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주주의에 있어서 ‘비판’과 ‘수행성’의 연관에 관한 고찰: 무페, 랑시에르, 호네트를 중심으로

        정현철 ( Chung Hyeon-chul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9 철학논집 Vol.57 No.-

        현재 각 사회에서의 민주주의의 상황은 경제주의의 확산을 통해 그 실질적 실현이 위축되고 종교적 근본주의 내지 민족주의적 호소 등과 같은 이념적 도그마의 확산과 인종주의적·민속적 배제 경향성의 증가 그리고 사회 내 소수자 집단에 대한 혐오 등으로 그 실현이 유보되어 있다. 이 같은 민주주의의 무기력에 대항해 실질적인 실현 동력이 마련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이 글에서는 ‘비판(Kritik)’과 ‘수행성(Performativität)’의 관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는 비판이 민주주의의 원칙을 실현하는 최종심급에서의 전망을 투사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이 투사된 전망을 실현하는 추동력은 수행성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세 철학자 곧 무페와 랑시에르 그리고 호네트가 선행적 시도를 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그들의 이론은 민주주의의 실현 가능성을 새롭게 파악하는데 주요한 참조가 된다. The current situation of democracy in each society is that the actual realization is shrinked through the spread of economicism, the spread of ideological dogma such as religious fundamentalism, the increase of racist and ethnic exclusion, The realization of democracy is reserved because of the such hatreds. In this context,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point of view of 'Kritik' and 'Performativität'. This is because ‘Kritik’ can project the prospects of the final solution of the realization of the principle of democracy and because the impetus for realizing this prospect can be provided through 'Performativität'. In this regard, Mouffe, Rancière, and Honneth, are perceived as the philosophers for a preliminary attempt and their theories can be a major reference to the feasibility of democracy.

      • KCI등재

        비판 이론에 있어서 윤리적 가치 지향의 이론적 수용 가능성 연구

        정현철 ( Chung¸ Hyeon-chul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4 가톨릭철학 Vol.0 No.22

        비판이론은 현재 담론윤리로 대표되고 있다. 담론윤리는 비판이론을 계승함에 있어서 비판이론의 소위 제 일 세대가 시도했던 계몽에 대한 계몽을 이어나가면서 그러나 그 재(再)계몽의 근거를 생활세계의 일상적 언어활동의 불변적인 형식적 구조에서 찾는다. 이를 통해 담론윤리는 도덕성을 정립하는데 요구되는 요건 두 가지를 동시에 충족시키게 된다. 곧 담론윤리는 한편으로 도덕성을 형이상학적인 사유로부터 독립시켜 그 자체로 성립시키면서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 그럴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상대주의의 위험에 빠지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담론윤리는 도덕성의 근거를 특수한 사회 관습이 아니라 모든 인간이 자기이해를 확인하는 보편적 의사소통 행위 상황에서 마련할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탈-형이상학적 도덕이론의 전망을 연 담론윤리에 곧바로 이와는 사뭇 다른 평가가 내려진다. 곧 담론윤리는 윤리적 차원을 소홀히 하게 된다는 것이 그것이다. 만일 이와 같은 비판적 평가가 그대로 고착화된다면 담론윤리는 그 제목이 시사하는 것과는 달리 윤리적인 것 - 삶 - 과 괴리되는 이론으로 간주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는 상당히 중요한 결함이 비판이론의 현재 모습에 발생하는 것이며 이는 진지한 논의를 요하는 중대한 상황이 벌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비판적 상황을 비판이론의 발전의 계기로 고찰하기 위해 이 글을 쓰여 졌다. The Critical Theory is now represented by the discourse ethics. The discourse ethics follows the line of the thoughts of the so called first generation of the critical theory and finds the ground of the re-enlightenment in the constant formal structure of the daily speech actions. It can satisfy the two required condi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morality. That is, it can, on the one hand, establish the morality without any help of the metaphysical thought and it can, on the other hand, escape the danger of the relativism. In other words, it can provide the ground of the morality not with the particular social practices but on the universal communicative actions of all the persons. However, it immediately gives rise to the different evaluation of the post- metaphysical moral theory. It implies that it neglects the ethical dimension. If the criticism is fixed, the discourse ethics can not help being the theory which is devoid of the ethical dimension. It means that the tradition of the critical theory is involved in the theoretical problem situation.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roblem situation for the sake of the development of the critical theory.

      • KCI등재

        왈쩌의 공동체주의적 사회비판의 역동성과 전망

        정현철 ( Chung¸ Hyeon-chul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0 가톨릭철학 Vol.0 No.15

        이 글은 왈쩌의 공동체주의적 사상의 비판이론적 함축과 전망을 고찰한다. 왈쩌는 그의 사상을 통해 사회비판에 유용한 역동성을 작동시킬 근거를 마련할 뿐 아니라 사회비판에 적합한 이론적 지평을 개척하고 있다. 그의 이러한 기획에 있어서 여러 부분 이론들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이 글에서는 그의 정체성 이론을 포함해 그 밖의 다른 부분 이론들을 조망하고 이것들 간의 관계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이 글은 그의 사상이 어떤 방식으로 사회비판에 요구되는 구성원들의 비판적 역동성을 추동할 뿐만 아니라 그 실천에 필요한 이론적 전망을 열어주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와 더불어 그가 그의 이론의 공동체주의적 요소들을 결합시키는 자유주의적 방식의 특성도 함께 고찰할 것이다. 이는 그가 사회적 비판에 필요한 구성원들의 참여적 역동성을 마련하는 데 있어서 가지는 자신감의 근거를 드러내 줄 것이다. 그러나 그의 이론 구성에 아쉽게도 결여된 측면도 있다는 점 역시 이 글에서는 지적할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implications and the perspective of M. Walzer’s communitarian thought as Critical Theory. M. Walzer offers the ground for the dynamic critical theory of the society and opens the theoretical horizon for the critic of the society through his communitarian thought. In his project various theoretical elements play the important role. This article casts light on these element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m. The points of this work are to investigate how his thought can mobilize the individuals for the formation of the community and to examine how it can offer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to them. In this work the characteristics of his liberal way to assemble the communitarian elements are also investigated. It will show whether M. Walzer’s thought can provide the ground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individuals, which is necessary for the practice of the critic of the society. This article, however, points to the weaknesses of his thought.

      • KCI등재

        자본주의 위기와 비판 사회이론의 현재성

        정현철(Chung Hyeon-Chul) 새한철학회 2010 哲學論叢 Vol.59 No.1

        비판 사회이론은 자본주의 위기 상황에서 반성의 심급을 마련하는 이론으로서 출현하였다. 따라서 이 이론의 과제는 자본주의 위기의 본질을 규명하고 그에 대한 이성적 해법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이론적 특성 때문에 자본주의의 위기가 거론되는 오늘날 비판 사회이론은 다시금 이론(Theory)으로서의 현재성을 확인받고 있다. 그러나 이 현재성의 확인은 새로운 이론 지형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왜냐하면 비판 사회이론과 별도로 포스트구조주의라는 사회이론 흐름이 새로운 접근법을 가지고 특유한 횡단면을 가르면서 자본주의 위기를 분석하고 그 위기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포스트구조주의는 그와 같은 횡단면에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면서 많은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포스트구조주의는 자본주의에 대해 비판적 거리를 유지하려 한다는점에서 비판 사회이론과 유사점을 가지는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그 거리를 비판 사회이론과는 다른 차원으로 끌어들여 설정하려 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드러내기도 한다. 비판 사회이론은 이와 같이 새로운 이론 지형 속에서 다시금 그 이론적 가치를 입증해내야 한다. 이 글은 이러한 논의의 단초가 되기 위한 목적에서 쓰여 졌다. Critical Thoery was expected to give a dimension of reflection for the crisis of the capitalism. Its task was to analyze the crisis of the capitalism and to suggest an reasonable solution for it. Nowadays, therefore, the actuality of Critical Theory seems to be approved automatically because of the crisis of the capitalism. But Poststructualism, on the other hand, tries to analyze the crisis of the capitalism and to suggest an solution in a different way from Critical Theory. It gives many new kinds of practical insight. Because it tries to keep some distance from the captialism in a similar way to Critical Theory but criticizes it more radically than Critical Theory. In the new theoretical landscape like this, Critical Theory is asked to demonstrate its theoretical value once again. This article aims to give some moment for the task.

      • KCI등재

        일반논문 : 진화 윤리적 상호주관성 이론 연구 -듀이의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정현철 ( Hyeon Chul Chung ) 한국헤겔학회 2011 헤겔연구 Vol.0 No.30

        이 글은 듀이가 진화론을 지렛대로 삼아 어떻게 윤리(학) 영역에서 상호주관성을 구상해내는지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는 진화론적 통찰을 통해 형이상학 내지 존재론에 기초하는 이론을 논박하면서 경험적인 연관으로부터 상호주관적 사유 지평이 개창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윤리학과 관련한 이러한 그의 시도는 정치철학 분야에 있어서도 새로운 비판적 기획을 가능하게 하는데 왜냐하면 그는 오늘날 국가라 불리는 정치공동체의 구성을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곧 진화윤리적으로 설명해 내기 때문이다. 그는 이를 위해 진화윤리학에 관한 자신의 통찰, 곧 사회 구성원들이 이미 언제나 서로 결합되어 있게 하는 경험적 연관과 그것의 상관자로서 교류라는 개념을 활용한다. 이러한 듀이의 진화윤리적 기획은 통념적 진화론이 부정하는 구성원들의 상호 의존성에 대한 새로운 조명을 가능케 함과 아울러 현재 정치철학 지형에서 각축하고 있는 민주주의의 여러 이론들을 비판적으로 조망할 수 있게 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how J. Dewey conceptualizes the intersubjectivity in terms of evolutionary ethics. He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open the horizon of intersubjectivity from the empirical contexts without any metaphysical assumptions. His theory allows a new critical approach to the political philosophy. Public sphere, the government and finally the state, according to his theory, can originate and constitute themselves through the transaction and its empirical contexts. This evolutionary approach of J. Dewey can highlight the interdependence of the individuals with one another and criticize some theoretical strands of contemporary political philosophy.

      • 다단계 보안 환경에서 동적 다중 버전 제어

        정현철(Chung Hyun Cheol),황부현(Hwang Bu Hyun) 한국정보처리학회 199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Vol.4 No.3

        Security as well as consistency of data is very important issue in database security. Thus, the serializability of transactions must be maintained and particularly convert channel not caused between a high-level transaction and a low-level on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cure transaction management algorithm using dynamic version control method that can slove disk space overhead to maintain multiversion and the problem that transactions read too old versions when two versions are maintained. Disk space overhead can be sloved by properly creating versions and dynamically maintaining the number of versions and the problem for reading too old version can be solved by having transactions read versions as recent as possible.

      • KCI등재

        계몽의 변증법에서 변증법의 계몽으로 -아도르노의 부정 사유(negatives Denken)의 비판이론적 함축

        정현철 ( Hyeon Chul Chung ) 한국헤겔학회 2010 헤겔연구 Vol.0 No.28

        아도르노는 현대철학 지형 속에서 독특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그의 사상은 크게 보아 이성주의와 비이성주의 사이에 자리한다. 즉 그는 한편으로는 헤겔에 다른 한편으로는 니체에 연결된다. 또한 그는 사회비판에 있어서 한 면으로는 급진성을 추구하면서도 또 다른 면으로는 다소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하는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그리고 그는 변증법과 관련해서는 한편으로 그것을 폐기해야 할 것으로 비판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을 그의 사상의 중심축으로 자리 매김 한다. 이런 점에서 그는 경계를 넘나드는 사상가인 것처럼 보인다. 그의 부정 사유는 바로 이러한 그의 사상적 특성의 집약물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런 그의 경계적 사유를 그 내적 관점으로부터 고찰해 보고자 한다. 즉 그가 왜 이런 사유를 할 수밖에 없었는지 그리고 그 자신은 왜 스스로 이런 사유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보고 있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 고찰은 그가 현대철학에 던져주고 있는 새로운 시각과 전망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결과적으로 그는 단순히 무기력함을 드러내는 염세적 사상가가 아니고 어쩌면 시대를 앞질러 산 예견적 사상가라는 점을 이 글이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Th. Adorno befindet sich in einer eigentumlichen Stelle in der modernen Philosophie. Das heisst, sein Gedanke hangt nicht mur mit dem Rationalismus sondern auch mit dem Irrationalismus zusammen. Er bezieht sich also nicht nur auf Hegel sondern auch auf Nietzsche. Er scheint auch einerseits progressiv und andererseits konservativ im Bezug auf die Kritik der Gesellschaft zu sein. Er behauptet außerdem, dass die Dialektik abgeschaft werden soll, aber er stellt sie selbst in der Mitte seines Gedankens. In diesen Punkten scheint er ein Denker zu sein, der auf der Grenze herumschlendert. Sein negatives Gedanke ist in diesem Zusammenhang eine Zusammenfassung der Eigentumlichkeiten seiner Theorie. Dieser Aufsatz zielt daher darauf ab, sein negatives Gedanke durch die innere Perspektive zu betrachten und zu analysieren. Warum soll er sein Gedanke ausschließlich nur negativ auffassen? Die Betrachtung seines negativen Gekankes kann hoffentlich eine neue Perspektive fur die moderne Philosophie eroffnen. Schließlich wird es auch klar, dass er nicht ein Pessimist sondern ein prophetischer Denker fur Kritische Theorie ist.

      • KCI등재

        정의 이론에서 타자의 문제에 관한 비판적 고찰

        정현철 ( Chung¸ Hyeon-chul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6 가톨릭철학 Vol.0 No.26

        실천적 지향을 가진 철학에서는 정의의 문제가 항상 우선적인 관심사로 논의되어 왔다. 정의에 근거한 사회의 구상에 따라 정의로운 행위와 부정의한 행위는 구분되고 그 구분이 유지되고 실천됨에 의해 사회 내지 정치공동체는 존립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정의의 문제는 비판이론뿐만 아니라 자유주의 그리고 공동체주의와 최근의 급진민주주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론 전통에서 실천 상의 핵심 논제로 간주되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정의를 단순히 그 자체로서만 논의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타자와 결합시켜 논의해야 한다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예전에도 초기의 비판이론가들의 예에서 볼 수 있었던 것처럼 한 동안 정의의 문제와 거리를 두고 그것의 타자가 실천의 핵심 문제로서 논의되기도 했다. 이 같은 기조는 최근 급진적인 방식으로 현실 체제의 비판을 시도하는 이들에 의해서 다시 되살아나고 있다. 그러나 부정적인 현실 진단 때문에 정의가 논의에서 배제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보다 정의는 오히려 좀 더 타자라는 대응 범주와 더불어 논의되는 편이 낳다. 다시 말해 정의의 구상에는 이제 그 구상이 완전히 해결할 수 없는 그것의 타자의 문제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결국 정의의 문제는 그것이 온전하게 논의되기 위해서는 논의 자체를 불완전하게 만드는 병리적인 현실이 어떻게 수용될 수 있는지 그것의 타자라는 개념을 통해 설명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 같은 정의와 타자의 관계가 중점적으로 논의될 것이다. The philosophy of a practical orientation has always discussed the problem of justice as the primary concern. In recent years, justice is considered to be a key topic in a variety of theories, ranging from traditional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and radical democracy to the critical theory. The reason for the concern is that the political community can survive only through the actions which are identified as just based on the social justice. Recently, justice appears to be discussed not only as such but also coupled with its other. In fact,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early critical theorists did not discuss the problem of justice. The same trend has recently revived again among those who try the radical critique of the system of the political entity. However, justice can not be excluded from the public discourse because of the negative diagnosis of the reality. The problem of Justice should be discussed more rather through being coupled with the Other. So a theory of justice can explain how the pathological system that causes the Other can happen. After all,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and the Other will be discussed in an concrete and critical way.

      • KCI등재

        비판 사회이론의 인간학적 기초에 관한 일 고찰

        정현철(Chung Hyeon-Chul) 새한철학회 2009 哲學論叢 Vol.55 No.1

        Critical Theory of Society needs to be provided with its theoretical foundation by means of the discussion with the empirical sciences. J. Habermas, in this respect, pays attention to the recent developments of the philosophical anthropology. It is because it offers the new understandings of the originality of the human. Among them, M. Scheler's reflection of the human originality is the most appropriate because it contains some theoretical moments that are the fittest for the modern horizon of thought. J. Habermas, however, criticizes the concept of the philosophical anthropology of M. Scheler indirectly by way of A. Gehlen's critic of it, and he deepens his action-based approach to the anthropology. He suggests that the action-based theory of the originality of the human be more valid than the substantial theory. He provides his Critical Theory of Society with its theoretical foundation through the concept of Geist, which consists of three categories of language, labor and family. 거대 담론이 붕괴된 이후 비판 사회이론은 자신의 이론적 토대를 경험 과학과의 대화를 통해 마련해야할 필요에 직면한다. 하버마스는 이를 위해 철학적 인간학의 최근 성과에 주목한다. 왜냐하면 철학적 인간학은 최근의 자연과학적 성과를 바탕으로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가운데서도 셸러의 철학적 인간학에 있어서의 인간의 고유성에 대한 반성적 고찰은 이런 논의를 본격화하기에 아주 적합한 것으로 평가된다. 왜냐하면 그의 정신 개념은 인간의 고유성이 무엇인지를 현대적 지평에서 사유할 수 있게 하는 적절한 이론적 계기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버마스는 겔렌의 비판을 통해 셸러의 철학적 인간학의 구상을 우회적으로 비판하면서 인간학에 대한 행위이론적 접근을 심화시킨다. 즉 그는 인간의 고유성에 대한 실체론적 파악 대신 행위이론적 구상이 필요함을 지적한다. 그가 이러한 구상의 결과로 제시하는 것은 언어, 노동, 가족이라는 개별범주로 구성된 정신이다. 그는 이 개념을 기초로 삼아 자신의 비판 사회이론의 토대를 마련한다.

      • KCI등재

        인정 투쟁의 문법적 기반으로서의 진정성에 관한 연구 -하이데거, 아도르노, 테일러를 중심으로-

        정현철 ( Chung Hyeon-chul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2 가톨릭철학 Vol.0 No.18

        이 글은 진정성을 사유해 이로부터 타당한 도덕원리의 원천을 마련하고 동시에 그 원리의 실현을 위해 요구되는 사회ㆍ정치철학적 전망을 개창하려는 데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쓰였다. 다시 말해 이 글은 사회적 관계를 진정성의 관점에서 규범적으로 주조해 내는 것과 동시에 이를 위해 요구되는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진정성을 사회적 관계 연관속에서 끌어들이는 것이 가능한지 또 그것이 가능하다면 어떤 방식으로 그것이 가능한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글이 이 문제와 관련해 성과를 얻게 되면 도덕성 내지 도덕원리는 최근 비판이 집중되는 그것의 형식성에서 탈피함과 아울러 그것이 실현되어야 할 사회적 영역-곧 상호주관적 인정관계-자체와 괴리되지 않는 실천성을 가지게 됨이 밝혀지게 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사회적 연대 역시 그 가능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승인받을 수 있게 될 것이며 이는 종합적으로 고찰할 경우 사회적 실천에 요구되는 타당한 규범의 새로운 정초 가능성을 지시하는 것이 될 것이다. The Article tries to contribute not only to constituting a valid moral principle but also to opening the horizon required for the realization of the principle. That is to say, It will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on of the social relationships in terms of authenticity and search for a theory required for i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t will try to derive a morality or a moral principle out of the social relationships and justify it in them as such. If this goal is achieved, the morality or the moral principle can escape the formality for which it is criticized nowadays, and it can show practicability given in the social sphere-that is, the intersubjective relationships of recognition-in abundance. In that case will the solidarity of the society be more concretely clarified, and it will show the possibility of a new justification of the valid norms required for the social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