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에 기반을 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조경미 ( Joe Gyung-mi ),이연승 ( Lee Yeon Se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융합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미래 세대의 교육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는 메이커 교육에 기반을 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메이커 교육, 유아과학교육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와 간행물 및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준거를 도출하였고, 현장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메이커 교육에 기반을 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실제적 준거를 도출하였다. 프로그램의 1차 예비시안의 적합성과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연구자 평가,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한 교사의 면담자료 뿐 아니라 전문가 집단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차 예비시안을 수정·보완하고 2차 예비시안을 작성한 다음 전문가와의 협의과정을 거쳐 메이커 교육에 기반을 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최종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A어린이집 만 4세 2개반 중 실험집단으로 믿음반 20명(남 9명, 여 11명)을 대상으로 24회기에 걸쳐 적용하였으며, 유아의 과학적 태도 및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메이커 교육에 기반을 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와 교육적 가치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maker education, which is emerging as a future generation education method to cultivate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Prior to developing the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maker education, a documentary analysis was carried out on previous researches and publications at home and abroad relevant to the maker education and the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n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demand level for the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maker education targeting the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confirm the fitness of the preliminary draft for the devised program and the possibility of the field application, a pilot test program was implemented in a child care center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o figure out the suitability and the applicability in the primary preliminary draft of the program for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maker education, researcher evaluation and expert-group evaluation, as well as the interview materials of the teachers who participate in developing the program were carried out. After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primary preliminary draft based upon the result, preparing the secondary preliminary draft, and then passing through the process of discussing with an expert, the final program was determined as the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maker education. To inquire into whether the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maker education, which was devised at the phase of developing the program, is effective for the promotion i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ttitude and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an experimental treatment test over 24 sessions was conducted targeting young children aged 4 in full.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offer theoretical ground and implications for the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maker education to be utilized as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 KCI등재

        통합교육환경에서의 지능형 로봇 적용활동 연구

        이연승 ( Yeon Seung Lee ),조경미 ( Gyung Mi Jo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2015년 10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실행된 연구로 발달장애유아와 일반유아가 함께 생활하는 통합교육환경에서 지능형로봇을 통한 활동을 전개하며 관찰된 유아들의 상호작용 행동반응 유형을 관찰하고 그 의미를 해석 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A장애유아통합 어린이집에 재적하고 있는 발달장애유아 2명, 일반유아 3명이며, 연구 방법은 질적연구 방법 중 참여관찰과 비공식면담을 사용하였다. 지능형 로봇 적용 활동을 적용하기 전에는 통합교실에서 발달장애유아들은 놀이 기술 및 또래유아와의 상호작용의 부재로 인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지만 지능형 로봇 적용 활동을 30회기 가량 적용 후에는 놀이자극에 대해 적극적으로 탐색하기, 로봇과의 놀이 욕구 표현하기, 자신의 감정표현하기, 못하는 것 찾아 도와주기, 공감하고 이해하기 등의 유형으로 놀이행동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통합교육환경에서 지능형 로봇 적용활동이 발달장애유아와 일반유아와의 상호작용 행동 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lay types and response types of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uring their play-centered activities using an intelligent robot in an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 where they spent time with preschoolers without any disabilities, and to interpret the meanings of their play types and response types. This study was implemented from October, 2015, through February, 2016. The subjects include two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ttending A Childcare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tudy employed such qualitative methodologies a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formal interview. Before play-centered R-learning activities were provided, the selected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idn``t engage a lot in the play activities due to poor play skills and lack of interaction with peers. After the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about 30 sessions, however, they showed play activities that were categorized into several types: actively exploring the given play stimuli, expressing needs for playing with the robot, showing an active attitude toward the play, expressing emotions, playing with peers and playing with mutual understand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performing play-centered activities with an intelligent robot is one of the factors to exercise a positive influence on play interaction between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peers without any disabilities in the inclusive classroom.

      • KCI등재

        R-러닝 실천학습공동체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이연승(Yeon Seung Lee),조경미(Gyung Mi Joe),최진령(Jin Ryoung Choi),변선주(Sun Joo Byun)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이 R-러닝 실천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전문가로 발달되어 가는 과정을 교사발달의 세 측면 즉, 지식과 기술 발달, 자기 이해 발달 그리고 생태적 발달에서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통해 R-러닝 실천학습공동체의 운영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B시에 소재한 4년제 유아교육과 학생 10명이며, 분석은 2012년 3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유아교육기관에서 수업을 진행 후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자기저널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지식과 기술 발달 측면에서는 예비유아교사들이 R-러닝 실천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교육용 로봇의 특성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익히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이해 발달 측면에서는 로봇에 대한 막막함과 두려움을 극복하고 R-러닝 교수효능감을 높여나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태적 발달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R-러닝 교수 상황을 극복하고 협력적 관계를 형성해 나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학내 R-러닝 실천학습공동체가 운영된다면 R-러닝이 성공적으로 유아교육분야에 정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R-learning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in terms of the three phases of teacher development: knowledge and skills, self-understanding, and ecological development. Furthermore, this study was to explore in new directions of R-learning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based on the study result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ten senior students who enrolled in a four-year university with a majo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ata analysis were conducted by pre-service teacher journals after daily teaching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 from March, 2012 through December, 2014.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and skill, pre-service teachers demonstrated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and understood som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robot through R-learning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Pre-service teachers showed high teaching efficacy of R-learning by overcoming uncertainty and fear in the area of development of teachers’ self-understanding. In the aspect of ecological development,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overcome a negative situation of R-learning and came to establish their cooperative relationships. Therefore, operation of university based R-learning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is expected to bring some meaningful success of R-learning diffus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대학원생들의 에콰도르 로봇기반 수학교육 경험이야기

        이연승 ( Lee Yeon-seung ),변선주 ( Byun Sun-joo ),조경미 ( Joe Gyung-m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원생들이 에콰도르 유아들을 대상으로 로봇기반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겪었던 경험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탐구하는데 있다. 연구는 2015년 10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약 15개월간 대학원생 3인의 자기 저널, SNS를 통한 대화 및 토의, 비구조화된 면담을 토대로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대학원생들의 이야기에서는 ‘의미찾기’, ‘혼란과 두려움 속에서 지속되는 항해’, ‘용기와 의지를 굳히기 위한 노력’, ‘되돌아보기’라는 주제들이 나타났다. 대학원생들은 활동의 목적과 의미에 대한 고민을 바탕으로 매순간 찾아오는 어려움과 심적 갈등을 극복하였으며, 각자의 능력을 바탕으로 서로 협력하며 교육활동을 마무리하는 모습을 보였다. 동일한 경험을 하였지만, 로봇기반 활동 경험 및 국제개발협력 관련 경험 등과 같은 각자가 가진 고유한 배경에 따라 그 상황을 대처하는 방법과 교육자로서의 태도의 변화는 다르게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and the significance of a team of graduate students acclimatizing in education through providing mathematics education experiences of R-Learning to children in Ecuador. On-site data from three graduate students was collected from October of 2015 to December of 2016, using the students’ self-journals, SNS conversation and unstructured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appeared the topics of the graduate students' stories such as 'finding meaning', 'sailing in confusion and fear', 'efforts to consolidate courage and will', and 'looking back'. The three graduate students overcome difficulties and mental conflicts that come every moment based on their concerns about the purpose and meaning of the activities, and showed their cooperation to finish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ir abilities. Although they had the same experience, changes in their attitudes and behaviors differed according to the unique background of their own experiences, such as R-learning activity experience 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experience.

      • KCI등재

        신체활동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IPA)을 중심으로

        이연승 ( Lee Yeon Seung ),양혜련 ( Yang Hye Ryeon ),변선주 ( Byun Sun Joo ),조경미 ( Joe Gyung M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4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 정도는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신체활동 운영을 위해 향후 개선 노력해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유아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신체활동의 중요도와 실행도 평정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대응표본 t 검증과 IPA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교사들은 ‘교육(보육)과정 내용을 충실히 이행하는 활동’,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이루어지는 활동’, ‘영유아의 주도성이 존중되는 활동’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실행도 측면에서는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이루어지는 활동’, ‘교육(보육)과정 내용을 충실히 이행하는 활동’, ‘안전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활동’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좋은 신체활동 운영을 위해 향후 개선 노력해야 할 항목은 ‘영유아의 흥미(관심)를 고려하여 구성한 신체활동’이었다.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낮은 항목 중에서는 ‘수업의 적절성 및 효과성에 대한 교사의 자기반성이 이루어지는 신체활동’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여 장기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교사가 영유아 신체발달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목표, 내용, 방법 등을 결정하고 자기반성적 수업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good physical activities, examine the level of their actual performance in that regard, and to explore how to improve their practice.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for 207 early childhood teachers, asking them to rate their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good physical activities and their actual performance.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paired-samples’ t-test and IPA technique. The following have been observed.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ought that activities faithfully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r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activities with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finally activities in which the initiative of young children is respected. Meanwhile, in terms of their actual performance, activities with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were ranked the highest, with activities faithfully implementing the curriculum in the second place, and activities conducted in safe places in the third. Second, among areas of improvements for good physical activities were physical activities conceived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ests of young children. One of the areas which scored the lowest points in terms of both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was activities containing teachers’ self-reflection on the appropriateness and effectiveness of class. This evidence suggests that long-term efforts should be made to make improvement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eacher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to determine educational goals, contents, and methods and to conduct self-reflective instruction based on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physical development of children.

      • KCI등재

        좋은 신체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야기

        이연승 ( Lee Yeon Seung ),양혜련 ( Yang Hye Ryeon ),변선주 ( Byun Sun Joo ),조경미 ( Joe Gyung M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의 좋은 신체활동의 의미와 신체활동에 대한 바람을 살펴보는 것으로, 이를 추후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는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박교사명(여성 3명, 남성 1명)이며, 자료수집은 2019년 6월18일부터 7월까지 7월26일까지 반구조화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첫째, 좋은 신체활동의 의미를 살펴보면 몸을 자유롭게 움직이고자 하는 유아의 본능을 충족하고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내적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활동을 의미한다. 또한 좋은 신체활동은 유아들이 자신의 신체적 역량에 따라 지식과 문화를 생성하고 이를 또래와 공유할 수 있는 활동뿐만 아니라 유아의 흥미와 교사의 교육적 의도 간 조화를 이룬 활동을 말한다. 둘째, 유아교사들의 좋은 신체활동에 대한 바람을 살펴보면, 좋은 신체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유아교육기관과 교사가 신체활동의 가치를 알고 유아의 신체 및 정신 건강을 도와야 한다는 책임을 인식해야 한다고 하였다. 방문체육교사가 진행하는 결과중심적 교육과정보다는 교육과정과 연계된 과정중심적 교육과정 운영, 유아의 신체활동에 대한 동기 및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유지할 수 있는 공간과 매체가 지원, 체육관련 전문과와의 협력적 교수에 대한 바람도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좋은 신체활동의 의미를 짚어보고, 더 나은 신체활동 운영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houghts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for the purpose of deducing implications to aid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constructive physical activitie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in the fut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 teachers (3 females, 1 male) currently employed at kindergartens or day care centers.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achieved during the period between June 26 and July 26 in 2019,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ubjects defined constructive physical activity as following: an activity that satisfied young children’s instinct for movement; an activity that facilitated the children’s physical, mental and emotional health; an activity where young children formed knowledge and culture shareable with others based on their own physical competence; and an activity where the children’s interests and the teachers’ educational intent were well aligned. Second, data showed that institutes and teache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ust be able to recognize and practice the value of physical activity, as well as the social responsibilities of the educational organization that serves as a place of physical and ment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eachers also expressed the need to plan and lead the curricula in a way that is thematically integrative to everyday life, and in a way that is process-oriented rather than results-oriented, as effected by the visiting teachers. Adequate amounts of space and tools that can generate and maintain young children’s motivation and interest for physical activity are required.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indicated a wish for cooperative instruction between teachers and various specialists in physic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