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의 만찬에 대한 바울의 권면

        정복희(JEONG Bok-Hee)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8 장신논단 Vol.50 No.3

        정류 이상근 박사는 고린도교회의 주의 만찬에 관한 본문(고전 11:17-34)을 주석하면서 사회-역사적 접근을 시도하면서도 조직신학적 접근을 보여준다. 이런 그의 접근 방법은 바울이 주의 만찬에서 보여준 권면의 사회적 맥락을 놓치게하는 한계를 가진다. 또한 정류는 바울의 권면을 믿는 자들의 개인적 회개로 이해함으로써 본문의 내용을 제한시키는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류가 주의 만찬에 관한 주석에서 성찬의 수평적, 수직적 교제에 대해 강조하고 이들이 서로 별개가 아니라고 주장한 것은 탁월한 해석이다. 바울은 고린도교회의 주의 만찬에서 발생한 분열은 교회를 부끄럽게 한 것이며 ‘주의 만찬’을 ‘자기의 만찬’으로 만든 것이라고 책망한다. 바울은 고린도 교인들 간의 수평적 교제를 손상시킨 것은 주와의 수직적인 교제를 훼손한 것과 다르지 않다고 말한다. 그러고 나서 바울은 주의 만찬에서 ‘가지지 않은 자들’과 ‘가진자들’의 수평적 교제와 고린도 교인들과 ‘주(主)’와의 수직적 교제를 회복하도록 권면한다. 그러므로 바울이 고린도 교인들을 향해 “자기를 살피고”, “서로 받아들이라”고 한 것은 주의 만찬에서 수평적 교제의 회복을 의미하는 동시에 ‘주(主)’와의 수직적 교제에 대한 회복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한국 교회와 교인들은 성찬을 “개인적이고 영적인 구원의 도구”로 이해하는 오류를 범하여왔다. 이런 시점에서 주의 만찬의 수직적 그리고 수평적 교제의 중요성을 강조한 정류의 주석은 오늘 한국 교회의 성찬의 의미를 회복하기 위한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In his commentary on the text of the Lord’s Supper (1 Cor 11:17-34), Dr. Sang-geun Lee takes both a systematic theological approach and a socio-historical one. This tendency may cause him to lose sight of the social context in which Paul addressed his advice at the Lord’s Supper. In addition, Dr. Lee tends to limit the text’s meaning by merely interpreting the Eucharist as the individual repentance of each believer. Despite those problems, Dr. Lee’s outstanding contribution lies in his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horizontal and vertical fellowship in the Lord’s Supper, and particularly in his explanation of the inseparability of the two dimensions. In the text, Paul points out that the problem of the Corinthian Church’s practices at the Lord’s Supper was that they despised God’s church by misunderstanding “the Lord’s Supper” as “his own supper.” Paul rebuked the idea that ruining the horizontal fellowship would harm the vertical fellowship with the Lord. Moreover, based on the tradition of the Lord’s Supper, Paul exhorted the Corinthians to restore the horizontal fellowship between “those who have nothing” and “those who have,” and to recover the vertical fellowship between the Corinthians and the Lord. When Paul suggested to “examine oneself” and to “receive each other” at the Lord’s Supper, he was offering practical advice to restor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fellowships. In the context of Korean Christianity,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s have traditionally understood the Eucharist as “individual and spiritual means of salvation.” Given this, Jeong-ryu’s interpretation of the Lord’s Supper proposes a solution for today’s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s. Stressing the importance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fellowships in the Lord’s Supper, Jeong-ryu asks for the recovery of Ecclesiology and Christology in the Eucharist today.

      • KCI등재

        영생을 위한 매개자로서 요한복음의 여성

        정복희(Bok Hee Jeong)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21 신학논단 Vol.103 No.-

        Women in the Gospel of John recognized that Jesus is the life by meeting with him and testifying to their meeting. They independently responded to Jesus’ call, followed him, and confessed that he is the one who gives life. Despite Jesus’ instructions, Jesus’ mother is the motive behind the revelation of Jesus’ identity as God who gives wine at the messianic banquet. At first, Mary and Martha did not recognize who Jesus was. However, after they saw that Lazarus had died but was living again, they confessed Jesus’ life and resurrection. Others came to believe in Jesus because of them. Mary Magdalene did not recognize the risen Jesus at first, but when he called her name, she recognized his resurrection and testified to his disciples about it. The Samaritan woman helped with Jesus’ Samaritan mission. In these events, women are portrayed as those who lead others to faith. Therefore, the women of the Gospel of John both reveal that Jesus is life and had been resurrected and act as mediators of eternal life. The women in the Gospel of John are portrayed as self-directed individuals, not as people who simply respond to social needs.

      • KCI등재

        식사에서의 정체성과 요한공동체의 정체성 구성 - 요한복음 6:22-59를 중심으로 -

        정복희 ( Jeong Bok Hee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7 대학과 선교 Vol.33 No.-

        요한공동체의 식사는 `하나님의 자녀들`로서 요한공동체의 정체성을 구성하고 강화하는 기능을 하였다. 그레코-로마의 식사는 로마와의 일치를 통해 팍스 로마나를 유지하고, 다양한 신들이 제공하는 정체성의 복잡성에 참여하는 것이었다. 유대교의 식사는 부정으로부터의 “분리”를 통해 그들의 정결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반면, 요한공동체의 식사는 `인자의 살과 피`를 먹고 마시는 것이었다. 이 식사에서 그들은 예수와의 상호거주를 통해서 예수의 평화를 경험하고 `하나님의 자녀들`로서 그들의 정체성을 규정한다. `하나님의 자녀들`이라는 것은 요한공동체의 신적인 기원에 대한 강조이다. 동시에 그것은 그들이 예수의 선교를 위임받은 선교 공동체임을 말한다. 요한공동체는 식사를 통해 세상으로부터 분리가 아니라 세상에 머물면서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전하는 선교공동체로서 그들의 정체성을 구성한다. In the Johannine community, participating in the meal formed and reinforced their community identity as “children of God”. In Greco-Roman meals, it meant maintaining the Pax Romana by agreement with Rome and participating in the complexity of identity provided by the various gods. Jewish meals demonstrated their purity through “separation” from impurity. On the other hand, the Johannine meal was eating and drinking “the flesh and blood of the Son of Man”. Through this meal, they experienced the peace of Jesus caused by this union with Jesus and thus defined their identity as “children of God”. The term “children of God” emphasizes their divine origin. At the same time, it demonstrates that they are missionary communities committed to the mission of Jesus. In the meal, the Johannine community does not separate itself from the world, but rather formats their identity as missionaries who declare God`s love for and to the world.

      • KCI등재

        누가복음에 나타난 식사의 ‘공간적 전환’ - 누가복음 15장을 중심으로-

        정복희(Jeong, Bok-Hee) 한국신약학회 2022 신약논단 Vol.29 No.2

        누가복음 15장의 식사는 축제의 사회적 실천에 참여하는 자들과 이것을 거부하는 자들의 장소감을 보여준다. 비유에서 식사는 찾아진 존재들이 ‘집이 없음’의 실존적 외부성에서 ‘집에 있음’의 실존적 내부성으로 전환되어 새로운 소속을 경험하는 장소이다. 여기서 ‘집’은 단순히 잃은 자들이 돌아와서 머무는 물리적 장소가 아니라 찾아진 존재들이 정체성을 회복하여 내부성을 경험하는 장소이다. 동시에 식사는 아버지와 함께 체류하면서도 집을 무의미한 곳으로 만들고, 아버지의 초대를 거절하여 아버지의 권위에 도전하는 첫째아들의 외부성을 드러내는 장소이다. 이처럼 비유 속 식사는 내부성과 외부성의 장소감 역전이 일어나는 공간적 전환의 장소이다. 이러한 예수 식사의 공간적 전환은 구분과 분리를 특징으로 하는 바리새인의 식사와 다른 예수 식사의 수용과 포용의 특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아버지를 비난하고 그의 초대를 거절하는 첫째아들을 향한 아버지의 기다림을 보여주는 비유의 열린 결말에서 잘 드러난다. 누가복음 저자는 15장의 비유를 통해 예수 식사의 공간적 전환에서 나타나는 수용과 포용이 누가공동체 식사의 사회적 실천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In Luke 15, the meal reflects a sense of place for those who participate in it and those who reject it. In Jesus’ parables, meals are places where found beings experience a new belonging by turning from the existential outsideness of homelessness to the existential insideness of “being at home”. In the parables, the home is not simply a physical place where the lost return to and stay, but a place where found beings recover their belonging and experience an insideness of identity. The meal in Luke15 reflects the outsideness of the elder son who rejects his father’s invitation and challenges his authority yet remains in his house, making the house meaningless. As such, Jesus’ meal is a place of spatial turn where the reversal of the sense of place between insideness and outsideness takes place. However, the spatial turn of the meal in the parable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cceptance and inclusion of Jesus’ meal. This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harisees, which is characterized by division and separation. This is reflected in the open-ended ending of the parable in which the father waits for his elder son who criticizes him and rejects his invitation. Through the meals in the parables told in Chapter 15, the author of the Gospel of Luke argues that the acceptance and inclusion in the spatial turn of Jesus’ meal should be a social practice that forms the identity of Luke’s communal meal.

      • KCI등재

        그레코-로만 식사 제도에 대한 바울의 해석 -고린도전서 8, 10장을 중심으로

        정복희(Jeong, Bok Hee) 한국신약학회 2020 신약논단 Vol.27 No.3

        고린도전서 8:1-11:1에서 바울은 우상제물을 먹는 문제를 다루면서 사회적 제도로서 그레코-로만 식사를 새롭게 해석한다. 고린도교회의 어떤 기독교인들은 그들이 참여하는 우상제물을 사회적 관습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와 달리 다른 기독교인들은 우상제물을 먹는 것에 걸림을 가지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바울은 ‘누구와 먹는가’, ‘무엇을 먹는가’, ‘어디서 먹는가’에 대한 유대교 음식규례에 대한 개방성을 주장한다. 그러면서도 바울은 그레코-로만 식사에서 행해지는 다양한 신들을 위한 헌주와 찬가, 성적인 즐거움은 단순히 사회적 ‘관습’이 아니라 귀신과의 교제에 참여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식사에서 행해지는 이런 다양한 행위는 주와의 교제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며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이처럼 바울은 유대교 음식규례에 대한 개방성을 주장하면서도 그레코-로만 식사의 제의적 특성에 대해서는 문제를 제기한다. 바울은 그레코-로만 식사에서 행해지는 다양한 행위들은 출애굽한 이스라엘이 악을 즐겨 행하고, 음행하고, 주를 시험하고, 원망한 것과 다르지 않다고 말한다. 이런 이유로 바울은 주의 식탁에서 주와의 교제에 참여하는 자들에게 귀신과의 교제에 참여하지 않을 것을 권면한다. 바울은 우상제물을 먹는 문제에 관한 직접적인 답변보다는 “선 줄로 생각하는 자는 넘어질까 조심하라”고 권면하여 고린도 교인들 스스로 그레코-로만 식사를 재해석하도록 요청한다. In 1 Corinthians 8:1-11:1, Paul interpreted the Greco-Roman meal as a social institution, focusing on the problem of food sacrificed to idols. Paul insisted on openness to the Jewish food laws of who one eats with, what one eats, and where one eats. Nevertheless, Paul said that sexual enjoyment, libations for the various gods, and paean during meals were not just social customs but participation in koinonia with demons. Paul said that the various acts performed during Greco-Roman meals were no different from the exiled Israelis who enjoyed doing evil, committing sexual immorality, grumbling and testing the Lord. For this reason, Paul advised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koinonia with the Lord at the Lord’s table not to participate in koinonia with demons. Rather than giving a direct answer to the problem of eating food sacrificed to idols, Paul exhorted “Even if you think you can stand up to temptation, be careful not to fall,” asking the Corinthians themselves to reinterpret the Greco-Roman meal.

      • KCI등재

        일개 지역 농부에서 근골격계 통증에 대한 스트레칭 운동의 효과

        정복희(Chong, Bok-Hee),김정자(Kim, Jeong-Ja),양충용(Yang, Chung-Y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10

        본 연구는 농작업자에게 스트레칭 운동을 적용하여 근골격계 통증에 대한 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 였다. 연구 대상은 28명의 일개 지역 농촌거주자가 참여하였으며 무작위 추출법에 의해 스트레칭군(n=13, 59.67±4.77세)과 대조군(n=15, 61.44±10.41세)으로 나누었다.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방식을 이용하였으며, 작 업관련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을 갖는 신체 6부위에서 통증의 강도와 하루시기 중 통증변화에 따른 통증의 강 도를 시각적 상사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스트레칭군에서는 4주 동안 전체 12회의 스트레칭 치료가 실시 되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통증의 특성에서 두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스트레칭 적용 4주후, 스트레칭 군에서 팔/팔꿈치관절을 제외한 거의 모든 관절부위와 하루 중 통증정도가 치료 전에 비해 그리고 대조군에 비 해 각각 유의한 개선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스트레칭은 지역사회 주거 노인 농부에서 근골격계 통증의 조절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 방법 중 하나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tretching management on musculoskeletal joint pain in community indwelling elderly farmers. The study included 28 residents who lived in a rural community. All participants were assigned randomly to either the stretching group (n=13, 59.67±4.77 year-old) or the control group (n=15, 61.44±10.41 year-old). Respondents were interviewed by means of a structured questionnaire. Pain severity of 6 body areas caused by symptom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pain severity on day time variations were measured by the visual analogue scale on a self-assessed questionnaire. The stretching group was administered stretching therapy (45 min, 2 sets, warming up and cool down, main exercise; total 19 stretching kinds of subset 5 fields) for 12 times for 4 week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general social and pain characteristics. After 4 weeks of stretching, the stretching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at almost all joint pain scores except arm/elbow, and day time variation scores of pain compared to both baseline scores, and with control group scores. These results showed that stretching therapy is one of the most useful modalities to manage musculoskeletal pain in community-based elderly farme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뇌졸중 환자에서 시지각 치료의 효과

        김정기 ( Jeong Ki Kim ),백현희 ( Hyun Hee Paek ),정복희 ( Bok Hee Chong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4 No.1

        목적: 이 연구는 시지각 치료 후 시지각과 인지기능, 일상생활 회복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자는 2003년 1월 2일부터 10월 30일까지 전주에 소재하는 C병원에서 시지각 작업치료를 받은 뇌졸중 환자 47명을 대상으로 1일 30분씩 6주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허혈성 뇌졸중군은 MVPT 원점수(p<0.001)와 수행속도에서 유의하였으며(p<0.01) 허혈성 뇌졸중군과 출혈성 뇌졸중군 모두에서 MMSE-K, MBI 총 점수에서 유의하였다(p<0.01), 좌측반구와 우측반구 손상 두 군에서 MVPT 원점수와 MBI 총 점수는 유의하였고(p<0.01), 우측 대뇌반구 손상군에서 MMSE-K에서 유의하였다(p<0.01). 언어장애가 있는 군에서는 MVPT 원점수가 유의하였으며(p<0.001) 언어장애가 없는 군에서는 MMSE-K, MBI 총 점수에서 유의하였다(p<0.001). 결론: 시지각 작업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회복 및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회복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is study determined the effect of visual perceptual therapy on recovery of visual perception function, cognitive function and abilities of daily living activities for stroke. Method: 47 stroke patients received visual perceptual therapy at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PMC in Jeonju. The half-hour daily therapy was conducted for 6 weeks for the individual patient who in total had 36 sessions. Result: The cerebral infarction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VPT raw score(p<0.001) and visual perceptual processing time(p<0.01). Both groups revealed highly significant scores at MMSE-K and MBI total score(p<0.001). Both right and left cerebral hemisphere impairment groups show marked difference at the scores of MVPT raw score and MBI total score(p<0.01), regardless of speech disorder MVPT raw score was highly significant(p<0.001)MMSE-K, MBI total score showed significant variances at the non-speech disorder group(p<0.001). Conclusion: Visual perceptual therapy is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on recovery of visual perception function, cognitive function and the abilit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