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조윤서(Jo, Yun-Se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4

        본 연구는 대학생 긍정심리자본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의 중요성을 확립하고 긍정심리자본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구조화된 집단상담 프로그램 모델을 기초로 개발하였다. 긍정심리자본 향상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기획, 프로그램 요구분석,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 검토,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설정, 기존 프로그램 분석, 평가도구 선정, 프로그램 내용 구성, 프로그램 예비 실시 및 보완, 프로그램 실시 및 효과검증, 프로그램의 평가 10단계의 과정을 거쳐서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강원도에 위치한 C대학교의 2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개 그룹으로 나누어 주1회 90분 씩 6회기로 긍정심리자본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사전, 사후검사으로 수집되었고 자료 분석은 spss 2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긍정심리자본 향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긍정심리자본 향상 프로그램의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제한점, 후속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ment a program to improve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university students and its effects. The program to improve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university students was developed based on the systemic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model. For this purpose, the program to improve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carried out a total of 6 times (90 minutes per session) once a week for 24 university students at "C"university located in Gangwon-do, which was divided into 2 groups.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pretest and a posttest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0.0 ver. Based on the results, the program to improve the positive psychology capital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positive psychology capital.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s well a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지방대 여학생의 기업의 종류에 따른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조윤서(Jo, Yun-S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본 연구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2016)를 활용하여 지방대 여학생 3,292명을 대상으로 기업종류에 따른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지방대 여학생은 취업에 있어서 성별과 지역차별의 이중차별을 받고 있으며 이와 같은 어려움으로 방향성이 없는 준비를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대 여학생들의 취업성과를 기업종류별로 분석하여 실질적으로 취업에 필요한 준비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기관(공무원) 취업성과에는 취업목표 설정, 직업향상 교육의 경험, 어학연수 경험 등이 정(+)의 영향을 보였다. 둘째 정부투자기관 취업성과에는 다수의 자격증, 민간자격, 어학연수 경험 등이 정(+)의 영향을 보였다. 하지만 직업향상 교육은 부(-)의 영향을 보였다. 셋째 재단법인 및 사단법인 취업성과에는 취업목표 설정, 전공과 관련성, 국가전문자격 등이 정(+)의 영향을 보였다. 넷째 교육기관 취업성과에는 직업향상 교육, 국가전문자격 등이 정(+)의 영향을 보였다. 다섯째 민간기업 및 개인기업 취업성과에는 취업목표 설정, 직업향상 교육, 전공과 관련성이 취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방대 여학생의 취업성과를 면밀히 분석한 새로운 연구로 지방대 여학생의 취업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으며 지방대 진로와 취업의 정책방향에도 기여할 수 있는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Outcom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non-capital regions. Using the GOMS (2016) survey, 3,292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non-capital region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actors as setting a target for employment, job improvement education, and language trai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outcomes at a government agency (public servant). Second, Factors as many certificates, private qualifications, and experience in language study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outcomes at the government-invested institutions. But job-improvement education had negative effect. Third, Factors as setting a target for employment, connection with major and national professional qualific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outcomes at foundation. Fourth, Factors as job improvement education and national professional qualific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outcomes at educational institution. Fifth, Factors as setting the employment target, education for job improvement, connection with major had a negative effect on employment outcomes at private companies. This new study, which closely analyzes the employment outcom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non-capital regions, effectively helps the employment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non-capital regions, and has the significance to contribute to the policy direction of the career and employment of universities in non-capital regions

      • KCI등재

        지방대학생의 취업과 괜찮은 일자리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주관 및 개인주관 진로준비행동 분석

        조윤서(Jo Yun-S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는 지방대학생의 취업과 괜찮은 일자리에 미치는 학교주관 진로행동과 개인주관 진로행동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방법 가장 최근 공개된 자료인 2018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를 활용하여 2,786명을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대학생이 가장 많이 수행하고 있는 진로준비행동인 진로 및 취업 교과목 참여, 직업심리검사, 자격증 준비는 취업과 괜찮은 일자리에 부(-)의 영향을 주고 있고, 가장 적게 수행하는 진로준비행동인 직무적성준비와 NCS준비는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괜찮은 일자리에 진입하기 위한 진로준비행동은 실제 현장경험과 장기간의 시간을 요하는 직장체험프로그램, 기업채용설명회, 모의면접, NCS준비, 직무적성준비, 영어 등 외국어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주관 진로준비행동보다 개인주관 진로준비행동이 취업과 괜찮은 일자리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를 위하여 지방대학생들은 정확한 방향성을 가지고 적절한 진로준비행동을 해야만 취업뿐만 아니라 그들이 선호하는 괜찮은 일자리에 취업할 수 있겠다. 그리고 괜찮은 일자리에 진입을 위해서는 장기간을 요하는 진로준비행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지방대학생들은 저학년부터 체계적인 진로계획을 세우고 실천해야 하겠다. 연구 결과는 지방대학교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방향성을 제공하고 지방대학교의 진로와 취업 교육에 적절한 기틀을 마련할 수 있겠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man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personal management influencing on employment and decent job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non-capital regions. Methods Using The Graduates Mobility Survey(GOMS) 2018 Year and subjects of this surveys were 2,786 people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students in the non-capital regions. Result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non-capital regions had a lo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uch as career and employment courses, occupational psychological examinations and preparing for a certificate but they showed negative effects on employment and decent jobs. And they had les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uch as preparing for the NCS test and preparing for the job aptitude test but they showed positive effects on employment and decent jobs. Second, Work experience programs, recruitment briefing session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reparing for the ncs test, preparing for the job aptitude test, preparing foreign languages such as english and interview practice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howed positive effects on decent job. It is analyzed that it requires actual field experience and a long period of time. Thir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personal management are having a greater impact on employment and decent jobs tha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management. Conclusions Therefore,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non-capital regions need to have an accurate direction and make appropria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o that they can get a job not only employment but also in a decent job.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provide direction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university students in the non-capital regions and provide an appropriate foundation for career and employment education at university in the non-capital regions.

      • KCI등재

        직업가치에 따른 취업준비행동 분석

        조윤서(Jo, Yun-Se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4

        본 연구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0년도를 활용하여 대학생 6847명의 직업가치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직업가치는 내재적 중요도, 실제적 중요도, 외재적 중요도 등으로 설정하였고, 취업준비행동을 취업목표 설정 유무, 진로/취업에 관해 학점 인정되는 교과목 참여 유무, 직장체험 프로그램 참여 유무, 인/적성검사 등 직업심리 검사 참여 유무, 교내 취업 박람회 참여 유무, 진로 관 련 개인/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 유무, 면접기술/이력서 작성 프로그램 참여 유무, 취업캠프 참여 유무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자의 성별, 학교유형, 학교소재지, 전공에 따라 직업가치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직업가치 중 실제적 중요도가 취업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내재적 중요도와 외재 적 중요도는 취업준비행동에 부(-)의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준비에 대한 세분화 된 분석 자료를 제공하고 직업탐색의 중요한 요소인 직업가치에 대한 새로운 검증에 의미가 있다. In order to analyze the influence of job preparation activities by work value, this study utilized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2010 Year and the subjects of this surveys were 6,847 people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Work value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type of school, school location, major fields. Second, The practical importance factor was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job preparation activities. Third, The intrinsic importance factor and the extrinsic importance factor were found to have negative (-) on job preparation activities. This study provides detailed analysis on job preparation activities, offering new verification of work value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occupation exploration to university students looking for employment.

      • KCI등재

        긍정심리자본, 조직풍토, 수행직무특성, 조직유효성의 구조적 관계분석

        조윤서(Jo, Yun-Seo),강순희(Kang, Soonhie) 한국진로교육학회 2015 진로교육연구 Vol.28 No.3

        본 연구에서는 재직자를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조직풍토와 수행직무특성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일반사무직, 서비스직, 영업 및 판매직 종사자 45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조사도구는 긍정심리자본, 조직유효성(동일시, 사기, 맥락수행), 조직풍토(인간지향 조직풍토, 목표지향 조직풍토, 권위적 조직풍토, 냉담적 조직풍토), 수행직무특성(다양성, 자율성, 중요성, 피드백, 감정통제)으로 구성하였다. 공변량 구조분석(covariance structure analysis)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분석을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 긍정심리자본은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행직무특성과 조직풍토는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리고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수행직무특성과 조직풍토는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긍정심리자본이 조직의 생존과 발전에 중요한 영향요인이며, 또한 긍정심리자본은 조직풍토와 수행직무특성과 같은 환경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조직의 발전을 위해서는 조직풍토와 직무특성을 긍정심리자본 지향적으로 개선하고 진로준비과정에서 긍정심리자본의 개발과 향상을 위한 교육훈련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re composed of self-efficacy, hope, resilience, and optimism. First, we analysed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characteristics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organizational climate are composed of four kinds of climates, those are to say, human oriented organizational climate, goal-directed organizational climate, authoritative organizational climate, and indifferent organizational climate. The job characteristics consist of skill variety, autonomy, task significance, feedback and emotion control.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mprise identification, morale, and contextual performance. Using SPSS 20.0 and AMOS 20.0, we conducted the validity test,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on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organizational climat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job characteristic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characteristic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se findings imply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need to be included to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대학생의 직업가치가 학습자 중심 진로준비행동과 학교차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취업성과 분석

        조윤서(Jo, Yun-S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9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업가치가 학습자 중심 진로준비행동과 학교차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바탕으로 취업성과를 분석하였다. 대졸자직업 이동경로조사(GOMS, 2016)를 활용하여, 4년제 대졸자 7,16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16년 GOMS는 2015년 8월 및 2016년 2월 대졸자를 대상으로 2017년 11월에 조사한 자료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가치는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직업가치와 진로준비행동이 취업여부에 미치는 영향은 내재적 직업가치는 취업여부에 부(-)의 영향이 나타났으나, 외재적 직업가치는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중심 진로준비행동은 취업여부에 정(+) 의 영향을 미쳤으나 학교차원 진로준비행동은 취업여부에 부(-)의 영향을 주었다. 셋째 직업가치와 진로준비행동이 직장만족과 업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내재적 직업가치는 직장만족과 업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나, 외재적 직업가치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그리고 학습자중심 진로준비행동은 직장만족과 업무만족에 부(-) 의 영향을 보였고, 학교차원 진로준비행동은 직장만족과 업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로써 직업가치는 진로준비행동과 취업성과에 중요한 영향요인이므로 주도적으로 직업준비 할 수 있도록 대학생의 직업가치정립을 위한 교육과 무분별한 진로준비행동보다는 방향성이 있는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안내가 필요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work value on learner center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hool wid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employment outcomes. Using The Graduates Mobility Survey(GOMS) 2016 Year and subjects of this surveys were 7,162 people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ork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The effect of work valu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employment outcomes were intrinsic work value had a negative effect on employment outcomes. But extrinsic work value had no effect on employment outcomes. And learner center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outcomes on the other hand school wid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a negative effect on employment outcomes. Third, the effects of work valu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work plac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were intrinsic work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work plac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But extrinsic work value had no effect on work plac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learner center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a negative effect on employment outcomes on the other hand school wid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no effect on work plac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work value is an important factor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outcom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university students to improve work value so that they can prepare for job preparation. It also suggests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directional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ather than indiscree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KCI등재

        4년제 대졸 취업자의 직업가치의 차이 분석 및 직무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조윤서(Yun-Seo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2016~2020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를 활용하여 4년제 대졸 취업자의 직업가치의 차이와 직무적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는 각 연도에 따른 직업가치의 차이를 알아보고, 5개년 횡단자료를 활용하여 직무적합성에 일관된 영향을 미치는 직업가치를 규명하는 것에 있다. 방법 본 연구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의 2016년부터 가장 최근 공개된 2020년의 5개년 자료를 활용하여 4년제 대졸 취업자 2016년 9,132명, 2017년 9,768명, 2018년 10,066명, 2019년 10,296명, 2020년 9,016명 총 48,278명을 대상으로 직업가치에 대한 차이검증을 위해 분산분석과 직무적합성을 규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2020년 4년제 대졸 취업자의 직업가치는 과거 4개년 4년제 대졸 취업자에 비해 많이 낮아졌다. 둘째, 4년제 대졸 취업자의 내재적 직업가치는 직무적합성에 일관적으로 정(+)의 영향을 보였다. 셋째 4년제 대졸 취업자의 외재적 직업가치는 직무적합성에 연도마다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내재적 직업가치는 5개년 4년제 대졸 취업자의 직무적합성에 일관적으로 안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검증되었지만 외재적 직업가치 연도에 따라 영향이 없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는 직업을 선택할 때 개인의 특성이 잘 부합되고 발전성과 미래전망성을 고려하는 내재적 직업가치를 중요하게 여길 때 직무적합성이 높은 일자리에서 일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그런데 내재적 직업가치가 최근 낮아지는 경향이 검증되었고 이러한 추세를 주목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로 대학생은 올바른 직업가치의 확립과 더불어 내재적 직업가치를 높여야 하겠다. 대학교와 정부에서도 진로교육에 직업가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직업가치에 대한 교육과 훈련에 대한 프로그램을 적극 도입해야 하겠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 in job value and the effect on job fit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workers using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This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job value and to find out the job value that has a consistent effect on job fit. Methods Using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2016-2020 and subjects of this surveys were 48,278 people who college graduate workers(9,132 people in 2016, 9,768 people in 2017, 10,066 people in 2018, 10,296 people in 2019, and 9,016 people in 2020). ANOVA was conducted to verify differences in job value.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job fit. Result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ob value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in 2020 has been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in the past four years past. Second, the intrinsic job value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consistently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job fit. Third, the external job value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showed different results from year to year for job fit. Conclusions The intrinsic job value was verified as a very important factor that consistently had a stable effect on the job fit of five-year, four-year college graduates. However, although the external job value varies from year to year, it had no or negative effect. This means that when choosing a job, individual characteristics are well matched, and considering development and future prospect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working in a job with high job fit. However, the tendency of job valu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job fit, to decrease recently has been verified, and this trend should be no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college students should establish the correct job value and increase the intrinsic job value. Universities and governments should also actively introduce programs on education and training on job value, including information on job value in career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윤서(Jo Yun S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7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동시에 진로포부를 매개로 한 영향을 검증하고 있다. 서울, 경기, 강원 지역에 소재한 4년제 2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6년 9월 1일 ~ 30일 사이에 배포한 설문지 중 504부가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한 설문조사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공변량 구조분석(covariance structure analysis)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은 진로포부, 진로성숙, 진로준비행동 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포부는 진로성숙,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진로포부를 매개로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보인 반면, 진로포부는 진로성숙에 가장 큰 영향을 보였다. 이는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진로발달 과제인 진로성숙과 진로준비행동의 향상에 중요한 영향요인이므로 주도적으로 진로를 결정하고 진로를 준비하도록 대학생의 교과내용에서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using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spiration.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504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yonggi, Gang-Won. Using SPSS 20.0 and AMOS 20.0, we conducted the validity test, reliability analysis,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career aspir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spiration. And self-efficacy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career aspiration. Results suggest that self-efficacy need to be included to the educational fields and curriculums to improve and enforce self-efficacy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업결정요인의 주관적 인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윤서(Jo, Yun-Se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5

        본 연구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0년도를 활용하여 대졸자 4051명의 취업결정요인의 주관적 인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취업결정요인의 주관적 인지 는 학력요인, 자격/전공요인, 인성/인맥요인 등으로 설정하였고, 직무만족을 내재적 만족과 외재적 만족 등으로 구성하 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자의 성별, 학교유형, 학교소재지, 전공 등에 따라 취업결정요인의 주관적 인지와 직무만족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비수도권 소재 학교, 교육계열, 학력요인, 자격/전공요인, 인성/인맥요인 등이 내재적 만족에 정(+)의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2~3년제 대학, 비수도권 소재 학교, 사회계열, 교육계 열, 공학계열, 자연계열, 의약계열, 학력요인, 자격/전공요인, 인성/인맥요인이 외재적 만족에 정(+)의 영향을 끼치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결정요인의 주관적 인지에 대한 세분화된 분석 자료를 제공하고 직무만족 에 대한 새로운 검증에 의미가 있다. In order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ubjective cognition about determinant factors in employment on job satisfaction, this study utilized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2010 Year and the subjects of this survey were 4,051 people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subjective cognition about determinant factors in employment and job satisfaction w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type of school, school location, major fields. Second, school in region, education major, the academic factor, the certification & major field factor, the personality & human connection factor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rinsic satisfaction. Third, 2~3years college, school in region, social major, education major, technology major, natural major, medical major, academic factor, the certification & major field factor, the personality & human connection factor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extrinsic satisfaction. This study provides detailed analysis on subjective cognition about determinant factors in employment, offering new verification of work job satisfaction.

      • KCI등재

        대졸취업자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조윤서(Jo Yun-S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는 대졸취업자를 대상으로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2017)를 활용하여 대졸취업자 6,8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17년 GOMS는 2016년 8월 및 2017년 2월 대졸자를 대상으로 2018년 9월에 조사한 자료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가치관이 행복에 미치는 결과이다. 발전과 전망, 인정 등은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인정, 수행직무내용 등은 긍정정서에 정(+)의 영향을 주었고 부정정서에 부(-)의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소득과 환경은 긍정정서에 부(-)의 영향을 주었고 부정정서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직무만족이 행복에 미치는 결과이다. 인간관계, 적성과 흥미의 일치성, 개인의 발전성, 교육, 보수 등은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인간관계, 적성과 흥미의 일치성, 개인의 발전성, 교육, 자율성, 근무시간, 보수 등은 긍정정서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또한 적성과 흥미의 일치성, 개인의 발전성, 근무시간, 보수, 복리후생제도 등은 부정정서에 부(-)의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직장평판은 긍정정서에 부(-)의 영향을 주었고 부정정서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이로써 대졸취업자의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이를 바탕으로 대학교에서는 직업가치관 정립을 위한 교육의 실시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직장에서는 직무만족향상을 위한 훈련과 제도정비가 필요하겠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occupat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on happiness for college graduate worker. Using The Graduates Mobility Survey(GOMS) 2017 Year and subjects of this surveys were 6,826 people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s the result of occupational values on happiness. Development and prospect and recognition showed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and job details showed positive effects on positive emotions but negative effects on negative emotions. But job details showed negative effects on positive emotions and positive effects on negative emotions. Second is the result of job satisfaction on happiness. Human relationship, a concordance of aptitude and interest, individual development, education and wage showed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nd human relationship, a concordance of aptitude and interest, individual development, education, autonomy, hours of duty and wage showed positive effects on positive emotions. And a concordance of aptitude and interest, individual development, hours of duty, wage and benefit system showed negative effects on negative emotions. But company reputation showed negative effects on positive emotions and positive effects on negative emotions. Therefore, occupat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are an important factor in happiness of college graduate worker. Universities should introduce education of occupational values and company should introduce training programs of job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