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기농악 길군악 칠채에 관한 연구

        이용식 ( Lee Yong-shik )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22 藝術論集 Vol.23 No.-

        Gilgunak chilchae exhibits the most representative musical characteristics in the farmers’ band music in Gyeonggi-do Province. It is performed on the road while marching for a specific place. Thus, it is simply called as ‘gil garak (lit. “road music”) in many villages. The name Gilgunak is a combination of gil (“road”) and gunak (“band music”). The name chilchae is a combination of chil (“seven”) and chae (“beat”) since it has seven gong strokes in a rhythmic cycle. It is a mixed meter of duple and triple beats, with the seven gong strokes of 3+2/3+2/3/3/3+2/3+2/2+3+3+2.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variety of the music which was performed by the village band musicians. Gilgunak chilchae performed in Suwon and Hwaseong area shows a slight variation from the one performed in Pyeongtaek which is designated as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Yi Won-geun and Im Gwang-sik, for example, plays 2+3 beats instead of 3+2 beats in 12th meter. Gilgunak chilchae usually proceeds from single rhythm to double rhythm. However, Hwang Seong-man does not play the double rhythm. Gang Eun-jung and Cheon Yong-sik, on the other hand, plays the double rhythm without the single rhythm. In short, there are variations in village bands which is distinct from the Gilgunak chilchae in Pyeongtaek.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성주풀이〉의 민요화 과정에 드러난 남도 음악인의 음악관에 대한 담론

        이용식(Yong-Shik Lee) 한국무속학회 2013 한국무속학 Vol.0 No.27

        이글은 무가 〈성주풀이〉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방송과 음반이라는 대중매체를 통해 잡가화 민요화 하는 과정에 함축된 음악인들의 음악관에 대한 담론을 살피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음악은 맥락변환하는 과정에서 음악을 둘러싼 담론도 변화하기 마련이다. 음악의 담론은 그 음악의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서 상호소통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담론은 그 노래를 둘러싼 문화맥락을 반영하는 ‘창(窓)’인 동시에 문화맥락을 재창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창’이기도 하다. 이글은 노래의 생산과 재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담론을 통해 노래를 둘러싼 문화맥락의 변화와 이에 반응하는 노래의 생산자와 소비자의 음악적 담론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성주풀이〉는 구한말부터 남도라는 한정된 지역의 무가였다가 일제강점기에는 중앙무대에서까지 공연되는 남도잡가 남도민요로 탈맥락화한 노래이다. 일제강점기에 서울 무가인 〈노래가락〉과 〈창부타령〉, 서도 무가인 〈수심가〉 등이 대중매체의 힘으로 급속하게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는 새로운 노래갈래가 되었다. 그리고 이들 노래는 ‘잡가’에 편입되어 1920~30년대의 새로운 대중음악으로 각광받았다. 그리고 서울과 서도 음악인들 사이에서는 ‘잡가’가 현재까지도 ‘민요’보다는 예술적인 음악으로 인식된다. 남도 음악인들이 남도 무가 중에서 대중화를 겨냥해서 선택한 노래가 〈성주풀이〉이다. 그러나 대중매체의 주소비층이었던 중앙의 음악애호가들에게 음악어법이 다른 〈성주풀이〉는 그리 매력적인 노래가 될 수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성주풀이〉는 무가가 잡가화되는 과정에서 서울 무가처럼 활발하게 대중매체에 소개되지 않았다. 〈성주풀이〉를 비롯한 남도잡가는 1940년대 이후에는 ‘남도민요’로 고착화된다. 이는 1930년대 이후 진보적 좌파지식인에 의해 민요가 민족의 노래로 자리매김하면서 각종 신민요 등으로 만들면서 ‘대중화’ ‘현대화’ 하는 과정에서 민요의 범위가 확장된 결과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남도 음악인들은 일부 진보적 음악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새로운 음악문화 개척 작업에 동참하지 않고 전통음악인 판소리와 창극을 주요 레퍼토리로 삼는다. 그리고 잡가와 민요를 판소리에 비해 하위예술로 인식하는 남도 음악인들은 〈성주풀이〉를 잡가 또는 민요로 분류한다. 현재 서울과 서도 음악인들이 잡가를 민요보다 예술적 음악으로 인식하는데 비하여 남도 음악인들은 잡가와 민요를 구분하지 않고 혼용하는 것은 이 음악인 판소리보다 하위음악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discourse of the musical view of musicians through a southern folk song, Seongju puri,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y the mass media such as the broadcasting and recording industry. When the cultural text of the music changes, the discourse about the music naturally is changing. The musical discourse is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musicians and the audience. The musical discourse of the change of cultural context is the ‘window’ through which we can see the worldview of the society. Seongju puri was originally a shaman’s song to explore the origin of a household deity called Seongju. It became a popular folk song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n this time shaman songs of the central region became extremely popular among the people due to the deveopment of mass media. This kind of songs were called japga, meaning miscellaneous song, which is regarded as more artistic song than folk song called minyo. Musicians from the southern region picked up Seongju puri to popularize the shaman song. However, the audience in the central region who were the main consumer of the mass media could not accept the song which had different musical taste from their music. Seongju puri, therefore, could not be aired so much. At the same time, this song was regarded as minyo, not japga by the southern musicians who did not distinguish one from the other. They esteemed the epic vocal song, pansori, so much that they regarded both minyo and jagpa as the lower lever music than pansori.

      • KCI등재
      • KCI등재

        사회변동에 의한 마을굿 농악의 변화양상

        이용식(Yong-Shik Lee) 한국무속학회 2015 한국무속학 Vol.0 No.31

        음악문화는 살아있는 전통이기 때문에 환경맥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는 습성을 갖는다. 음악문화는 한 공동체에서 세대를 거쳐 전승되면서 변화하는 가변성을 갖는 것이며, 음악의 문화변동은 내부적?외부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이글은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대포리의 마을굿을 대상으로 농촌사회의 문화변동으로 인한 마을굿과 농악의 변화양상을 규명하는 것을 그 연구목적으로 한다. 농촌사회의 인구감소와 고령화라는 사회변동으로 인해 마을굿의 구조와 음악에서 일어나는 문화변동과정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대포리 마을굿인 ‘당산제만굿’은 1985년 남도문화제에 참가하면서 명칭의 변화를 겪는다. 당시 다른 마을 당산제와의 차별성을 위하여 외부인에 의해 명명된 ‘갯귀신제’라는 명칭이 공식용어가 되었다. 그러나 내부인은 여전히 ‘당산제만굿’, ‘12당산제’, ‘매구’ 등의 민속용어로 마을굿을 부른다. 외부인에 의해 고안된 명칭이 내부인에게는 온전하게 선택되어지지 않고, 내부인은 여전히 전통용어를 사용하면서 이중명칭을 갖게 된 것이다. 농촌 인구감소와 노령화라는 사회변동은 대포리 마을굿에도 영향을 미쳤다. 마을인구가 줄어들면서 당산제만굿을 거행하기 전에 거행하던 마당밟이의 문화단절 현상이 일어났다. 마을 인구의 노령화는 마을굿을 전승받을 세대의 단절로 이어진다. 농악패를 구성할 ‘젊은 세대’가 부족하다보니 농악패의 규모가 줄었고 장구는 선택적 배제가 되었다. 남성만으로 농악패를 편성할 수가 없으니 이제는 여성이 농악패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러나 여성은 여전히 농악패에 소극적으로 참여하고, 남성이 농악패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마을굿 농악의 전승에 핵심적 인물은 상쇠이다. 마을 구성원은 1년에 한 번 거행하는 마을굿의 농악 가락을 제대로 전승하기는 쉽지 않다. 대부분의 구성원은 상쇠가 치는 가락을 따라 치면서 마을굿을 진행하기 때문에 상쇠의 위상은 절대적이다. 대포리에서는 이전까지 어린 나이에 농악패에서 농구라는 특별한 역할을 맡으면서 상모놀이와 농악가락을 전승받았던 기예능이 뛰어난 상쇠가 있었기 때문에 마을에 전승되는 농악가락을 온전하게 전승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재의 상쇠는 음악적 능력이 떨어지기에 농악가락의 단절과 변화가 일어났다. 현재 대포리에서는 12채굿가락은 완전히 단절되었고, 불균등박자의 혼소박 4박 가락이 균등박자의 3소박 4박으로 변화되었다. 상쇠의 음악적 능력에 의해 농악 가락에서 전통적인 음악요소가 전승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음악요소로 대치되는 선택적 배제의 과정이 일어난 것이다. 결국 대포리 마을굿은 외부인의 영향과 사회변동으로 인하여 많은 선택적 배제 과정이 일어났다. 내부적으로는 상쇠의 단절이 음악적 단절과 변화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마을굿은 급격한 사회변동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전통적인 문화요소가 새로운 문화요소로 대치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Since the musical culture is a living tradition it has a character to becom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social context. The musical change is the result of both inner and outer change.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musical change of a village ritual influenced by the socio-cultural change of the rural area in Korea. I focus on a specific village ritual held in Daepo-ri village, Jeolla-namdo Province. I will delve with the musical and cultural change of a village ritual resulted by the decreasing of population and the aging society. The village ritual had been called ‘dangsan jeman-gut’. Its name was changed to ‘gaet gwisin-je’ by a scholar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village rituals in 1985 when the villagers went to a folk competition. Since then, the new term became the official name of the village ritual. However, villagers still call their ritual with folk terms such as ‘dangsan jeman-gut’, ‘12 dangsan-gut’, and ‘maegu’. In this way, the new term named by an outsider scholar was not accepted by the villagers. The native term and the official name are co-exist to refer to the ritual these days. The social change, that is, the decraesing of population and the aging society, resulted to the change of village ritual in many aspects. One of the most important ritual to prevent bad lucks and to give happiness to households has not been performed anymore. The ‘young generation’ is not enough to make up a village band. The janggu or hourglass-shaped dru, has not been used. Women who had traditionally been excluded in band members has joined the band with minor instruments such as sogo or the hand drum. Men still play important role in the band. The head player, called sangsoe, who plays the small gong, is the essential character in the transmission of music. Since the village members play the music once a year, it is hard for them to learn the music properly. They normally follow the rhythm of the gong player. In this sense, the status of the gong player is most important. There was an excellent gong player in the village that he had performed all kinds of rhythms and movements. However, the present gong player’s musical compentence is not match to the last player that he could not learn all the rhythms. In this way, some of the rhythms has not been transmitted. The asymmetric rhythms which were hard for the members to play have altered to the easy symmetric rhythms. In this way, the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have selectively eleminated by the members due to the musical competence of the head player.

      • KCI등재

        한국음악의 2박ㆍ3박 / 5박ㆍ8박

        이용식(Lee Yong-Shik)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4

        우리 음악의 독특한 특징을 ‘3박 계통의 음악’으로 드는 경우가 많다. 우리 음악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보통 빠르기’의 장단이 대부분 3소박 계통으로 된 것이기 때문에 일견 3소박 계통의 장단이 많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 음악에는 5박이나 8박처럼 2+3, 3+2+3의 2(소)박과 3(소)박이 혼합하여 이루어진 불균등박자가 많은 것이 특징적이다. 이런 불균등박자는 〈세종실록악보〉나 〈세조실록악보〉에 기록된 음악처럼 매우 오래된 고형(古形)의 음악에 많이 나타난다. 또한 불균등박자는 무악(巫樂)이나 〈화청〉처럼 종교적인 음악에서 쓰이고, 농악에서는 길군악이나 길굿처럼 당(堂)으로 향하는 ‘길’에서 연주하는 장단으로 쓰인다. 이렇듯이 불균등박자는 고형이고 종교적 의미가 담겨진 것이다. 이런 불균등박자는 이웃 문화인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찾아볼 수 없고, 오히려 인도음악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 음악처럼 불균등박자가 소박과 박이라는 서로 다른 층위에서 나타나는 것은 다른 음악문화에서는 좀처럼 찾기 어려운 독특한 특징이다. 이는 우리의 언어와 관련된 것인데, 노랫말 4자를 담기 위해 3소박이나 5소박 장단이 생성된 것이다. 이런 길고 짧음의 조화를 기호화한 것이 15세기에 고안된 유량악보인 정간보(井間譜)라는 우리 고유의 기보체계이다. 이렇게 우리 장단의 2, 3, 5, 8은 자연과 우리 언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고, 이는 이웃 음악문화에서는 찾을 수 없는 우리 음악의 독특한 특징인 것이다. Many people argue that the ‘triple meter’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It may be true because there are so many triple meters with moderate tempo in Korean music. However, there are so many asymmetric meters in Korean music such as quintuple or octuple meters made up of combinations of duple and triple meters. This kind of asymmetric meters are found in old pieces notated in 15th-century scores. Furthermore, the asymmetric meters are used in religious music such as shamanic and Buddhist music. The asymmetric meter of quintuple and octuple are not found in Chinese or Japanese music. Rather, this kind of rhythm is found in Indian music. However, the use of asymmetric meters in different levels of rhythm is not rare in other musical cultures. The asymmetric meters in Korea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texts of songs with four syllables. In order to notate the asymmetric meter, which is called jangdan, literally meaning “long and short,” the Korean mensural notation of jeonggan-bo was created in the 15th century. This kind of asymmetric meter is indeed the most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 광주의 문화자본과 산조 문화

        이용식 ( Lee Yong-shik )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20 藝術論集 Vol.21 No.-

        기악독주음악인 산조는 19세기 말엽에 만들어진 이후 현재까지 생명력을 유지하고 전승되는 살아있는 전통이다. 전라남도 출신의 세습예인집단에 의해 산조가 만들어진 이후 광주는 호남 음악문화의 문화자본과 경제자본의 중심지로서 산조문화의 중심지로 기능했다. 산조의 원형이 되는 판소리가 호남을 중심으로 성행했고, 민속기악음악인 심방곡이 호남 음악인들에 의해 발전하면서 호남은 산조가 형성될 수 있었던 음악적 토양이 되었다. 가야금산조를 처음 짠 것으로 여겨지는 김창조는 전라남도 영암 출신이지만, 20세기초에 광주에서 음악활동을 하면서 산조를 보급했다. 광주는 일제강점기에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호남 음악인들이 음악활동을 펼치는 문화자본과 경제자본의 중심지였다. 많은 음악인들이 경제자본의 중심지였던 경성에서 활동했다. 그러나 문화자본은 사회화 과정에서 습득되어 오랫동안 지속되는 성향과 습관, 즉 아비투스(habitus)에 의해 규정된다. 경성 대중의 취향은 오랫동안 노출된 지역음악인 경기음악을 선호했고, 미학의 추구지향이 다른 남도음악은 경성 대중의 취향에 맞지 않았다. 이런 음악적 ‘구별짓기’로 인하여 남도 음악인에게 경제자본의 중심지였던 경성은 도전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리고 남도 음악인들은 경제자본의 중심지인 경성보다는 경제자본과 문화자본이 총합된 광주가 그들이 가장 활동하기 좋은 장소, 즉 음악적 ‘장(場, champ)’이었다. 광주는 남도음악인들에게는 개인의 행동을 규정하는 사회적 구조로서 경제적 토대로 환원할 수 없는 다양한 사회적 그물망의 장소였다. 그렇기에 남도음악인들은 광주를 중심으로 활발한 활동을 전개했다. 이런 문화경제적인 요인으로 광주는 일제강점기에 전승활동을 통해 산조는 전통음악의 대표적 갈래로 성장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대에 교통의 발달로 인하여 서울과 광주의 심리적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광주는 더 이상 산조음악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잃게 되었다. 국가의 문화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중앙의 문화와 지역의 문화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중앙과 지역의 문화적 불균형이 점차 심화되는 현실이다. 전통문화의 건강한 계승과 글로컬 문화의 발전을 위하여서 산조문화의 중심지였던 광주의 문화적 기능이 회복되어야 할 것이다. Sanjo, the solo instrumental music, is a living tradition which has transmitt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oday. It was made by hereditary professional musicians of Jeolla-namdo Province, the southwe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Gwangju City has been center of the sanjo culture as the center of cultural capital and financial capital. Pansori , the epic vocal music and the ancestor of sanjo, has been developed in the area. Simbangok, the folk instrumental music, has been also flourished in the area. Hence, the area has been the groundwork on which sanjo has been made and developed. Kim Chang-jo who was believed to be the first musician who performed sanjo music was born and raised in Yeongam Prefecture. He came to Gwangju City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promoted the sanjo music in this area. Gwangju City was the center of cultural capital and financial capital for the professional musicians due to its rapid economic growth. In fact, most musicians preferred Seoul, the capital of Korea for a long time, for their playground. The cultural capital is decided by habitus, the cultural nature and tendency achieved by social process for a long time. The people in Seoul could not accept the southern music which was not approved to their habitus. For this musical distinction, it was hard for the southern musicians to succeed in the center of the financial capital of Korea, Seoul. For the southern musicians, Gwangju City was their ‘musical champ’ which was the best place for their musical activities. For this cultural-economical condition, Gwangju City was the hometown for the sanjo music. With the gwonbeon music education system, the sanjo music could be developed in this area. However, due to the rapid growth of the transportation system in the past few decades, the mental distance of Seoul and Gwangju City has been narrowed. Hence, Gwangju City cannot function as the center of the sanjo music anymore. It should be reminded that the cultural balance of capital and local areas has to be firmly maintained. There is a serious unbalance between the two cultural areas in Korea. For the ideal transmiss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glocal culture, the cultural function of Gwangju City as the center of the sanjo music should be recovered.

      •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서 농악의 특징과 의의

        이용식 ( Yong Shik Lee )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14 藝術論集 Vol.15 No.-

        농악은 악가무(樂歌舞)의 종합공연예술로서 기층민주의 음악과 무용이 오랜 세월 동안 적층된 문화유산이다. 농악은 중요무형문화재뿐만 아니라 UNESCO의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았다. 농악의 특징은 다른 문화권에서 전승되는 비슷한 공연예술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그 특징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즉, 농악의 비교연구를 통해 농악의 아시아 공연예술로서 갖는 보편성과 한국문화만의 독특성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악이 갖는 음악적 의미를 읽음으로서 우리 민족문화의 심층적인 미(美)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농악은 쇠와 북의 타악기로 이루어졌는데, 이렇듯이 천지(天地)의 조화, 음양(陰陽)의 조화를 이루는 악기편성은 다른 문화권에서는 찾기 어려운 매운 독특한 것이다. 더구나 쇠나 장구와 같은 무율 타악기가 ‘가락’을 만들어내는 음악은 세계음악문화에서도 농악에서만 찾을 수 있는 독특한 음악적 특징을 갖는 것이다. 농악의 불균등박자(asymmetric meter)가 혼합된 혼소박 가락은 음악적 특징이다. 2소박과 3소박이 혼합하여 구성된 혼소박 가락은 음악적으로도 매우 어려운 가락이지만, 특히 몸동작을 수반하는 농악에서 발 디딤새를 딛기에 매우 난해한 가락이다. 우리 음악ㅇ서 불균등박자는 매우 오래된 고형(古形)이고 종교적 신성성을 갖는 리듬이다. 농악에서도 혼소박 가락은 주로 길굿과 같이 종교적 신성성을 갖는 것이다. 이렇듯이 민중의 기층음악어법을 전승하는 농악은 지역적 특징을 충실하게 전승해야 할 것이다. The Korean farmers` band music, called nong`ak is the composite of music, song, and dance. It is one of the masterpieces among many Korean musical genres with its long history and artistic supremacy. For these reasons, it has designated as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11 by the Korean government in 1966 and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by the UNESCO in 2014.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we need to compare it with other cultures` music. In this way, we can acknowledge the universality of Asian percussion music and the distinct traits of the distinct traits of the Korean music. religious traits of the Korean music. Since the nong`ak comprises the basic musical idiom of the common people, there are diverse variations of nong`ak bands and music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transmit the music, we need to conserve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nong`ak music.

      • 경기 선소리 산타령의 음악문화사적 의의와 현대적 의미

        이용식 ( Yong Shik Lee )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12 藝術論集 Vol.12 No.-

        경기 선소리 산타령은 서울·경기 일원에서 ‘산타령패’ 또는 ‘선소리패’가 선소리[立唱]로 <산타령(山打令)>을 노래하는 음악갈래이다. <산타령>은 조선 후기 사당패(祠堂)의 불교 계통의 음악이 유희적인 노래로 변했다고 한다. <산타령>은 예전에는 종교와 관련이 있거나 답교(踏橋) 등의 민간의식에서 연행되었던 ‘의식음악’이었다. 이 글에서는 산타령패가 예전에 지녔던 종교적 성격 또는 민간의식과 관려된 신앙적 성격에 대한 음악문화사적 의의와 산타령패의 성격 변화에 따른 현대적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선소리 산타령을 부르던 불가(佛家)와 관계를 맺고 기예를 파는 전문가 집단이다. 18세기 도상학 자료에 의하면 사당패의 여러 기예 중에서 소고를 치면서 노래를 불렀다. 이 시기에 사당패가 연주하던 소고는 티벳이나 인도, 네팔 등지의 서아시아에서 샤머니즘 의식에서 널리 쓰이는 손북(hand drum)이 우리나라에 전송된 것이다. 이 무렵의 사당패는 불교의 진언이나 각종 불교 노래에서 비롯된 노랫말을 갖는 <판염불>을 중요한 레퍼토리로 삼고 공연을 했다. 그리고 그들의 중요한 공연장소에는 답교놀이라는 민간의식이 있었고, 이런 민간의식에서 불교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당패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렇기 때문에 사당패와 답교놀이의 활동분포는 서울의 사대문 바로 바깥 인근 지역이라는 공통점을 갖는다. 그리고 이 지역은 무당이 주축이 되어 정월 초하루에서 초사흗날 사이에 마을굿을 거행하는 지역과 거의 일치한다. 즉, 사당패는 이 시기에는 종교적인 성격을 가진 것이다. 사당패가 19세기 후반 이후 서울의 소비문화와 결합하면서 사당패의 중요한 레퍼토리인 <산타령>을 붙박이 예인이며 전문 소리꾼이 받아들이면서 이들이 <산타령>의 담당층인 산타령패가 된다. 산타령패도 매우 세속적이었지만, 종교적인 성격을 <판염불>을 부르면서 판소고로 시작하는 점 등은 산타령패가 종교적인 성격을 여전히 간직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해방 이후 산타령패가 점차 도태되고 그들의 중요한 활동무대인 답교놀이가 거의 자취를 감추면서 산타령패도 완전히 세속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그러면서 종교성을 지닌 <판염불>이나 판소고는 이제는 더 이상 연행하지 않고 <놀량> <앞산타령> <뒷산타령> <자진산타령>으로 이러지는 유희적인 성격의 노래만을 부르는 유희집단으로 변모했다. Seonsori Santaryeong is a composite word of seonsori, meaning standing song, and Santaryeong, meaning the Song of the Mountain. It has been transmitted by a special musical group called Santaryeong-pae or Seonsori-pa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t was originally a song of itinerant entertainers who had close relationship with Buddhist temples. Santaryeong was a ritual song, not an entertaining song as today, performed a folk ritual of “stepping on the bridge” to get rid of evil spirits in January in the lunar calendar. In this paper, I explore the ritual meaning of Santaryeong and the change of its performance context these days. In the paintings of the 18소 century, Santaryeong was originally performed by the itinerant musicians who held the hand drum, called sogo, in their hands. The hand drum was transmitted from Tibet where the instrument was used in Buddhist and Shamanic rituals. The musicians` song were derived from Buddhist chant. They performance stag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place of the Shamanic shrines located in the outskirt of the Capital, Seoul. When the musicians settled down in Seoul where the capital was focused, their repertoire was transmitted to the local musicians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music became secularized then the folk rituals became disappeared in Seoul. The ritual songs were got rid of their repertoire and the entertaining songs wer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of the capit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