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직봉사동기, 보수만족도와 직무만족,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한 공무원 채용 방식의 조절효과 분석

        정세희 ( Sehee Jung ),이사빈 ( Sabinne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2011년 인사혁신처가 민간경력자 일괄채용시험을 도입한 이후, 민간경력채용방식을 통한 공직 입직자들의 숫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민간경력채용제도가 정말 필요한지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존재한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두 가지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첫째, 공개채용방식과 민간경력채용방식에 따라 공직봉사동기, 직무만족도, 보수만족도, 이직의도와 같은 주요 변수들이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둘째, 조직 연구에서 널리 실증되어 온 공직봉사동기-직무만족도 간 관계와 보수만족도-이직의도 간 관계가 채용방식에 따라 조절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결과, 민간경력 채용자들의 경우 공개채용 입직자들에 비하여 공직봉사동기와 직무만족도가 더 높았고, 이직의도가 더 낮게 나타났으며, 공직봉사동기 증가에 따른 직무만족도 증가의 폭이 더 높았고, 보수만족도 감소에 따른 이직의도 증가의 폭은 더 작았다. 이는 민간경력채용 입직자들의 역할 모호성과 목표 모호성이 공개채용 입직자들의 모호성보다 낮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민간경력채용제도 도입의 긍정적 효과성과 가능성을 탐색해 볼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 미래에는 어떤 공공조직으로 나아가야할지에 대해 제시한다면 그 의미가 클 것이다. Since the Ministry of Human Resources Innovation introduced the Private Career Recruitment (PCR) examination in 2011, the number of public officials who hired through this system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recruitment metho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Job satisfaction and pay satisfaction-turnover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study, unlike the general idea, Private Career recruiters had a higher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than those employed in open recruitment method. And, the scope of job satisfaction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ublic service workers, and the scope of turnover intention due to the decrease in the level of conservative satisfaction was smaller. In future research, it will be significant to show what kind of public organization should go to in the future.

      • KCI등재

        지방정부의 재정능력에 따른 재난관리 재정지출 결정요인 연구

        정세희(Jung, Sehee) 한국지방정부학회 2020 지방정부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재정능력에 따라 각 지자체의 재난관리 재정지출을 결정함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혀내고자한 논문이다. 일반적으로 지방정부의 재정지출을 결정하는데 미치는 요인은 크게 4가지로 나눠서 살펴볼 수 있다. 구조, 수요, 정치적, 점증적 요인이 이에 해당한다. 본 연구 역시 기존 선행연구들에 착안하여 기존 연구들에서의 미흡한 부분인 각 지방정부의 재정능력이라는 개념을 포함하여 살펴보고자 했다. 정리하여 말하자면, 지방정부의 재정능력에 따라 구조, 수요, 정치적, 점증적 요인은 재난관리 재정지출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칠 것임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한 연구이다. 지방정부의 재난관리예산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전국 17개 시·도와 226개 시·군·구로 총 243개의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8년간(2009~2016년)의 패널자료를 이용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시도, 시군구별로 재난관리 예산 결정요인들의 영향과 이에 따른 시도, 시군구별로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본 논문의 구성은 2장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논의에서는 기존 재난관리, 재난관리 재정지출, 예산결정론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고, 지방정부 수준에서의 재난관리가 중요한 이유와 본 연구의 논의와 분석틀을 이끌어 내고자 한다. 다음 3장 연구 설계에서는 본 연구를 위해 활용된 변수와 수집된 자료들을 설명하고, 연구모형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4장 분석결과에서는 지방정부의 재정능력별로 재난관리 재정지출에 어떤 영향 요인으로 결정되는지에 대해 실증적 결과들에 대해 정리 및 설명하고자 했다. 마지막 5장 결론 부분에서는 4장 분석결과를 통해 지방정부의 재정능력과 재난관리 재정지출 결정요인의 관계와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책적 함의에 대해 정리하고자 했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는 정책요인결정론(구조결정, 수요, 정치, 점증요인)의 한계와 지방정부의 재정능력에 따른 분류가 기존 정책요인결정론에 이론적 기여를 얼마만큼 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mpirically find out what factors influence each local government s decision on its disaster management fiscal spending based on the financial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In general, the factors affecting local governments expenditure can be divided into four major categories. This includes structural, demand, political and demand factors. This study was also intended to look at existing prior studies, including the concept of financial capacity of each local government, which is an insufficient part of existing studies. In short, the study was design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structure, demand, political, and incremental factors depending on the local government s financial capacity, which would have a different impact on disaster management expenditure.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local government s disaster management budget, a total of 243 local governments, including 17 cities, provinces, counties and districts nationwide, were used for eight years(2009-2016). Using these measures, the government wanted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deciding factors of disaster management budget for each city and county, and thus the difference between cities and provinces in an empirical manner. The composition of this paper seeks to look at the study of existing disaster management, disaster management fiscal expenditure and budget determinism in Chapter 2, and to elicit the reason why disaster management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is important and the discussion and analysis framework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hapter 3 design of the study describes the variables and collected data used for this study and outlines the research model. Chapter 4 The analysis results were intended to summarize and explain empirical results on how the fiscal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is determined to influence disaster management fiscal spending. In the final section of Chapter 5, we wanted to summar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nancial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deciding factors of fiscal spending in disaster management and the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outcome through the analysis of Chapter 4. In addition, we wanted to look at the limitations of the policy factors determinism (structural decision making, demand, politics, incremental factors) being used in this study and how much the classification of local government s financial capacity contributes to the existing policy factors determinism.

      • KCI등재

        지식공유와 성과간의 인과구조 :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지식공유의 결정모형과 성과에 대한 영향 분석

        윤창근(Yun, Changgeun),최정인(Choe, Jungin),정세희(Jung, Sehee) 한국지방정부학회 2017 지방정부연구 Vol.21 No.2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지식은 조직의 필수자원이며, 조직 내 지식공유는 지식의 활용가능성과 부가가치 창출능력 을 극대화하는 중요한 관리전략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지식공유는 서로의 필요에 의한 지식의 교환보다는 전 달-습득의 일방적 관계에 의해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며, 실제 현장에서는 지식공유가 그 중요성만큼 활발하지 못하 다. 본 연구는 지식공유를 활성화시키는 구조적 요인(공식화, 집단/합리 문화, 거래적 리더십)과 관계적 요인(조직 신뢰, 의사소통)을 검증하였다. 지식공유의 결정모형 외에 본 연구는 성과를 조직성과와 개인성과로 구분하여 지식 공유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에 따르면, 지식공유는 조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개인성과 에는 유의한 영향력을 갖고 있지 않다. 지식공유가 항상 상호 호혜적이지 않음을 고려하면, 참여자 간의 성과향상에 대한 기대 차이가 발생한다. 즉, 지식습득자는 전달받은 지식을 활용하여 개인성과를 증진시키지만, 지식전달자에 게는 새롭게 습득한 지식이 없기 때문에 당장의 개인성과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식공유의 활 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Knowledge is considered as the core resource in the age of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Therefore, knowledge sharing within organization is being emphasized as an important management strategy that maximizes the capacity to create added value and utilize knowledge. However, the level of knowledge sharing is not on par with its importance within public organiza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nd knowledge sharing by looking at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individual performance separately. According to the analysis, knowledge sharing has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whereas it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individual performance. Knowledge sharing is not always a reciprocal exchange for all participants. Individuals who acquire new knowledge may enhance their performance by utilizing the new knowledge. However, individuals who deliver knowledge cannot expect to immediately improve their performance, since they did not acquire new knowledge. Such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e necessity of systematic support for facilitating sharing in public organizations.

      • KCI등재

        웹 3.0 시대 환경 변화에 따른 차세대 분산형 스토리지 프로젝트 비교분석 -BTFS(Bit Torrent File System)을 중심으로-

        이선경(SunKyung Lee),김종성(JongSeong Kim),정세희(Sehee J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5

        최근 데이터의 양과 종류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부터 사용되던 중앙집중식 스토리지의 한계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업무 및 서비스의 연속성 등을 지원하기 위해 여러 스토리지에 분산하여 저장하는 분산형 스토리지의 활용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하지만 분산형 스토리지 또한 대역폭 문제, 보안문제들과 같은 이슈를 가지고 있어 이를 해결하고 Web 3.0이나 NFT같은 새로운 기술의 등장을 반영하기 위해 분산형 스토리지 프로젝트가 등장했다. 본 연구는 여러 분산형 스토리지 프로젝트 중 특히 BTFS(Bit Torrent File system)의 프로세스 및 구조를 분석한다. 이후 분산형 스토리지 프로젝트 비교분석을 통해 BTFS가 분산형 스토리지 프로젝트 가운데 가장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되었다. 하지만 BTFS는 네트워크 및 스토리지를 공유할 뿐만 아니라 코인을 이용하여 거래되고 있어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범죄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본 논문은 다양한 종류의 많은 데이터를 안전하면서도 운용유지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분산형 스토리지 프로젝트, 특히 BTFS에 대한 활용 가능성을 소개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향후에 BTFS 시스템에 대한 실제 범죄 가능성에 대해 판단하기 위한 시나리오 작성 및 실험 진행이 필요하다. Recently, the limitations of centralized storage have become apparent as the amount and type of data being produced increase. This has led to the emergence of distributed storage projects supporting the continuity of work and services. On the other hand, these projects face issues, such as bandwidth and security problems. In response, this study analyzed the Bit Torrent File System (BTFS) project among several distributed storage projects, and concluded that it has the highest potential for utilization. The paper discusses the potential risks of using coins for trading within the BTFS network. Overall,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utilizing distributed storage, such as BTFS, which can safely store various data types while reducing operation and maintenance costs. Further research should focus on developing scenarios and conducting experiments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crime against the BTFS system.

      • KCI등재

        정부의 질이 국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최정인(Choe, Jungin),김태형(Kim, Taehyung),정세희(Jung, Sehee),문명재(Moon, M. jae)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지방정부연구 Vol.21 No.4

        최근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는 기존의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요인을 넘어서 정부의 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좋은 정부(good government)’는 거시적 차원의 국가발전 뿐만 아니라 개인의 삶의 질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오늘날 좋은 정부는 실제로 국민 삶의 질적인 향상을 이끌어내는가? 본 연구는 정부의 질은 국가의 경제성장을 향상시키고 이는 궁극적으로 국민 삶의 질을 높일 것이라고 가정한다. 즉 경제성장은 정 부의 질과 삶의 질에 있어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연구질문에 답하기 위해 144개국을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15년까지의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연구에서 가정하는 인과관계를 검증 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의 질적 측면 중 정부효과성은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법의 공정한 지배와 시민참여와 책임성의 향상은 오히려 경제성장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성장은 예상한대로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선행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치체제와 정부규모에 따른 구체적인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recent discussion on the quality of life goes beyond considering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factors and now also considers the quality of government as an important factor. Good government can not only make impact on the national development in a macro level, but it can also change the quality of an individual’s life in a micro level.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good government on an individual’s quality of life. The main hypothesis is that good quality of government will improve the national economic growth, and it will ultimately enhance the quality of lives of the citizens. Data from 144 countries from 2010 to 2015 were looked into,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government effectiveness has positive effects on economic growth while the rule of law, engagement of citizens, and improved accountability and responsibility actually have negative effects on economic growth. Moreover, as expected, economic growth is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Lastly, specific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different political systems and sizes of other countries’ gover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