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뮤지컬을 이용한 고등학교 영어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연구 :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정주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중등교육과정에서 뮤지컬을 이용한 고등학교 영어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연구한 것으로 경기도 소재 공립 고등학교의 20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16차시 영어뮤지컬 수업을 수행하였다. 정의적 영역의 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학습자의 흥미도, 자신감, 참여도가 포함된 사전과 사후의 설문지, 매 차시별 교수 일지 그리고 수업 후 매 학습자들이 조별로 작성한 조별 학습 일지를 분석하였고, 언어적 영역의 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2010학년도 2학기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의 영어점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뮤지컬을 이용한 고등학교 영어수업은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척도형 설문지에서, 사전 흥미도 영역의 평균은 2.4였고 사후는 3.75로 1.35 향상되었으며 유의확률 .000을 나타내어 흥미도 영역에서 긍정적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전 자신감 영역의 평균은 2.87이었고 사후는 3.81로 0.94 향상되었으며 유의확률 .000을 나타내어 자신감 영역에서도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참여도 영역의 사전 평균은 2.68이었고 사후는 4.06으로 1.38향상되었으며 유의확률 .000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정의적 영역에서 흥미도, 자신감, 참여도 세 개의 영역에서 모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실험 후 추가적으로 4개의 문항을 실시한 개방형 설문을 통한 분석 결과로 영어뮤지컬 수업과 수업 종료 후 교내에서 실시한 영어뮤지컬 공연을 통한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의 효과를 알 수 있었고 언어적 영역의 듣기, 말하기 연습과 발음 교정에 도움이 많이 되었다는 의견을 얻을 수 있었다. 둘째, 뮤지컬을 이용한 고등학교 영어수업은 학습자의 언어적 영역에도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 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한 사전 사후의 교내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의 영어점수를 분석하였는데 사전 영어점수의 평균은 70.95에서 사후 74.60으로 3.65 향상되었으며 유의확률 .003을 나타내어 언어적 영역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뮤지컬을 이용한 고등학교 영어수업은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과 언어적 영역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고, 중등교육의 영어교육에서, 정의적 영역의 중요성과 이의 바람직한 수업 활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는 학습자의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적극적인 수업의 참여와 영어 학습과 활용에 대한 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이 수반된 영어 프로그램이 교실 수업에서 사용되어야 하겠다. This was a study on the educational effect of using musicals in high school classes, focusing on twenty 1st graders in a public high school in Kyunggido. To study the emotional effect, I analyzed a survey that included students` interest, confidence level and participation in English classes. To know the linguistic effect, I compared students` English midterm and final test scores from the 2010 fall and winter semester. As a result, I got the following outcomes. First, musical English classes have a positive effect in the emotional domain. According to the survey, the average of the post-interest, post-confidence and post-participation were 3.75, 3.81 and 4.06 respectively. Also, all of them were increased by 1.35, 0.94, and 1.38 respectively. Moreover each domain of significance probability were all .000.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in the emotional domain. Furthermore, in a second open-format survey taken after the completion of English musical classes, students recorded positive opinions. Secondly, musical English classes had a positive effect in the linguistic domain. To analyze this, I have used scores from the English midterm and final test during fall semester in 2010. So, I found that the average English score in the midterm test was 70.95 and from the final was 74.60; The score increased by 3.65, and its significance probability was .003. This showed that musical English classes have had a positive effect in the linguistic domain. In conclusion, I found that English classes using musicals in high school English classes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So, we should know the importance of the emotional domain and its appropriate use in the English education in high school. In addition, teachers should try to increase learners` interest, confidence, and active participation in English classes as well as use diverse English programs, including many kinds of teaching materials.

      • 경남지역 고려 분묘 출토 도기 연구

        정주민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Pottery excavated from Goryeo tombs in Gyeongnam and to determine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chronological classification. Pottery, along with porcelain, is one of the mainstays of ceramics from the end of the Unified Silla to the Goryeo. However, as mentioned earlier, research on pottery has not been as active as that on pottery. Therefore, the researcher chose this topic because he thought it was necessary to thoroughly study the concept and development stage of pottery before explaining pottery. The direction of the topic was prepared after summarizing the history of pottery research and identifying the current circumstances. The subject of this paper Goryeo pottery, and the researcher expanded the previous research on pottery found in tombs and studied pottery found in Goryeo tombs in Gyeongnam. Depending on the researcher, the term pottery is used as pottery, earthenware and oth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pottery refers to hard and soft vessels fired at high temperatures above 1000°C. In general, pottery is mainly unglazed, but some glazed pottery has been excavated. Thus, the scope of pottery is defined to include a variety of glazed and unglazed wares. Chapter II examined the current conditions and artifacts of these sites, focusing on those where ceramics were excavated from Goryeo tombs in Gyeongnam. To describe the sites, the researcher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natural environment, location, and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artifacts buried in the same period, such as the types and quantities of pottery under study. As a result, 131 artifacts from 36 sites were found. In Chapter Ⅲ, the pottery excavated from the burial sites identified in Chapter Ⅱ was examined to determine which types of pottery were commonly buried together in the burials. The most common type identified was the bottle, which accounted for 132 of the 150 ceramics. Therefore, the type classification was done through detailed attributes centered on the bottle, and a total of six types were derived. When divided into periods, they were classified as Early (10th-11th centuries), Middle (12th-13th centuries), and Late (late 13th to late 14th centuries). In Chapter Ⅳ, the researcher examined the transitional process in the ceramics excavated from Goryeo tombs in Gyeongnam based on the details of Chapters II and III. The early period is characterized by the discovery of ⅠAa and ⅠAb pottery types and sea mist bowls (haemuri-gupwan) as artifacts buried in the same period. The middle period is characterized by the discovery of the ⅠAa, ⅠAb, ⅠB, ⅡAa, and ⅡAb forms, especially the ⅡAa and ⅡAb types, which were found in various forms, including the position of the copper diameter, the shape of the bell, the shape of the appearance, and the technique of inscribing patterns on the pottery. In the later period, the ⅠAa, ⅠAb, ⅠB, and ⅡB types were found, especially the ⅡB type is found buried together in royal tombs mainly in Gyeongnam. A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pottery from Goryeo tombs in Gyeongnam identified by this study is the difference in the types of artifacts buried together. In the late Goryeo, jars were commonly buried together in Gyeonggi-do, while Chungcheong-do had a similar ratio of jars and ⅡB-type bottles. In Gyeongnam, the proportion of ⅡB bottle burials was higher than that of jar burials. The ⅠAa and ⅠAb bottles are also characterized by a small number of finds in Chungcheong, most of which are found in Gyeongsang-do. Among them are bottles with inscriptions on fragments of pottery. The researcher also examined blue celadon buried at the same time and found that celadon and pottery were complementary in structure. Through the aspects mentioned earlier of the burials, this study was able to relate them to the tea culture of Goryeo and demonstrate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Goryeo grave goods. 본 연구는 경남지역 고려시대 분묘에서 출토된 도기를 대상으로 그 종류를 파악하고 시기구분을 하여 그 특징을 알아내는데 목적이 있다. 도기는 통일신라 말∼고려 시대에 자기와 함께 도자기의 한 축을 담당한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도기 연구는 자기 연구에 비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렇기에 자기를 설명하기 이전 도기에 대한 개념과 발전단계 등을 충분히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 이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주제의 방향성은 기존의 도기 연구사를 정리하여 그 현황을 파악한 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고려시대 도기이며, 기존에 분묘출토 도기에 대한 연구에서 더 나아가 경남지역 고려 분묘 출토 도기에 관해 알아보았다. 도기라는 용어는 연구자에 따라 토기, 질그릇, 도기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지칭하는 도기는 1000℃이상의 고온에서 구워낸 경질과 연질의 그릇들을 통칭하고자 한다. 대체로 도기는 시유되지 않은 것이 대다수를 이루지만 일부 시유된 도기도 출토되고 있다. 그러므로 도기는 다양한 시유도기와 무시유도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범위를 설정하였다. Ⅱ장에서는 경남지역 고려시대 분묘 중 도기가 출토된 유적을 중심으로 유구의 현황과 유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조사한 유적의 설명으로는 자연환경과 조성입지 및 성격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연구대상인 도기의 종류 및 수량과 같이 확인된 공반유물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36개 유적에서 131여기 유구를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앞서 Ⅱ장에서 확인한 분묘유적에서 출토된 도기를 대상으로 어떤 기종이 많이 부장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가장 많이 확인된 기종은 병으로 확인된 도기 150점 중 132점을 차지한다. 따라서 병을 중심으로 세부적인 속성을 통해 형식분류를 진행하였으며, 총 6가지의 형식을 도출하였다. 도출한 형식을 시기별로 나누었을 때, 전기(10세기∼11세기)·중기(12세기∼13세기 중반)·후기(13세기 후반∼14세기 말)로 나눌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앞의 Ⅱ장과 Ⅲ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경남지역 고려 분묘 출토 도기의 시기별 변천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전기는 도기병 ⅠAa, ⅠAb형식이 확인되며, 공반유물로 해무리굽완이 확인되는 것이 특징이다. 중기는 ⅠAa, ⅠAb, ⅠB, ⅡAa, ⅡAb 형식이 확인되며, 특히 ⅡAa, ⅡAb 형식은 동최대경의 위치, 견부의 형태, 동체의 형태, 시문기법 등으로 다양한 형태가 확인된다. 후기는 ⅠAa, ⅠAb, ⅠB, ⅡB 형식이 확인되며, 특히 ⅡB 형식은 경상도에서 주로 분묘에 부장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경남지역 고려시대 분묘 출토 도기의 특징으로는 부장된 기종의 차이이다. 고려시대 후기가 되면 경기도에서는 호류가 많이 부장되는 반면, 충청도는 호와 ⅡB 형식의 병 부장비율이 비슷하다. 경남에서는 호의 부장보다 ⅡB 형식의 병 부장비율이 높았다. ⅠAa, ⅠAb 형식의 병도 충청지역에서 소수 확인되고, 대부분 경상도 지역에서 확인되는 특징이 있다. 그 중 점열문이 시문된 병도 확인된다. 앞서 공반청자도 살펴보았는데, 청자와 도기는 그 구성에 있어 보완관계인 것으로 보았다. 앞서 살펴본 부장양상을 통해 고려시대 다례(茶禮)문화와 연관지어 살펴보았으며, 고려시대 분묘 출토품의 구성과 그 의미를 동일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