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ATV망을 이용한 VOD 시스템 관리 소프트웨어 구현

        정재영(Chae-yong Chong),김종태(Chong-tai Kim),장주욱(Ju-wook Jang) 한국정보과학회 199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B

        VOD서비스의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은 시스템 관리자에게 서비스 전반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고 필요한 자료들, 데이터베이스, 메뉴 파일 등을 작성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시스템 관리 소프트웨어는 관리자와의 작업을 수행하는 동시에 서비스 이용자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요구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 KCI등재

        한국인의 다양한 종교적 차원

        정재영(Chae-Yong Chong)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9 현상과 인식 Vol.43 No.1

        기존의 종교성 지표는 한국의 종교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인은 매우 종교적이며 삶 속에서 종교적인 지향성을 매우 강하게 드러내고 있음에도 인구센서스와 같은 설문조사 문항에서는 기존의 종교 단체에 대한 가입 여부만으로 종교 인구를 측정하기 때문에 종교 단체에 가입하지 않았지만 강한 종교적인 지향성을 가진 사람들은 배제되는 결과를 낳고 있다. 보기를 들어 특정 종교 단체에는 가입하지 않았지만 무속에 의지하여 삶을 영위하는 사람들이 자신을 무속 종교인이라고는 답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현실이 반영되지 않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개신교에서 종교 다원주의라고 말하는 중층적 종교인 곧 하나의 종교에 동일시하지 않고 여러 종교에 호감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 종교를 추종하는 사람들 역시 종교인 통계에서는 배제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결과로 전세계 인구의 80% 이상이 종교인인 것과는 사뭇 다르게 매우 종교적인 사람들이라고 알려진 한국에서는 2015년 인구센서스 기준으로 종교인이 50%에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측정되는 모순된 결과를 낳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기존의 통계 조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종교인 또는 종교성 측정지표의 개발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단순히 종교 단체 가입 여부만이 아니라 다양한 차원에서 나타나는 한국인의 종교성 척도 개발을 위한 경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불교, 기독교, 유교와 같은 기성 종교와 그 밖의 신흥종교로 대순진리회, 한국SGI 신자들을 대상으로 종교성을 드러낼 수 있는 차원들을 파악하기 위해 각 종교 지도자들과 신자들을 심층면접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기존의 종교성 개념에 대한 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현장 연구를 통해 보다 다양한 차원의 종교성을 파악할 수 있는 척도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Current Religion index does not reflect the reality of Korean religion. Koreans are very religious, and thus, their religiosity is strongly reflected in their lives. But because the survey questionnaires like the census only count membership with a religious organizations as a tally for religious population, those who are religious but are not a member of any particular organization are excluded. For instance, those who are not a part of a particular religious organization but who rely on shamanism would not label themselves as ‘shamanism,’ and therefore, excluded from the result. Likewise, those belonging to the multi-layered religion who are considered to be pluralistic from the Protestant perspective, those who do not identify with a single religion but have interest in various religions and follow, can also be excluded from the statistics. As a result, contrast to the 80% of the population being religious, a very contradicting result of less than 50% religiosity was found in the 2015 census in the land which is known to have very religious people. Considering this reality, there is a grea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standard of religiosity that will supplement the current statistical surveys. As a solution to these problems, an experiential research that will not only measure the membership of religious affiliation but also the various aspects of Korean religiosity was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for the religiosity of the Koreans. In order to apprehend the various levels of religiosity, in-depth interviews of various religious leaders and followers of established religions like Buddhist, Christian, and Confucianism, and other emerging religions such as Daesun Jinrihoe and Korean SGI. Through this kind of on-site study, a contribution towards developing a standard of religiosity that can better comprehend various dimensions of religion is expected.

      • 한국의 개교회 성장주의에서 비롯된 신뢰 위기와 극복 방안

        정재영(Chong, Chae Yong) 혜암신학연구소 2021 신학과교회 Vol.16 No.-

        교계의 여러 여론조사에서는 한국 개신교의 공신력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에 논란이 되었던 일련의 일들에서 볼 때 개신교의 모습은 우리 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이라기보다는 오로지 자신들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하나의 이익집단과 같이 여겨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교회 안에 개교회주의와 교회 성장주의가 깊게 자리 잡고 있는 것이 그 주요 요인이다. 개교회주의 자체가 부정적인 것은 아니지만 현실에서는 개교회 이기주의라는 부정적인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선교 초기의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개교회가 자급하기 위해서는 교회 안의 모든 자원을 교회의 유지와 확장을 위해 동원하여 교회 성장을 추구하는 것이 현실적인 선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이 1백 년 넘게 지속되면서 한국교회에서는 많은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무엇보다도 교회의 본질 요소 가운데 하나인 공동체성이 약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에서 이기적인 집단으로 여겨지고 있는 것이 큰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공교회성이 회복되어야 한다. 지상에 있는 모든 교회가 똑같은 하나님의 교회이고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이다. 개교회가 공동체일 뿐만 아니라 전체 교회가 공동체를 이루어야 한다. 그리고 교회의 공공성이 회복되어야 한다. 교회들이 연합하여 협력을 한다고 해도 그것이 교회들의 이익만 추구할 뿐 우리 사회의 공동선을 이루고자 하는 노력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집단 이기주의와 크게 다를 바 없다. 교회의 공공성을 바탕으로 교회가 속한 지역사회에서 공적인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교회가 스스로 공동체를 이룰 뿐만 아니라 피폐해진 지역 사회를 공동체화 하는 일에서 역할을 감당한다면 한국교회는 우리 사회의 어엿한 구성원으로서의 책무를 다하게 되고 사회로부터의 공신력도 회복하게 될 것이다. Polls from various Christian outlets have shown that public confidence in Korean Protestant churches is very low. When a series of recent controversial events were examined, the image portrayed by the Protestant churches is that of one of many interest groups that only seek their interest rather than being a part of a responsible member of the society. The main factor behind it the deep rootedness of church individualism and growthism within the Korean churches. church individualism is not negative in and of itself, but currently, comes off as negative due to being sensed as selfish. In the early days of church planting where financial situation was difficult, it was a realistic choice to seek church growth by mobilizing every resource within the church for maintenance and expansion so that the local church may become self-sufficient. But as this mentality continued for over a hundred years, many problems are surfacing within the Korean churches. Not only is community, a core element within church, is weakened, but that the church is perceived by our society as a selfish group is a big problem.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Universal church must first be restored. All churches on earth are God’s church, the body of Christ. Each church is a community, and all churches must come together to form a community. And the publicity of churches needs to be restored. Even if the churches come to work together, if they do not work towards a common good of the society but seek only their interest, then their efforts are essentially no different from collective selfishness. Grounded on publicity of the church, churches must take on public roles within the community they belong. If the church builds up community within itself and take on roles to further communities that have been impoverished by the society, then the Korean church will have fulfilled the responsibility as the full member of the society and regained public trust.

      • KCI등재

        ‘소속 없는 신앙인’에 대한 연구

        정재영(Chae-Yong Chong)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3 현상과 인식 Vol.37 No.4

        이 연구는 한국 기독교계에서 ‘가나안 성도’라는 말로 표현되고 있는‘소속 없는 신앙인’의 실체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가나안 성도"라는 말은 기독교인으로서의 정체성은 가지고 있지만 현재 교회를 나가지 않거나 또는 의도적으로 ‘기성’교회를 거부하는 사람들을 가리키기도 한다. 사회가 보다 다양하게 분화하고 다원화되는 경향으로 이러한 가나안 성도는 점차 증가하고 앞으로 우리 사회에서 종교와 관련하여 중심 주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 서구에서는 이미 탈제도적 종교성 곧 ‘소속되지 않은 신앙’이라는 개념으로 이러한 문제가 제기된 바 있다. 그러나 우리 학계에서 이러한 새로운 종교성의 경향에 대한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이 연구에서는 소속 없는 신앙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심층 면접을 통해 교회에 출석하던 이들이 어떤 이유와 어떤 과정을 거쳐 가나안 성도가 되는지를 탐구함으로써 가나안 성도들의 실체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을 우리 사회의 종교적 세속화의 한 측면으로 여겨질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심층 면접 조사 결과 이들이 교회를 떠난 이유는 신앙에 대한 강요, 소통의 부재, 신앙과 삶의 불일치, 주체적인 신앙 표현의 욕구로 정리될 수 있다. 조사 결과, 우리 사회에서 교회를 떠나는 현상이 세속화의 영향인지를 단정하기는 어려우나 그 특성은 어느 정도 중첩된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종교 세속화의 한 측면으로서‘보이지 않는 종교’를 논의했던 토마스 루크만의 핵심 논제이기도 하고, 앞에서 살펴보았던 최근 서구 교회의 경험과도 일정 부분 일치하는 것이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find out the substance and characteristic of ‘believers without Belonging,’ also known as ‘Canaan Believers’ among the Korean Christians. The expression ‘Canaan Believers’ refers to those who maintain Christian identity but currently do not attend church. As the Israelites roamed around for Canaan, these people are in search of ‘new’ church. The expression also refers to those who do not go to church, or those who purposely reject established church. As the society becomes more diverse and spread out, the number of these Canaan believers will increase, and the likelihood that these will become a center of attention in relation to society and religion will be high. In the West, ‘Believing without Belonging’ has already risen as an issue. This is an aspect of secularization where one escapes from systematic religious form to express and live out his or her own belief, another expression of ‘spiritual but not religious’ belief. But, there are no studies being done in this new religious tendency in the academics. Discussions around secularization have been on-going, but there needs to be deeper research into seeing whether Canaan Believers is an aspect of trans-systematic religion or an aspect of secularization. By exploring specifically on those who express belief without belonging, this research attempts to deepen the study of secularization of religion in our society and contribute toward expanding our understanding of Korean religiosity. In light of the fact that very little study has been done on ‘Belief without Belonging,’ this study, through in-depth interview, explores the reason and process by which those who once attended church become Canaan Believ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the Canaan Believers. By doing so, the study attempts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as to whether these phenomenon can be understood as one aspect of a secularization of religion in our society. In-depth interviews revealed that the reasons for leaving the church are being forced to attend church, lack of communication, inconsistency between faith and life, and selfish desire for spiritual expression. It is difficult from this research to conclude that the phenomenon of believers leaving the church in our society is due to the influence of secularization, but it can be said that the characteristics overlap. This is an aspect of religious secularization, which happens to be the main focus of Thomas Luckmann’s discussion on ‘invisible religion’ as well as corresponding partly to the experiences of the Western church examined earlier.

      • KCI등재

        교회 소집단 운동의 공동체성에 대한 연구-이론 차원의 논의

        정재영(Chae-Yong Chong)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2 현상과 인식 Vol.26 No.1ㆍ2

        This thesis aims to examine whether Christianity can fulfill the role of public religion by analysing the communal characteristics of small groups within the church. In recent year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members, the church had greater interests in growth, resulting in a loss of its communal characteristics. As members lose their identity as individuals within these large churches, small groups serve as a haven from the alienation that results and provide the closeness sought after by these members. Small group members form a sense of group consciousness and solidarity, and thus a feeling of trust in a society that is often described as ambiguous. Nor only is the church recovering its commun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practice of small groups, it is also gaining a form of social capital through the networks and relationships formed by members of small groups.<br/> By taking a sociological view point, this thesis argues that an increase in social interactions is the reason that small groups emit such characteristics. That is, communal characteristics are formed through small scale face-to-face interactions that lead to trust within the group.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religious. activities within the small group are moving from the private sphere to the public. Modern society reduces<br/> religious practices to the individual level, but small groups by nature are communal and therefore, religious activities performed by small groups have now moved to the public level. Small groups are an important topic in sociology because they serve as support groups and networks, and<br/> because the relationships formed within these groups serve as social capital necessary to participate in civil organizations.

      • KCI등재

        비제도권 교회의 유형에 대한 연구

        정재영(Chae Yong Chong)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0 현상과 인식 Vol.44 No.1

        최근 한국에서 제도권 교회들의 성장 정체 속에서 건물, 성직자, 교단 등 기존의 교회 구성의 문법을 따르지 않는 실험적인 새로운 기독교 공동체들이 나타나고 있다. 기존 교회의 틀에서는 의미 있는 신앙생활이 어렵다는 이유로, 또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가운데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서, 그리고 이러한 모양을 원하는 교인들의 욕구에 부응해 기존 교회의 모습에서 탈피한 신앙 공동체들이 등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회들은 기존의 관점에서는 교회라고 보기 어려울 수도 있고, 또한 기존 교회의 틀로서는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비제도권 교회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학의 연구 방법을 통해 비제도권 교회들의 실태를 밝히고 이들의 유형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23개 사례 중에 유형별로는 목회자 없이 평신도들로 구성되었거나 목회자가 있어도 목회자로서 특별한 권한을 행사하지 않는 평신도 교회가 13개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일요일에 모이지 않고 평일에 모이는 ‘주중 교회’ 형태가 3개 있었다. 또한 3곳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다른 단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공간을 모임 때만 빌려서 쓰는 ‘탈공간적 교회’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목적 지향에 따라서 보면, 대안 추구형, 본질 회복형, 필요 반응형으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새롭고 다양한 종교적인 욕구에 대해서 한국 교회, 특히 제도권 교회들이 어떻게 대응하고 스스로 갱신할지에 대해서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고 대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Recently, a new type of churches is appearing in Korea. In a midst of stagnation of institutional church growth, experimental, new Christian communities that do not follow the existing paradigm of church configurations like buildings, clergy, and denominations are appearing. In response to the desires of church members who reason that a meaningful life of faith is difficult within the framework of existing churches or that there exists a new possibility within a post-modernism, faith communities that are stripped of existing church models are appearing. From an existing perspective, it is difficult to label them as churches, and since they cannot be explained from the framework of existing churches, they are called non-institutional churches. This study, through sociological research method, attempts to show the actual state of non-institutional churches and classify their types. In this study, those non-institutional churches that do not belong to a denomination and live out their faith life according to their own ecclesiology are researched. Of the 23 cases by type, churches that are organized with only lay members and without clergies or though there are clergies they do not function with special authority make up the greatest proportion, at 13 cases. Traditionally, the uniqueness of church is that the Word is declared, and that communion is carried out. But that these practices once belonged only to those ordained clergies who received theological training from a legitimate denomination show these lay churches have escaped Christian tradition. And of the 3 cases of ‘mid-week churches’ where they did not meet on Sundays but on weekdays, one was like a monastery, and the other two did not explicitly express to be a church but carried out the functions of a church. Moreover, there were only 3 cases where they had their own worship or meeting rooms like the traditional churches, whereas the rest only borrowed available spaces from other organizations as needed. And finally, 5 met in their homes. In that sense, most of non-traditional churches can be seen as ‘trans-spatial’ churches. It is a great challenge to the Korean church that attendance in non-institutional churches are on the increase. In a post church growth era, or strictly speaking, after the decline of institutional churches, a new model of churches is appearing, and it is fulfilling their new spiritual desires. With regards to formal structures, these non-institutional churches possess a unique differentiation and autonomous freedom unlike the existing, traditional churches. With regards to these new and diverse spiritual desires, I hope that the Korean church, especially the institutional churches, can engage in detailed discussions and thus arrive at solutions as to how they will respond and reform.

      • KCI등재

        근대화와 한국 개신교 - 세속화론을 중심으로

        정재영(Chong Chae-Yong) 동양사회사상학회 2008 사회사상과 문화 Vol.17 No.-

          이 글에서는 종교사회학에서 말하는 ‘세속화’라는 개념을 통해서 근대화와 종교의 관계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세속화는 일반 사회이론에서 논의되는 근대화의 종교사회학적 변형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실제로 이와 관련된 논쟁들이 세속화 개념이 발달한 초기부터 최근까지도 이어지고 있을 정도로 세속화는 종교사회학의 핵심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세속화의 개념과 이에 대한 이론 그리고 이를 둘러싼 논쟁 속에 새롭게 등장한 새로운 세속화론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근대화와 종교의 관계에 대한 종교사회학적 이해를 시도하고자 한다. 그리고 한국 개신교의 성장과 복음주의 운동의 사례를 통하여 세속화와 관련하여 한국 개신교의 상황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논의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illumin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ization and religion through the concept of secularization, as noted by sociology of religion. Secularization can be seen as a version of modernization of sociology of religion which is discussed in general social theory. In practice, the fact that related debates continue to this day from when the concept of secularization was first developed shows that secularization is thought to be a core theme of sociology of religion. From this perspective, the attempt is made for an understanding within the sociology of relig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modernization by carefully examining the concept of secularization and theories regarding it and the newly appeared secularization theory born out of the various debates. Furthermore, through the examples of the growth of the Korean Protestant and Evangelical movements, a simple resolution is sought as to how one can understand the situation of Korean Protestantism in regards to secularization.

      • KCI등재

        교회 소그룹 운동의 사회적 실천을 위한 시론

        정재영(Chae-Yong Chong)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8 현상과 인식 Vol.32 No.4

        한국 교회의 소그룹 활동은 평신도를 훈련시켜서 교회 자체를 역동성 있게 하고, 소그룹 활동이 활발한 교회가 양적으로 성장하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함으로써 한국 교회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반면에 현행 소그룹의 관심이 교회의 울타리 밖으로까지는 이어지지 못하고 자신들만의 공동체에 집중되고 있으며 심지어는 개개의 소그룹 내부에만 관심이 국한 되어서 전체 교회의 공동체성마저도 저해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한국 교회에서 운영되고 있는 소그룹 활동이 갖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고 사회에 대한 관심과 책임 의식을 갖도록 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 교회의 소그룹이 기독교 정신을 사회에서 실천하는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현재 한국 교회 소그룹 활동의 현황과 한계를 살펴보고, 소그룹을 통한 사회적 실천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방안을제시해 본다. Small group activities in Korea have been seen to have contributed much to the Korean Church, through revitalization of the existing church and by giving rise to numerical growth in the church by means of training the laity. On the contrary, they have also been evaluated to have impeded the community of the church as a whole due to the fact that the interest of the small groups cannot go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church, but are focused on their own community, and even limited to their own individual small groups. In this situation, the need for small group activities in the Korean Church to overcome their limitations and bear concerns and responsibility toward society is highlighted. It is thus the objective of this writing to provide a basis that small groups in the Korean church can be a beachhead of Christian spirit within society. To achieve this, the present conditions and activities of small groups in Korea will be evaluated along with the need for a praxis focused on society and specific methods for small groups will be presented.

      • KCI등재후보

        한국 가족의 자녀 교육: 문화 습속의 관점에서

        정재영(Chae-Yong Chong)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4 현상과 인식 Vol.28 No.4

        This paper seeks to expose the cultural habits of modern Koreans. Education is one of the hot-debated issues in Korea. Parents in the Kang-nam area of Seoul, which is seen as the epicenter of educational fervor in Korean society were interviewed as were those in the area of Kang-buk, in smaller provincial cities, and in an alternative school.<b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problems of education resulting from private tutoring which centers on developing only academic ability - this is one of the most popular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Korea. All parents desire to bring up their children to be reputable persons in the community. Regardless of public interests, education has been devalued to a mere tool which is used for personal achievements. This reality has led parents to be concerned only about preparing their children for college-entrance examinations.<br/> Secondly, instead of considering the aptitude and ability of their children in deciding the important matters for educating them, parents jump on the bandwagon, following the footstep of the majority. Even in preparing for college-entrance, parents know that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preceding study is minute. Nevertheless, they concede due to their pre-sentimental fear that their children might fall behind.<br/> Thirdly, there is a strong tendency to seek first the family's interests in educating their children. Gifts are often given to teachers in order to benefit their own children. This is a shallow expression of family-orientatedness in the education of children. Even participation in the Parent Association or meetings with teachers is motivated by the parents' own selfishness, rather than their sincere care for the studies and future educational course of their children.<br/> Education is never a private matter. The publicity of education and its importance in society ought to be renewed. The common sentiment, which sees education as a mere commodity dictated by the market economy, must be wiped out. The purpose of education is to bring up children to become sensible and discerning citizens who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emocracy.<b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