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장암의 근치적 수술 후 보조 화학방사선요법

        장세경(Sei Kyung Chang),김종우(Jong Woo Kim),오도(Doyeun Oh),정소연(So Young Chong),신현수(Hyun Soo Shi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4 No.3

        목 적: 직장암으로 근치적 수술 후 보조 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받은 환자들의 치료실패 양상 및 생존율 등의 치료 결과를 후향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직장암 환자의 치료에서 근치적 수술 후 보조 화학방사선요법의 역할을 알아보 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직장암으로 근치적 수술을 시행하고 수술 후 보조 치료방법으로 화학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AJCC 병기 II기와 III기 환자 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병기별 분포는 T1, T2 병기는 없었고 T3 38명(82.6%), T4 8명(17.4%)으로 대부분 T3 병기였으며, N0 12명(26.1%), N1 16명(34.8%), N2 18명(39.1%)이었다. 보조 화학요법은 40명에서 4주 간격으로 6회에 걸쳐 5-fluorouracil (5-Fu)와 leucovorin을 정맥 주사하였고 6명에서는 Uracil/Tegafur (UFT)를 6∼12개월간 매일 경구 복용하였다. 방사선치료는 골반 내 영역 림프절을 포함하는 부위에 45 Gy를 조사한 후 원발병 소가 있었던 부위를 중심으로 조사범위를 축소하여 5.4∼9 Gy를 추가조사 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은 8∼75개월이었 고 중앙값은 35개월이었다. 결 과: 전체 46명 중 17명(37%)에서 재발이 관찰되었다. 국소단독실패는 없었고 영역단독실패 1명(2.2%), 원격단독실패 13명(28.3%), 국소영역 및 원격실패 3명(6.5%)으로 국소영역실패율은 8.7%, 원격실패율은 34.8%였다. 최초 치료실패 부위는 골반 내 원발병소 주변 부위와 골반 내 림프절이 각각 3명이었고 연결부위나 회음부에서 실패한 경우는 없었다. 최초 원격실패의 부위는 폐, 간, 뼈 순이었다. 전체 5년 생존율과 무재발 생존율은 각각 51.5%와 58.7%였다. N 병기에 따른 생존율은 N0, N1, N2에서 각각 100%, 53.7%, 0%였고(p=0.012), 무재발 생존율은 각각 100%, 47.6%, 41.2%였다(p=0.009). 종양의 위치에 따른 무재발 생존율은 상부, 중간부, 하부에서 각각 55.0%, 78.5%, 31.2%였다(p=0.006). 다변량 분석에서 5년 전체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후인자는 N 병기였고(p=0.012), 무재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는 N 병기와(p=0.001) 종양의 위치였다(p=0.006). 수술을 요하는 장 관련 후유증은 3명(6.5%)에서 발생하였다. 결 론: 직장암의 치료에서 근치적 수술 후 보조 화학방사선요법은 국소영역제어 측면에서는 효과적이었으나 원격제어에 대한 효과는 부족하다고 생각된다. 향후 생존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원격실패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시도되어야 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ole of postoperative adjuvant chemoradiotherapy in rectal cancer,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treatment outcome of patients with rectal cancer taken curative surgical resection and postoperative adjuvant chemo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46 patients with AJCC stage II and III carcinoma of rectum were treated with curative surgical resection and postoperative adjuvant chemoradiotherapy. T3 and T4 stage were 38 and 8 patients, respectively. N0, N1, and N2 stage were 12, 16, 18 patients, respectively. Forty patients received bolus infusions of 5-fluorouracil (500 mg/m2/day) with leucovorin (20 mg/m2/day), every 4 weeks interval for 6 cycles. Oral Uracil/Tegafur on a daily basis for 6∼12 months was given in 6 patients. Radiotherapy with 45 Gy was delivered to the surgical bed and regional pelvic lymph node area, followed by 5.4∼9 Gy boost to the surgical bed. The follow up period ranged from 8 to 75 months with a median 35 months. Results: Treatment failure occurred in 17 patients (37%). Locoregional failure occurred in 4 patients (8.7%) and distant failure in 16 patients (34.8%). There was no local failure only. Five year actuarial overall survival (OS) was 51.5% and relapse free survival (RFS) was 58.7%. The OS and RFS were 100%, 100% in stage N0 patients, 53.7%, 47.6% in N1 patients, and 0%, 41.2% in N2 patients (p=0.012, p=0.009). The RFS was 55%, 78.5%, and 31.2% in upper, middle, and lower rectal cancer patients, respectively (p=0.006).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N stage (p=0.012) was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for OS and that N stage (p=0.001) and location of tumor (p=0.006) were for RFS. Bowel complications requiring surgery occurred in 3 patients. Conclusion: Postoperative adjuvant chemoradiotherapy was an effective modality for locoregional control of rectal cancer. But further investigations for reducing the distant failure rate are necessary because distant failure rate is still hig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