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통합 교과서의 의도의 한계와 가능성

        조상연 ( Sangyeon Jo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1 No.2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학자들의 관점 중 특히 Ben-Peretz(1983)의 교육과정 가능성이라는 논의를 중심으로 초등 통합교과서의 의도의 한계를 개발자의 입장에서 기술하고, 이를 가능성의 영역으로 확장해가는 과정으로서 초등 통합 주제별 교과서의 개발 방향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먼저, 초등 통합교과서의 의도 지향의 한계는 첫째, 초등 통합교과를 통합적으로 운영하고자 했지만 실제 교실 수업에서 초등 통합교과는 지극히 분과적으로 운영되었던 점, 둘째,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 문화를 선도하고자 했지만 강력한 교과서 진도 나가기 문화가 견고하게 유지되었던 점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의도 지향의 한계를 가능성의 영역으로 전환하여 극복하고자 했던 2009 개정 및 2015 개정 초등 통합 주제별 교과서의 새로운 시도는 주제가 전면에 드러나는 주제중심 통합수업이 어느 정도 보편적인 모습이 되었다는 점과 구성 차시를 통해 제한적이나마 개별 교실에 맞는 수업 개발을 기대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가능성을 보여주었지만 여전히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는 교과서 진도 나가기 문화는 초등 통합교과서가 넘어서야 할 남은 과제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task of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for Integrated Subjects that were developed around the National Curriculum Themes(hereinafter abbreviated as `Thematic Textbooks`) with the perspective on the curriculum potential(Ben-Peretz, 1983). For this, the researcher describe the limitation of the notion of intentions from a textbook developer`s point of view and discussed the development directions and tasks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for Integrated Subjects as a process of expanding the notion of intentions into the notion of potential. The limitation of the intentions on the Elementary School Thematic Textbooks for Integrated Subjec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ers wanted the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Subjects to be taught in the integrated way but they were taught totally separated by subject in spite of their names are so-called `Integrated` Subjects. Second, the developers wanted to lead the culture of teachers` curriculum development but the teachers have adhered stubbornly to the practice that is `teaching textbook in order`. And next,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for Integrated Subjects based on the 2009 and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ere developed in the form of the Thematic Textbook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notion of intentions by turning it into the notion of potential. As a result of the new attempts, theme-centered integrated classes became commonplace and there have been some attempts to develop the teachers` curriculum developed for each individual classroom. But, the culture of `teaching textbook in order` is the remaining task to overcome for the developers of the Thematic Textbooks.

      • KCI등재

        놀이-기반 교과로서 즐거운 생활에 대한 논의 - Bobbitt을 중심으로

        조상연 ( Sangyeon Jo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1 No.4

        이 연구에서 연구자는 Bobbitt(1918)의「The curriculum」을 중심으로 교육과 놀이에 대한 논의를 고찰하고 이를 기초로 놀이-기반 교과로서 즐거운 생활의 정체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교육과 놀이에 대한 Bobbitt의 논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학교교육의 본질로서 놀이는 놀이답게 경험되어야 한다. 둘째, 놀이-기반 교육의 측면에서 학교교육은 놀이의 활동과 태도의 모든 측면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셋째, 놀이-기반 교육의 측면에서 아동은 교과를 놀이로 온전히 즐기는 존재로, 교사는 해당 교과의 교육 목적이나 의도를 인식하며 여건을 조성하는 존재로 공존해야 한다. 이에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에 있어 놀이-기반 교육이 그 본성을 회복해야 한다. 둘째, 즐거운 생활은 놀이-기반 교육의 본성을 구현하는 중심 교과로서 그 정체성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즐거운 생활에서 놀이는 교육 내용 및 방법인 동시에 궁극적인 목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넷째, 놀이-기반 교과로서 즐거운 생활 교과를 가르치는 교사는 놀이와 교육의 온전한 공존을 위한 중요한 책무를 수행해야 한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considered the discussion of 'education and play' in Bobbitt(1918)'s「The curriculum」.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sought to explore the identity of the「Pleasant Life」(one of the Korean elementary integrated school subjects)' as a play-based subject. Bobbitt(1918)'s discussion of 'education and pla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should experience the play as a full play. Second, in terms of play-based education, school should take into account both aspects of play activities and attitudes as a whole. Third, children and teachers should coexist as being their own unique attributes. The children should exist as beings who enjoy the school subjects as play, and the teacher as a being recognizes the educational purpose of the subjects, and also creates appropriate conditions for the purpose. Therefore,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n school, play-based education should restore its nature. Second,「Pleasant Life」should seek its identity as a central subject that embodies the nature of play-based education. Third, in「Pleasant Life」, play should be treated as a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ultimate aim. Fourth, teacher who teaches「Pleasant Life」should carry out important missions for the desirable coexistence of play and education.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 영역-내용과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1-2학년군 교과-성취기준의 연계성 분석

        조상연 ( Jo Sangyeon ),이주한 ( Lee Juha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0 초등교육연구 Vol.33 No.4

        이 연구는 유ㆍ초 연계의 연속성(continuity)과 전이(translation)를 모두 포함하는 통합적인 관점에서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영역-내용과 2015 개정 초등교육과정의 교과-성취기준의 연계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9 개정 누리과정 영역-내용과 2015 개정 초등 1-2학년군 교육과정의 교과-성취기준은 전체적으로 70% 수준의 연계를 보였다. 즉 누리과정의 영역-내용 59개 항목 중 초등 1-2학년군 교과-성취기준과 잘 연계되는 것으로 분석된 것이 41개 항목(68.4%)이었고 잘 연계되지 않는 비연계로 분석된 것이 총 18개 항목(31.6%)이었다. 영역별로 누리과정 의사소통 영역과 국어교과의 연계가 약 92% 수준으로 연계가 가장 높은 수준의 연계를 보였고 신체운동ㆍ건강 영역이 약 42%로 가장 낮은 수준의 연계를 보였다. 그리고 의사소통 영역 다음으로는 사회관계 영역, 자연탐구 영역, 예술경험 영역 순으로 연계가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inuity between the areas-contents of the 2019 revised Nuri-curriculum and the national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that included both continuity and trans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reas-contents of the 2019 revised Nuri-curriculum and the national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were linked at a 70% level overall. In other words, among the 59 items that are the areas-contents of the 2019 revised Nuri-curriculum, 41 items(68.4%) of they were analyzed to be well linked to national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a total of 18 items(31.6%) of Nuri-curriculum were analyzed as non-associated. By area,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Nuri-curriculum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ssociation with about 92%. On the other hand,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areas showed the lowest level of association with about 42%. And, after the communication area, the association was found to be good in order of social relations, nature exploration, and art experience.

      • KCI등재

        통합교과 주제에 대한 개념도 분석

        이윤미 ( Yunmi Lee ),박희진 ( Heejin Park ),조상연 ( Sangyeon Jo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1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5 No.3

        이 연구는 초등학생이 배우고 싶어 하는 초등학교 통합교과 주제를 탐색하고, 초등교사가 인식한 통합교과 주제에 관한 개념 구조와 공감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2학년 학생과 초등학교 1, 2학년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개념도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2학년 학생이 배우고 싶어 하는 통합교과 주제는 ‘환경’, ‘식물’, ‘동물’, ‘지구’, ‘변화’, ‘나라’, ‘가족과 이웃, ‘친구’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는 ‘현상’과 ‘공간적 거리’를 기준으로 통합교과 주제를 구조화하고 있고, 주제에 관한 개념적 인식구조는 ‘현상’과 ‘공간적 거리’ 관점의 2가지 차원에 따라 ‘공간적 근거리-사회문화현상’, ‘공간적 근거리-자연현상’, ‘공간적 원거리-자연현상’, ‘공간적 원거리-사회문화현상’의 4개 사분면에 표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이 평정한 군집별 공감도는 ‘가족과 이웃’, ‘친구’, ‘환경’, ‘변화’, ‘식물’, ‘지구’, ‘나라’, ‘동물’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통합교과 주제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lementary school’s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topics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nt to learn, and to find out the conceptual structure and empathy for the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topics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ed subjects that the second graders wanted to learn were 'environment', 'plants', 'animals', 'earth', 'change', 'country', 'family and neighbors, and 'friends'. Second,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tructuring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topics based on 'phenomena' and 'spatial range'. Third, the level of empathy for each group evaluated by the teachers was in the order of 'family and neighborhood', 'friend', 'environment', 'change', 'plant', 'earth', 'country', and 'animal'.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theme of the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