 28.1%이었다(p<.001).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을 높이기 위해서는 좋은 건강상태를 유지하고, 효율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가지는 것과 함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the stress coping type on the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were 122 nursing students in B city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6 to May 13, 2015.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the t-test, ANOVA, Scheff"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elf-leadership by health status (p<.001),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001),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 (p<.001)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p=.002). Self-leadership was negatively related to clinical practice stress (p=.028) and positively related to stress coping style (p<.001). The meaningful variables which influenced self-leadership were the health status, stress coping type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28.1% and the health status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for them to maintain a good health condition and to have an effective stress coping type. In addition, methods are neede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nursing major students.

      • 일 지역 인문계 여고생의 시험불안이 월경이상 및 월경통에 미치는 영향

        조은주(Jo Eun Joo) 고신대학교 전인간호과학연구소 2015 전인간호과학학술지 Vol.8 No.-

        Purpose: This study is an descriptive research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f menstrual dysfunction and menstrual pains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students 172 people in female high school in B metropolitan city. The analytic methods were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strual dysfunction according to grade(F=10.936, p=.000) and difficulty of daily living(F=7.459, p=.001).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strual pains according to grade(F=8.399, p=.000) and difficulty of daily living(F=5.894, p=.003). the test anxiety was weakly correlation between menstrual dysfunction(r-/314, p<01) and menstrual pains(r=.371, p<.01). Meaningful variables that explain menstrual dysfunction and menstrual pains were test anxiety and grade.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vention strategy and health education programmes, based on grade and test anxiety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need to be developed intervention strategy to reduce menstrual dysfunction and menstrual pain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결혼의식과 출산의식이 예비부모역할에 미치는 영향

        조은주(Eun-Joo Jo),안은선(Eun-Seon 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결혼의식 및 출산의식, 예비부모역할 정도를 알아보고, 결혼의식과 출산의식이 예비부모역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B시 소재 4년제 대학의 간호대학생 202명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5월 11일에서 15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예비부모역할 정도는 경제상태, 이상자녀 수, 희망자녀 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대학생들은 배타적 결혼관이 높았으며, 출산의식과 예비부모역할 정도은 중간보다 높게 나타났다. 예비부모역할은 낭만적 결혼관, 소극적 결혼관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출산의식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는데, 하위요인 중 저출산 원인 및 심각성 인식과 국가·기업의 출산지원에 대한 태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예비부모역할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는 국가·기업의 출산지원에 대한 태도, 희망자녀 수, 경제적 수준, 소극적 결혼관으로 나타났다. 이 중 국가·기업의 출산지원에 대한 태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26.9%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예비부모역할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지원과 보육시설 지원 등 국가와 기업의 출산지원을 높이는 정책과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awareness regarding marriage and childbirth on pre-parent"s role of the nursing students. The subject were 202 nursing students in B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1 to 15, 2015 and analyzed by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re-parent"s role based on economic status, ideal number of children, and desired number of children. Pre-parent"s rol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romantic views regarding marriage and passive views on marriage. In addi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e-parent"s role and the attitudes towards childbirth support by the nation and corporations. Meaningful variables that influenced pre-parent"s role were ideal number of children, economic status and passive views on marriage. Total explanation power was 26.9% and attitudes towards childbirth as well as toward support by the nation and corporations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enhance pre-parent"s role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hildbirth support by the nation and corporations in the form of financial assistance and childcare facilities, as well as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describing the pre-parent"s role.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의사소통능력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조은주(Eun-Joo Jo),임경민(Kyoung-Min L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6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의사소통 능력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B시 2개 대학교의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4학년 학생 122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3월23일에 서 3월30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평균평점이 3.40±0.62 으로 중간보다 높았고, 의사소통 능력은 평균평점이 3.67±0.4으로 중간보다 높았다. 자아탄력성은 평균평점이 3.54±0.58으 로 중간보다 높았다.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 정도는 성별(t=2.732, p=.010), 전공만족도(F=8.226, p<.001), 실습 동료관계(F=11.853,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의사소통 능력, 자아탄 력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간에는 미약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 않았다(r=-.168, p= .065). 의사소통 능력과 자아탄력성간에는 중간정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 적으로 유의하였다(r=.593, p<.001). 자아탄력성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는 의사소통능력과 전공만족도, 실습동료관계, 성별 순이었고, 전체 설명력은 38.9%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고, 전공만족도를 높이며, 실습동료와 좋은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교과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communication skills on the ego-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were 122 nursing college seniors in B city who have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3 to 30, 2015, and analyzed by the t-test, ANOVA, Scheff?'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go-resilience depending on the gender,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 and relationships among fellow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go-resilience and communication skills. The meaningful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ego-resilience were communication skills,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 relationships among fellow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and gender. These factors were responsible for 38.9% of the total variance in the ego-resilience of the nursing students, and communication skill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conclusion, to increase the ego-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s and strategies to improv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major and relationships among fellow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대학생의 불안 애착과 SNS 중독 경향성 간의 관계

        조은주(Eun Joo Jo),김민지(Min Ji Kim),고은영(Eun Young K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불안 애착이 SNS 중독 경향성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불안 애착, 소외에 대한 두려움, 대인관계 문제, SNS 중독 경향성 간의 매개 및 순차적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방법 대학생 27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수 간 상관과 순차적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 애착과 SNS 중독 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불안 애착과 SNS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제가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불안 애착과 SNS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대인관계 문제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결론 불안 애착 유형의 대학생이 소외에 대한 두려움을 경험하게 되면, 그들의 대인관계 문제를 거쳐 SNS 중독 경향성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fear of missing out(FoMO) and interpersonal problem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anxious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75 college students, and SPSS 26.0 and AMOS 26.0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nd mediation between the variables and their sequential mediating effect. Results First, the fear of missing o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Second, interpersonal problems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Thir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fear of missing out and interpersonal problem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was significant. Conclusions The fear of missing out as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s with anxious attachment leads to inter-personal problems, which tend to result in SNS addition.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and the limitations and the direction of subsequent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