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라도 악사 한씨 고인의 피리 선율 연구 ― 이귀인 49재를 중심으로 ―

        제샛별 ( Je Saet-byeol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9 호남학 Vol.0 No.65

        전라도 굿은 음악적 예술성을 갖춘 의식이다. 무당인 당골은 무가(巫歌)를 부르고, 악사인 고인은 무당의 소리를 반주한다. 악사의 반주는 무당의 무가를 함께 부르는 바라지, 무가를 반주 하는 악기 연주를 겸한다. 일반적으로 굿음악의 반주 악기 중 가장 중심적인 악기는 주선율을 연주하는 피리이다. 현재 전라도에 거주하는 악사 중 피리를 연주하는 악사는 한씨 고인이 독보적이다. 그는 세습무 집안 출신이지만, 부모에게 음악을 학습하지 않았으며, 더하여 부인과 함께 굿을 하지 않는다. 1988년 보고된 악사 중 현존하는 악사는 박영태와 한씨 고인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씨 고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는 전라도 굿음악을 이해하기 위한 부분적인 작업으로 한씨 고인의 음악을 중점적으로 논하고자 한다. 한씨 고인의 피리 반주 선율은 장단에 따라 헤테로포니 또는 폴리포니로 연주한다. 헤테로포니는 진양과 중모리에서, 폴리포니는 빠른 장단인 안당살풀이, 덩덕궁이, 대왕놀이에서 연주한다. 헤테로포니 중 진양의 피리 선율은 2가지 형태의 반복선율 사이에 다른 가락을 넣어 연주하며, 중모리는 일정한 반복 선율이 장단의 앞과 뒷부분에서 연주한다. 폴리포니 중 안당살풀이의 선율은 무가 반주 선율 외에도 2소박 자유박으로 연주하는 안당이나, 무무(巫舞)에서도 연주한다. 각 장단의 첫 1-2장단에서는 피리 선율은 연주하지 않는다. 이것은 무가의 청을 듣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피리 선율을 연주하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염불과 같이 악곡이 ‘긴염불-중염불-자진염불’로 이어지면, 이어지는 악곡에서는 청을 맞추기 위하여 피리 선율은 휴지하지 않는다. 한씨 고인의 피리 선율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음악적으로 유형화 하였다. 비록 한씨 고인은 집안의 음악을 잇거나 신청에서 굿음악을 학습하지 않았지만, 현재 전라도에 거주하는 마지막 세대의 피리 연주자이다. 그의 음악은 장단에 따라 특정하게 연주된다. 이를 통해 전라도 굿의 피리 선율도 수성가락으로만 연주하는 것이아닌 일정하게 유형화된 선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ritual in Jeolla-province is a composite art of song music and dance. Danggol, a shaman, sings the song “Muga(巫歌)” while the musician accompanies the sound of the shaman. The accompaniment of musicians combines the singing of refrain part and instrumental music. The most central instrument of the accompaniment is the Piri (觱篥, cylindrical double-reed bamboo oboe) that plays the main melody. Currently there is only one Mr. Han of Jeolla. He is from a hereditary family, but he did not learn music from his parents, and he does not perform with his wife. Among the musicians In the 1980’s report, there are Mr. Park and Mr. Hana are still alive today. Therefor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discuss about Mr. Han’s music as a partial research to understand the music of Jeolla-province ritual. Han’s Piri accompaniment melody is played with heterophony or polyphony according to the rhythm. Heterophony is played in Jinyang (6 beats of triple rhythm) and Jungmori (12 beats of duple rhythm), and polyphony is performed in the while fast rhythm Andangsalpuri (4 beats of duple rhythm), Dengdeokgungi (4 beats of duple rhythm) and Daewangnori(mixed four beats of duful and triple rhythm) music. In Heterophony, Jinyang’s Piri melody plays different patterns between two types of repeat melodies, in Jungmori certain melodic pattern is played at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ofa rhythmic cycle. plays melodies in the front and back of the rhythm. In addition, polyphonic melodies are played in Andang (free beats of duple) or dance of music. Through Han’s Piri melody, the accompaniment music of Jeolla-province was analyzed. Although Han did not play his family music or learn music at a Shincheong (local center of ritual). he is now the last generation of Piri players living in Jeolla-province. His music is not an authentic SamhyeonYukgak of Jeolla-province, but I was able to confirm that there are formalized melodies in accordance with the rhythm of the song in Jeolla-province.

      • 전라남도 마을굿 현지조사보고서

        이용식 ( Yong Shik Lee ),강다현 ( Da Hyeon Kang ),조미연 ( Mi Yeon Cho ),제샛별 ( Saet Byeol Je ),서지혜 ( Ji Hye Seo )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15 藝術論集 Vol.16 No.-

        전라남도는 마을굿을 비롯한 민속문화가 매우 온전하게 보존 전승되고 있다. 마을굿은 보통 정월 초하루 및 대보름 등의 민속명절에 마을의 평안과 풍농을 가원하는 의식이다 전라남도의 마을굿은 농약패의 음악과 놀이가 종합적으로 연행되는 문화연행이다. 급격한 산엽화·도시화로 전통적인 마을공동체가 소멸의 위기를 맞고 있는 현 시점에서 마을굿의 음악민족지적 조사는 매우 시급 하다할젓이다. 이 글은 전남대학교 민속음악조사팀이 정윌 초하루부터 대보름까지 전라남도 남해안 일대에서 거행된 마을굿을 현지조사하여 작성한 조사보고서이다. 전랴남도 남해안에서 전승되는 농약은 기존의 호남 좌도/우도 농악과는 다른 ``군고권`` 을 형성하고 있다는 학설이 최근 제가되고 있다 이에 이 지역의 마을굿과 농약을 현지조사하여 그 음악문화적 특정에 대한 민족지적 조사를 하는 것이 이 글 의 목적이다 조사팀은 전라남도 보성군 별교읍 장좌라 가받이별선제, 보성군 별교읍 대포 라 갯궈선저L 완도군 생일면 서성라 당제, 광양시 태인동 용지마을 큰줄다리기 등의 마을굿에 대한 현지조사를 수행했다. 그라고 각 마을에서 연행되는 마을굿의 음악문화적 요인에 대한 상세한 조사보고서를 작성했다 이를 토대로 향후 전라남도 남해안 일대에 전승되는 군고권 농악의 음악문화적 특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Folk culture, including village rituals, in Jeollo-namdo Province is well preserved and inherited compare to other regions. Village rituals are held for the peace of the village and abundant products. They are held normally on the New Year``s Day or on the Fifteenth of the January, called daeboreum . The village rituals are in fact an accumulated performing arts of music and dance performed by village percussion bands, called nong-ak . Due to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village community and rituals are on the edge of disappearance. Therefore, to make a fulfilled musical ethnography of the village ritual at this time is an urgent task at hand. The folk music research team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as conducted field research of village rituals held in the southern coastal area in Jeollo-namdo Province. The nong-ak in this region is believed to be distinct from the upper regional music in many ways. It is a field report of the village ritual and music to explore their distinct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team has researched rituals in four villages. This paper shows the organization, structure, membership, etc., of each village rituals. This report will be the guideline for the future study to present the distinct music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ong-ak in this region.

      • 전라도 마을굿 현지조사보고서 (2)- 전라북도 순창군 정월 대보름굿을 중심으로 -

        이용식 ( Yong-shik Lee ),김미영 ( Mi-young Kim ),박임자 ( Im-ja Park ),강다현 ( Da-hyeon Kang ),조미연 ( Mi-yeon Cho ),제샛별 ( Saet-byeol Je ),서지혜 ( Ji-hye Seo )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16 藝術論集 Vol.18 No.-

        전라북도 순창군은 남원시, 정읍시, 임실군 등과 접경을 이루는 지리적 위치로 인하여 호남좌도농악과 호남우도농악이 혼재하는 지역이다. 이 글은 전남대학교 민속음악조사팀이 정월 초하루부터 대보름까지 전라북도 순창군 일대에서 거행된 마을굿을 현지조사하여 작성한 조사보고서이다. 순창군은 1990년대 후반 이후 마을마다 농악단이 설립되어 매년 정월 대보름을 기하여 마을굿을 거행하는 곳이 많다. 이번 조사에서는 순창읍 대보름 액막이굿, 동계면 대보름 마당밟이 및 달집태우기, 복흥면 대보름 달집태우기, 유등면 지신밟이 및 달집태우기, 구림면 대보름 마당밟이 및 달집태우기, 구림면 액막이굿, 금과면 대보름 달집태우기, 팔덕면 대보름 달집태우기를 조사했다. 마을굿의 전승이 거의 끊어졌다가 다시 복원된 행사가 대부분인데, 인접의 남원농악, 임실필봉농악, 정읍농악 등의 영향으로 다양한 농악 가락이 연행되고 있다. 순창군에는 특히 남원농악의 영향이 매우 크다. 현재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1-호 남원농악 예능보유자인 류명철과 그의 아버지 류한준이 일제강점기부터 지속적으로 순창군에 걸립굿을 왔었고, 그때마다 마을의 두렁쇠들과 어울려 농악을 쳤다. 이런 이유로 남원농악의 영향이 매우 크다. Sunchang-gun inherits a unique folk culture influenced by the three major band music traditions; Namwon, Jeongeup, and Imsil. The folk music research team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as conducted field research of village rituals held in Sunchng-gun. The rituals were mainly held from the first and to fifteenth of the January. Almost all of the districts in Sunchang-gun have the percussion music band from the late 1990s. In this paper, we reported rituals held in Sunchang-eup, Donggye-myeong, Bokheungmyeon, Yudeung-myeon, Gurim-myeong, and Paldeok-myeon. The rituals were mostly held for the happiness of the households and the burning of “moon house” in order to get rid of bad lucks of the year. The village rituals are mostly recovered events which were disappeared in the past due to the rapid urbanization. The music of Sunchang-gun were influenced by the band music of neighboring regions of Namwon, Jeongeup, and Imsil. The influence of Namwon is the major factor in the inheritence of band music in Sunchang-gun. Famous gong players from Namwon have visited to Sunchng-gun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and have influenced their music to the villag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