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자녀기혼부부의 노동시간패턴과 가족시간

        조미라 ( Cho Mira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8 사회복지정책 Vol.45 No.4

        본 연구는 유자녀기혼부부의 노동시간패턴을 분석하고 패턴에 따른 가족시간의 구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4년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시간대자료에 다중배열분석을 적용하여 부부결합방식의 노동시간패턴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노동시간패턴별로 가족시간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남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노동시간패턴은 맞벌이형 6개, 남성외벌이형 3개, 여성외벌이형 1개, 무노동형 1개의 총11개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평일에 가족 1인 이상과 함께 하는 시간은 남녀 각각 1.5, 2.2시간, 집안일에 할애하는 시간은 0.3, 3.3시간으로 나타나, 시간양의 젠더차이는 물론, 남성은 참여하는 시간, 여성은 기능적인 시간 위주로 가족시간이 차별적으로 구성됨이 드러났다. 또한, 장시간노동이 가족시간을 축소시키는 것은 물론, 시간양과 관계없이 비표준시간대에 배치된 노동 역시 질 높은 가족공유시간 확보를 어렵게 하는 것으로 나타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노동시간양 뿐 아니라 시간배치 그리고 가족시간의 질이 고려되어야 함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work schedules of Korean married couple with children and to examine how family time are constituted according to the work schedules. Data source is 2014 Korea time use survey and multiple sequence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couple-combined work schedules in temporal context. As a results 11 work schedules types are derived, which are classified into 6 dual earner types, 3 male earner types, 1 female earner type and 1 non-working type. Amount of family sharing time in weekdays is about two hours per day on average. The family time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amount of time as well as characteristics of time, which is that women spend more functional time such as housework and men spend more interaction-based time such as family sharing time. The long hours work mainly affects family time negatively, also non-standard hours work is significantly playing a role to interrupt having family time. According to the results it suggests that the long hours work need to be overcome and non-standard hours work need to be limited as well. Additionally we need to consider the quality of family time for increasing the quality of life.

      • KCI등재

        일-생활 균형 관점에서 본 기혼남녀의 시간표 : 부부결합 가구노동시간 유형에 따른 남녀의 일-생활시간의 비교분석

        조미라 ( Cho Mira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8 사회복지연구 Vol.49 No.2

        본 연구는 한국사회 기혼남녀의 일-생활 균형의 문제를 시간표 분석을 통해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4년도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시간대자료를 이용하여 3,131쌍 기혼부부의 6,262개의 시간일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시간양뿐 아니라 시간배치를 고려한 전체적인 분석을 위해 배열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Lesnard(2014)의 DHM(Dynamic Hamming Matching) 방식으로 배열 간 거리를 산출하여 타이밍을 중시하는 시간분석에 무리가 없도록 조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군집분석을 통해 도출된 부부결합의 가구노동시간 9개 유형별로, 남녀 각각의 노동, 가사, 수면, 자기관리, 적극적 여가, 소극적 여가, 기타로 구성된 일과 생활시간의 평균시간양과 시간대별 분포와 최빈상태의 그래프를 산출하여 해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일-생활 불균형된 시간구성의 특성으로 ‘만연된 장시간노동’, ‘젠더불평등한 시간배분’, ‘비표준시간대 노동으로 인한 삶의 질 하락’, ‘여가시간의 부족’을 지목하였으며,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결과에 기초해 일-생활 균형을 높이기 위한 사회복지의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ork-life balance by analyzing time schedules of married couple. The 2014 Korea Time Use Survey dataset was used for the analysis. Finally, 6,262 time diaries of 3,131 household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study used sequence analysis in particular, by applying the Lesnard(2014)’s dynamic hamming matching (DHM) method, which is useful for the time diary analysis where timing is a key factor. This study explored daily schedules of each man and woman according to 9 types of couple-combined work-schedules, which had been already derived by cluster analysis. The daily schedule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activities divided as labor, housework, sleep, self-management, active leisure, passive leisure, and others. Here, time allocation was analyzed through various graphs showing average time amount and modal states by time period. Based on the analysis, it summarized that “long working hours as a main factor of work-life imbalance”, “gender inequality of time use”, “non-standard hours work impairing quality of life and ”poverty of leisure time”as characteristics of work-life imbalance.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social policy implications to support work-life balance.

      • KCI등재

        한국사회 노동시간의 변화와 불평등 연구

        안서연(Ahn, Seoyeon),조미라(Cho, Mira) 한국인구학회 2018 한국인구학 Vol.41 No.3

        한국사회에서는 장시간노동 문제가 부각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노동시간의 평균양으로만 노동시간의 조건들을 살펴보는 것은 충분치 않으며, 노동시간의 집단간 차이와 불평등 그리고 측정단위를 다양하게 하여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의 25-65세 개인과 부부를 대상으로, 2001년부터 2015년의 노동시간의 변화와 불평등에 관하여 개인 및 부부단위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법정노동시간의 단축과 같은 주요한 정책적 개입이 있었던 연도(2003, 2011, 2015년)를 중심으로, 노동시간의 불평등의 요인들을 하위그룹 분해(subgroup decomposition)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01-2015년간 개인 및 부부단위의 노동시간과 노동시간의 불평등은 지속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단위의 불평등 요인 분해 결과, 노동시장 관련 변수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으며, 부부단위에서는 동질혼 변수의 집단구성의 변화가 노동시간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자녀보육을 필요로 하지 않는 부부 비중의 증가와 저소득가구의 노동시간의 급격한 감소가 노동시간 불평등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정노동시간에 대한 제도적 개입이 노동시간 단축의 동인이 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앞으로도 적극적인 제도 도입과 추진이 장시간노동에서 벗어날 수 있는 추동력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전반적으로 노동시간 불평등은 감소하였으나, 동질혼의 강화나 저출산 등 현재의 변화추세가 지속될 경우, 노동시간 불평등은 감소가 아니라 증가할 가능성도 높아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estimate changes in trends in working hours and its inequality using the individual and couple as units of analysis over fifteen years (2001-2015). In addition, we use Mookherjee and Shorrocks’ (1982) technique to decompose working hours inequality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labour market factors, assortative mating,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for the years 2003, 2011, and 2015 which saw policy interventions in the form of 40-hour workweek. Data is obtained from the Korea Labour and Income Panel Study. Results show that the amount of working hours and its inequality among individuals and couples have decreased from 2001 to 2015. Decline in inequality of working hours within subgroups explains a large part of individual and couple level inequality. Changes in labour market structure in terms of industry, occupation, and work status contribute to a more equitable distribution of working hours at the individual level. Educational and occupational assortative mating in the upper class lead to rising inequality in working hours, but these effects have been offset by decreasing educational and occupational assortative mating in the lower class. If these trends of assortative mating in the upper class continue, inequality of working hours would increase dramatically.

      • KCI등재

        애니메이션영화에서의 죽음 - 이미지 연구

        서영주(Suh, Yong-chu),조미라(Cho, Mira)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8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2

        애니메이션영화는 생명을 지니지 않은 형상에 움직임을 부여함으로써 죽음이 삶으로 전환되는 환영을 제공하는 예술 매체이다. 때문에 애니메이션영화는 존재론적으로 삶과 죽음 사이에서 진동한다. 본 논문은 먼저 매체의 존재론적 구조를 통해 애니메이션영화가 필연적으로 내포하는 죽음-이미지의 속성을 밝힌다. 이어 죽음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 개념인 카니발, 언캐니, 그로테스크를 통해 애니메이션영화에서 죽음-이미지가 어떻게 미학적으로 발현되는지를 3장에 걸쳐 살펴본다. 첫 번째 장에서는 미하일 바흐친의 카니발 개념을 경유하여 디즈니 애니메이션사의 초창기 작품 〈해골의 춤〉을 분석한다. 한 밤중 묘지에서 벌어지는 해골들의 유쾌한 난장을 통해 삶과 죽음, 아름다움과 추함, 생성과 소멸과 같은 이분법적 구분 짓기로부터의 이탈과 지배담론으로부터의 전복을 애니메이션 매체의 고유한 성격과 함께 설명한다. 두 번째 장에서는 친숙하면서도 동시에 낯선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언캐니의 개념이 명확히 드러나는 얀 슈벵크마이에르의 장편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영화 〈앨리스〉를 다룬다. 미장센과 캐릭터 및 쇼트의 구성 방식 등을 분석함으로써 작품 전반에 걸쳐 죽음-이미지와 언캐니의 미학적 모티프가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세 번째 장에서는 초창기 컴퓨터 그래픽 애니메이션영화인 피터 폴디스의 〈헝거〉를 그로테스크의 속성과 함께 분석한다. 선구적 CG 애니메이션인〈헝거〉에서 나타나는 자동화된 형상의 해체와 재구성, 몰핑과 전환의 요소가 어떻게 시대와 사회상을 반영하는 미학적 방법론이 되는지를 밝힌다. 마지막으로 죽음이 애니메이션매체 안에서 어떻게 사유되어야 하는지를 질문하며 논의를 정리한다. Animated film is an art form that transforms lifeless or dead into life by providing a still image with movement. For this reason, Animated film ontologically oscillate between life and death. The structure of media, which is death-images are necessarily placed in animated film, will be established in the introduction of this article. The related concepts of death, which are carnival, uncanny, and grotesque will be followed and relevant animated texts will be analyzed in three chapters. First, the early Disney’s animated film, 〈The Skeleton Dance〉 will be dealt with through the theory of Carnival. According to Mikhail Bakhtin, carnival represents spatial and temporal world creating new value by coexisting all heterogeneous elements, such as life and death, beauty and ugliness, creation and destruction, and escaping from oppression of order of rank. In this chapter, the exciting carnival of skeletons that came out of their graves in the dead of night will be discussed in terms of binary op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imation media. Second, the concept of uncanny, something as strangely familiar, will be explored. The feature film stop-motion animation 〈Alice〉 by Jan Svankmajer will be examined in the methods of Mise-en-Scène, characters, and construction of shots with aesthetic motif. Third, the early computer graphic animated film 〈Huger〉by Peter Foldes will be analysed focusing on the concept of grotesque. It will be explored how computer generated automatic transforamtion and morphing, distortion and reconstruction reflects social situation and creates aesthetic strategy. Lastly, rounding out the discussions and questioning how death is considered in animated film will b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