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잭슨 폴록(J. Pollock)의 ‘드리핑(dripping)’회화 읽기 : 정신분석학의 ‘퇴행(regression)’ 이미지

        정수덕 한국조형교육학회 2009 造形敎育 Vol.0 No.35

        Jackson Pollock's paintings were both praised and blamed at the same time from the many of art critics and art historian. Pollock was blamed in that he rejected the classic painting that is the realistic method technic in Art. But Clement Greenberg insists that Pollock's the one of the greatest artist of the modern art in the America. Greenberg said that it is because Pollock is to seek for the flatness of his works in the dripping painting not seeking to the three mention technic of the art works as in the classic artist's works. Pollock's dripping work is interpreted for the image of regressions with anxiety as defence machinism in the psychoanalysis. The reason why he appeared the image of the regression in his work is the anxiety with in his actual life. His anxiety is that he might be succeed in his life in the future as greatest artist. Pollock's dripping painting is appeared the image of regression for defence mechanism in psychoanalysis as conquering anxiety of life. He's regression image is represented with similar to the kid's scribble image. Firstly, Pollock's works is the same to representing the image in unconscious mind with kid's scribble. Secondly, his work's is similar to as in the placement pattern of kid's scribble. Pollock's all over painting is the same thing to the scribble with the image of shape full formed in the paper. Pollock's painting is illustrated differently for classic works in case of interpreting psychoanalysis. In this study of Pollock's work by psychoanalysis, it will give us meaning in that we have proposed new method of art work's evaluation and art critic for student.

      • KCI등재

        잭슨 폴록(J. Pollock)의 ‘드리핑(dripping)’작품에서 ‘대상 a’(object a)와 반복 강박적 이미지 분석

        정수덕 한국조형교육학회 2010 造形敎育 Vol.0 No.38

        Jackson Pollock's dripping paintings was represented the flatness of a surface with line and colour only. His paintings was far from with realistic, naturalistic image. But in his works of art it is an unusual phenomenon that his <cut out>and <cut-out figure>come into views with human figure. So it is analyzed to represent his mother image through the with Psychoanalysis theory. It is interpreted with the image of 'object a' with Jacques Lacan's theory's because of splitting mother's body in the course of the symbolic state. Pollock cut out the human figure in <Cut Out>, and he represented the human figure to <Cut- Out Figure> again. His work was stand for absence and presence of mother's figure. His work was resembled child's paly with wood reel with a piece of string round it. So to speak, it menas the absence of mother's body with the child's throwing of it. On the contrary it means the presence of mother's body with the child's drawing of it. So he wanted to the joyful return of his mother through the image of his works. But the appearance of the woman's image with the <Out of the Web: Number 7> was represented the image of the repetition -compulsion. It is resembled the child's repeated behavior with the desire of the repetition -compulsion. The child's repeated behavior is meaning the renunciation of the satisfaction of an instinct. For that reason the appearance of woman's figure with <Out of the Web: Number 7> is interpreted with as the absence of mother. Finally in the view of the result, he wanted the return of his mother with through <Cut Out>and <Cut-Out Figure>, and <Out of the Web: Number 7> represented his renunciation of the satisfaction of an instinct, so to speak be existing of his mother's absence. 본 논고는 폴록의 1948-50년의 <오려내기>와 <오려낸 형상>, 그리고 1949년의 <그물망으로부터: 넘버 7>에서 인간의 형상과 그 형상이 나타난 원인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그의 작품에서 표현된 인체의 형상은 어머니의 몸으로 볼 수 있었다. 그것은 라깡의 ‘대상 a’이론에 의하면 아이가 상징계로 진입하면서 분리된 어머니의 몸이 대체된 형상이기 때문이다. 1948-50년의 <오려내기>와 <오려낸 형상>에서 나타난 그 형상은 그가 즐거운 어머니의 귀환을 염원한 것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그것은 프로이트가 언급한 아이의 실패놀이와 유사성을 통해 규명되었다. 아이가 실패를 침대 밑으로 던져 자신의 시야에 사라지게 한 것은 어머니의 떠나감을 뜻하며, 그 아이가 실패를 다시 끌어당겨 자신의 시야에 나타나게 한 것은 어머니의 돌아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아이의 진정한 목적은 어머니의 즐거운 귀환에 있었다. 아이의 실패놀이와 같이 폴록이 <오려내기>에서 그 형상을 오려낸 것은 그것이 자신의 시야에서 사라졌기 때문에 어머니의 부재를 의미하며, 그 형상을 다시 덧붙여 <오려낸 형상>을 만들어 낸 것은 그것이 시야에 다시 나타났기 때문에 어머니의 현존을 의미하였다. 결국 실패놀이에서 아이의 목적은 어머니의 즐거운 귀환에 있었듯이 폴록도 역시 자신의 두 작품을 통해 드러낸 그의 욕망은 어머니의 즐거운 귀환에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그의 <그물망으로부터: 넘버 7>은 반복 강박적 이미지로 볼 수 있었다. 그 근거는 아이가 지치지 않고 반복한 실패놀이에서 찾았다. 그 행동은 아이의 반복충동에 의한 것으로 프로이트에 의하면 아이의 본능 포기, 즉 어머니의 부재를 존재화한 것이다. 폴록도 마찬가지로 <그물망으로부터: 넘버 7>에서 어머니의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표현하였다. 그것은 아이의 실패놀이와 같이 그가 반복 강박적 이미지를 통해 자신의 본능 포기, 즉 어머니의 부재를 존재화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미술치료 사례를 통한 잭슨 폴록의 검은색 회화읽기: 귀소본능(The Homing Instinct)의 이미지

        정수덕 한국미술치료학회 2010 美術治療硏究 Vol.17 No.3

        Jackson Pollock was to be the leader of the abstract expressionism in the America with his original dripping technic since 1947. He was admired for his dripping painting by the pouring or dripping enamal on the canvas instead of drawing the his paintings. His dripping painting was represented his inner emotions by using the intense and various colour. But his painting has been suddenly changed to two different image largely since 1951. Firstly, his <Number 14> was represented the black colour with the twenty eight of his black paintings. Secondly, his <deep> was represented an open wound with black colour in 1953. First, he intend to describe his death instinct through his <Number 14>. His death instinct confirmed in the one of the works of the person with disease who was cured by art therapy, and The patient selected his death suddenly. Second, he desire to represent his stability by the wound shape of woman in his <deep>. It is confirmed that a woman represented desire to escape her pains by the image of a cave in her work. Finally, pollock also represented his desire to escape the pains and desire to return the body of his mother. It is represented the death instinct of Freud's theory, so to speak it is interpreted with the image of the homing instinct as a fish seeks the home to lay a spawn. 잭슨 폴록(Jackson. Pollock)은 1947년 이후 그가 창안한 드리핑 작품으로 미국 추상표현주의의 선구적 작가가 되었다. 그는 붓을 사용하는 대신 물감을 붓거나 뿌림으로써 그의 회화는 전통미술의 원근법이 사라진 혁신적 작품으로 인정을 받았다. 그의 드리핑 작품은 강렬하고 다양한 색상으로 작가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였다. 그러나 1951년부터 그의 작품에는 두 가지의 큰 변화가 일어난다. 첫째로 1951년에 들어와 그가 그린 <Number 14>를 비롯한 28점의 작품에는 검은색만이 나타나며, 둘째로 1953년의 작품 <심연>에서는 여성의 자궁 형상(an open wound)이 나타난다. 먼저, 그의 1951년 작품 <Number 14>에서는 검은색을 통해 자신의 상징적 죽음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와 같은 상황은 정신질환을 겪고 있던 한 남자가 검은색의 그림을 그린 뒤 갑자기 죽음을 선택한 미술치료의 예에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로 Pollock의 1953년 작품 <심연>에서 자궁의 형상은 Pollock 자신이 영원한 안정을 찾고자하는 염원을 나타낸 것이다. 즉 마르가라는 한 여인이 동굴그림을 통해 자신의 고통으로부터 보호받고자 소망한 것과 같이 <심연>에서 자궁은 Pollock이 자신의 고통을 피해 안정을 찾고자 하는 염원을 드러낸 이미지로 해석할 수 있었다. 결국 Pollock의 작품에서 자궁의 형상은 Freud가 주장한 죽음의 본능, 즉 물고기가 알을 낳기 위해 본래 태어난 곳으로 되돌아가려는 것과 같은 ‘귀소본능’의 이미지로 해석할 수 있었다.

      • KCI등재

        Jackson Pollock의 <초상화와 꿈>에 나타난 자아분열의 이미지

        정수덕 한국미술치료학회 2010 美術治療硏究 Vol.17 No.5

        Pollock의 1953년 작품 <초상화와 꿈>에는 두 가지의 모호한 형상이 나타난다. 그와 같은 이미지는 Freud의 이론에 따르면 Pollock의 자아가 분열되었기 때문에 나타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Freud에 의하면 그 원인은 Pollock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첫째로 그는 아버지에 대한 적대적 감정으로 살부(殺父)욕망을 은밀하게 드러내었다. 그 예로 아버지의 장례식에도 참석하지 않은 그는 어머니를 위로하는 편지에서 그의 아버지가 병상에 오랫동안 누워있지 않고 일찍 세상을 떠난 것을 기뻐하는 무의식적 욕망을 은밀하게 드러내었다. 둘째로 그는 어머니에 대한 고착으로 인해 동성애가 나타났다. 그는 1945년 아내 Lee와 정식으로 결혼한 뒤에도 다른 남자들과 만나 동성애를 즐기기도 했다. 그러나 그의 아버지에 대한 적대적 감정과 동성애는 당시 사회의 법이나 규범으로 용인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도덕적 양심을 따르는 그의 초자아는 이드에게 금지와 억압을 가했으며 그 결과 그에게 자아 분열이 일어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Freud의 이론만으로 Pollock의 작품을 분석한 것으로 그 한계가 있다. 그러나 Freud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이론을 통해 당시 Pollock의 정신적 갈등과 문제가 무엇이었는지를 밝혀 보았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Jackson Pollock's work Portrait and a Dream shows two obscure shapes, which, in a Freudian perspective, are attributed to the split of his ego. First, interpreted from a Freudian perspective Pollock did not overcome Oedipus complex. Pollock covertly revealed his hostile feelings towards his father and desire to kill his father. His absence from his father's funeral is an indication of this. In addition, in his letter to console his mother, his sense of gladness that his father didn't spend much time being sick in bed before dying was implicity revealed. Second, Pollock's obsession to his mother led to homosexuality. He maintained his homosexual relationships with other men even after he was married to Lee, his wife in 1945. His hostile feelings towards his father and affinity to homosexuality were not acceptable by the moral and social standards of his time. His superego trying to adhere to moral standards suppressed his id, giving rise to a split in his self.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Pollock's psychological conflicts and problems were interpreted based on Freud's Oedipus complex, although the limit of this study is that Pollock's work was interpreted only in a Freudian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