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부모-자녀 갈등경험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용서의 매개효과 : 부와 모의 차이를 중심으로

        장미주(Miju Jang),정주리(Juri Joeng)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38 No.-

        이 연구는 고등학교 남학생들의 부모-자녀 갈등경험과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용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특히 부갈등과 모갈등을 구분하여 부모 성별에 따른 갈등경험과 공격성, 용서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자는 G시 남자고등학교 1학년 9개 학급 271명이었다. 연구결과, 부모-자녀 간 갈등경험과 공격성 간의 관계는 서로 정적인 상관이 있었고, 갈등경험과 용서, 용서와 공격성 간에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성립하였다. 용서는 부갈등과 공격성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고, 모갈등과 공격성 간의 관계는 매개하지 않았다. 이는 아버지와의 갈등수준이 있는 남학생들의 용서수준이 높을수록 공격성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록 모갈등과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용서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부갈등과 모갈등은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모갈등이 부갈등을 통해 용서, 공격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forgiveness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child conflict and aggression with a sample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Specifically, parent-child conflict was distinguished on the basis of parent’ gender (father-son conflict and mother-son conflict). Participants were male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and asked to complete a survey packet in class. A total of 271 completed surveys were analyzed.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both father-son conflict and mother-son conflict was positively related to aggression, but negatively related to forgiveness. In addition, forgivenes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ggressi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indicated that forgiveness fu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father-son conflict and aggression, but did not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mother-son conflict and aggression despite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mother-son conflict and father-son conflict. These results implied that forgiving their parents would assist male high students who experience conflict with father in reducing their aggression. Furthermor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미취업 신체 장애인의 장애 정도, 직무기술 효능감, 진로행동의 관계: 사회인지진로이론의 적용

        김도희(Kim, Dohee),정주리(Joeng, Juri) 한국재활심리학회 2021 재활심리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인지진로이론을 바탕으로 신체적 장애를 가진 미취업자의 진로 준비 과정을 탐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장애의 정도가 직무기술에 대한 효능감을 거쳐 진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애인고용 패널조사(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참여자 중에서 지체장애나 뇌병변장애를 가진 만 19세부터 49세 이하의 미취업자 중에서 취업을 희망한다고 응답한 32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의 정도가 심할수록 직무기술 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애의 정도가 진로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애의 정도가 직무기술 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체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진로행동을 촉진하고자 할 때, 이들의 직업적 효능감의 영향을 고려하여 개입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여겨진다. This study examined the application of social-cognitive career theory(SCCT) to investigate the career preparation proces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Specificall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egree of dis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investigated. This study analyzed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data set gathered from 320 unemployed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ged 19 to 49 years, who were currently looking for a job.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results indicated that degree of disability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levels of job self-efficacy, but had no direct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egree of dis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fully mediated by job self-effica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levels of job self-efficacy in facilitating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과의 관계

        이유미(Youmee Lee),정주리(Juri Joeng)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38 No.-

        이 연구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 간의 관계, 성별과 계열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고, 성별, 계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G광역시 3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551명을 대상으로 지필식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시험불안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자신감은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걱정과 정서 모두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자기조절 효능감은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걱정과 부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에서 성별과 계열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신감을 보였고,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정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자연계열의 학생들이 인문계열의 학생들보다 전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과 계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기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자신감만이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걱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정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신감이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첫째, 성별과 계열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에서 차이를 발견함으로써 각 집단에 따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시험불안을 낮추기 위해 상이한 개입방법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시험불안의 하위요인들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고등학생의 시험불안 인지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에 대처하기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어떤 하위요인에 개입해야 할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의 시험불안을 낮추기 위해 자신감을 높이고, 자신의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난이도의 과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격려해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with a sample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to measure their’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level. A total of 515 surveys were analyzed (189 men, 362 women). A correlation analysis, t-tes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analyze date to examine group differences by gender (men vs. women) and maj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s. sciences and engineer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was negatively related to test anxiet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by gender and major. Specifically, 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levels of the preference for difficult tasks and self-confidence subfactors of academic self-efficacy than female students did. In addition, students majoring in sciences and engineering reported higher level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preference for difficult tasks subfactor than students majoring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did. Only the self-confidence subfactor of academic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the worry subfactor of test anxiety. Furthermore, the self-confidence and preference for difficult tasks subfactors of academic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the emotion subfactor of test anxiety. The implications for teachers, school counselors, and researcher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