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vid-19에 따른 디지털 기술의 부상과 교사 직무 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정바울(Baul Chung),장유(Yujung Ja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20 敎育政治學硏究 Vol.27 No.4

        본 연구는 Covid-19 이후 디지털 기술이 교사 직무에 미친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이다. 교육현장에 디지털 기술이 도입된 이후 테크놀로지가 교수-학습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는 많았지만, 교사의 일과 노동 측면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했다. 이 연구는 Covid-19 이전 디지털 기술이 교사의 직무(일과 노동)에 미친 영향을 고찰한 호주 학자 Neil Selwyn과 동료들(2017)의 연구에 착안하여 Covid-19 이후 한국의 초등학교 교사가 수행하는 디지털 기술 기반 직무와 이를 둘러싼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질적 사례 연구기법을 통해 2020년 이후 약 7개월 동안 디지털 기술이 교사 직무의 재구조화와 교직 문화에 가져온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Covid-19로 인한 원격수업 수행 과정에서 교사들은 직무 재구조화의 가속화, 직무의 개인 책임화, 교사 관계의 파편화, 감정 노동의 증가, 감시의 내면화 등을 경유하며 직무 강화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digital technologies are currently implicated in the work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midst Covid-19 crisis. Drawing on qualitative case stud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outh Korea, this paper delves into the question of how digital technologies change the nature of teacher s work, work arrangement, work relationships? In particular, drawing on Selwyn et al.(2017)’s study on the inadvertent work intensification of teachers accompanied by the enhanced use of digital technologies within schools, the paper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teachers’ work was further intensified due to an increase in non-face to face digitized instruction amid Covid-19 pandemic. The result shows resonance with the proposed Selwyn et al.(2017)’s thesis. The findings are revealing in the sense that there is uneasy muteness regarding the tensions between digital learning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shadowed digital labour of teachers. More studies are warranted to come up with fairer, equitable and empowering work arrangements for teachers through alternate uses of digital technology.

      • KCI등재

        제도변화와 전문적학습공동체: 제도변화 관점을 활용한 교육청의 전문적학습공동체 정책 사례 분석

        정바울(Chung, Baul)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1

        본 연구는 전문적학습공동체 정책의 형성과정을 제도변화의 관점에 착안하여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제도 변화 연구에서 강조되는 제도적 혁신가 분석틀을 활용하여 A교육청에서 전문적학습공동체를 정책화 과정을 둘러싼 문헌 분석 기법과 면접 기법을 적용하여 미시적으로 규명하였다. 분석 결과, 전문적학습공동체의 정책 형성 과정은 세 가지 중요한 차원에서 조명될 수 있었다. 첫째, 전문적학습공동체 접근의 제도화의 낮은 수준, 이질성이 높은 정책 환경은 제도적 혁신가에게 정책 형성(제도 변화)을 위한 우호적인 기회 및 정당성을 제공하였다. 둘째, 제도적 혁신가(H과장)의 엘리트 지위를 점유하지만 중심 논리에 완전히 포섭되기 보다는 배태된 자율성을 행사할 수 있는 우호적인 힘으로 작동했다고 할 수 있었다. 셋째, 전문적학습공동체 정책을 담론적으로 재개념화하고, 이를 기존 제도 속의‘연수’로 연결지어 학점을 부여한 것은 전문적학습공동체 중심으로 연수를 통합하면서 제도화에 기여하였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본 연구가 전문적학습공동체 접근에 주는 이론적 시사점과 제도주의 이론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전문적학습공동체 정책 실행을 둘러싼 실천적 시사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qualitative case study examines the emergence of district PLC policy in S. Korea using a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institutional entrepreneurship model. Based on the analysis of texts produced by district office and in-depth interviews with district officials, I found that the district PLC policy change involved three sets of critical activities. First, the occupation of status or subject position that have wide legitimacy and deploy diverse resources and means for change. Second, the theorization of new policy through discursive means. Third, institutionalization of new organizational forms, coming up with and applying incentivized credit policy to PLC, which is the instantiation of discursive PLC strategi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recent research on initiating and implementing PLC policy from the district office and to the scholarship of institutional entrepreneurship by demonstrating the its novel conceptual and strategic utility in the education sector.

      • KCI등재

        학교 혁신의 미시동원으로서 하늘별초의 전문적 학습 공동체: ‘교사 인문학 연구 동아리’ 사례 연구*

        정바울(Baul Chung),김용우(Yong woo Kim) 한국교육정치학회 2018 敎育政治學硏究 Vol.25 No.2

        Educators and scholars typically regar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s ways to improve instructional practices and localize curricular activities. This study instead shows how activist teachers actively deploy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s a micro-mobilization mechanism to seek a school innovation inspired by social movement approaches.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we found that under the strong urge for scaling up Innovative school policies by policy- makers principal-led innovative schools suffered the dilution of innovation. The drift of innovation led a seasoned activist teacher to appropriat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s a less disruptive way of pursuing a gradual but substantial school innovation over time. By showing how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rganized by an activist teachers plays a crucial driving force for school innovation, this study reveals a under-explored aspect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s a radical, although less confrontational, mechanism for educational change. 최근 전문적 학습 공동체 정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국내에서 전문적 학습 공 동체 접근은 수업 개선과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위한 활동으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 대안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문적 학습 공동체 접근이 학교 혁신을 위한 미시동원으 로 활용되는 사례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하늘별 초등학교는 전문적 학습 공동체가 기존 제도의 테두리 내에서 점진적이지만 교육 운동적 차원의 학교 혁신을 견인하는 동인으로 작동되는 현상을 탐색하기 위한 독특한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본 연구에서 는 사회운동이론의 미시동원 개념과 내생적 제도변화이론을 연구의 분석틀로 삼아, 질 적 사례 연구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미시동원의 전문적 학습 공동체 접근은 초기에는 교장 주도의 관료제적인 혁신학교 운영과 교육운동가 중심의 운동적인 접근사이에서 이항 대립적 양상을 보였으나, 점진적으로 양자가 이종결합 (hybrid) 형태로 진화하게 되면서 학교 혁신을 견인하는 핵심 동인으로 작동하는 역동 적인 과정을 보여주었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학교 혁신을 위한 미시동원으로서의 전 문적 학습 공동체 접근이 갖는 가능성과 한계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느슨한 결합의 재결합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질적 사례 연구

        정바울(Chung, Baul)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3

        본 연구에서는 한 혁신적인 초등학교의 변화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를 통해 느슨한 결합이 왜, 어떠한 과정을 통해 ‘재결합’되는 지에 대해 탐색적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 를 위한 이론적 분석틀은 느슨한 결합 이론, 특히 느슨한 결합이 재결합되는 과정에 주목한 최근의 연구들이었다. 연구 결과, 사례학교에서 느슨한 결합이 재결합되는 동인은 제도적 차 원(학교 구조와 거버넌스)의 혁신과 기술적 차원(수업 및 교수-학습)의 혁신 사이의 괴리를 극 복하려는 과정에서 자체적으로 출현하였고, 이 과정에서 조직 구성원 간에 첨예한 인지적, 감 정적 갈등이 빚어지기도 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주는 이론적 시사점으로, 느슨한 결합을 속성이 아닌 과정의 관점에서 재조명하려는 시도는 느슨한 결합 연구의 ‘거시 적 표류’ 경향을 극복하여 학교 조직 이론과의 ‘재결합’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그동안 간과되 어 왔던 행위자성(agency)에 주목함으로써 느슨한 결합 이론의 ‘미시적 토대’를 복원하는 데 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정책적 시사점과 관련해서는 최근 책무성 정책으로 대표 되는 새로운 교육 정책지형 하에서 느슨한 결합 현상은 문제시되기 쉽고, 그 대신 단단한 결 합(또는 재결합)을 위한 정책적 개입이 모색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느슨한 결합에 대한 종전의 이분법적이고 정태적인 접근을 탈피하여, 이를 보다 역동적인 과 정으로 바라보려는 시도와 함께 느슨한 결합과 단단한 결합을 효과적이고 균형 있게 통합하 기 위한 실천적 차원의 노력이 요청된다고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es of loose-coupling and recoupling in an innovative school in South Korea over time. Loose coupling has been widely studied over decades since the late 1970s. Yet little studies have examined how loose coupling unfolds over time, what triggers recoupling, what happens when recoupling occurs, and how does it unfold. In the school studied here, recoupling occurred in its process of attempting to reconcile the internal conflicts triggered by the asymmetry between the school’s successful change linked to the organizational restructuring and the stagnated progress linked to the technical core (curriculum and instruction). The findings also show that recoupling was fostered by its simultaneously coercive and seductive urges for the educators who try to substantiate the institutionalized myths by commensurating institutional and technical aspects of school change, and that in doing so it may inadvertently erode and constrain innovative practices by succumbing innovative educators to the normative practices of traditional schools. Given the changing landscapes of educational environment increasingly driven by accountability and performance measures, this study advances our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al theory and educational change by highlighting processes and conditions that affects loose coupling over time.

      • KCI등재
      • KCI등재

        교사양성교육의 (슬픈) 역사 재조명: 미국과 한국 교사양성기관의 제도적 변천 과정과 그 시사점을 중심으로

        정바울(Chung, Baul)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2 Global Creative Leader Vol.12 No.1

        본 논문의 목적은 미국과 한국의 교사교육 제도적 변천 과정을 초등교원양성에 주목하여 재조명하고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교사양성체제 개선을 위한 바람직한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역사사회학적, 사회사적 분석틀에 착안, 선택적 문헌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미국과 한국의 교사교육의 제도적 변천 과정을 추적하고 이를 Labaree(2020)의 ‘원칙에 입각한 양가성’을 견지하여 대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미국의 사범학교→교육대학→종합대학교로 대표되는 교사교육의 제도적 변천 과정은 비가역적이고 필연적인 진화 과정이라는 통념과는 달리 오히려 역사적인 우연에 더 가까웠다는 점, 그리고 이러한 변화과정을 통해 비록 교사교육기관의 제도적 지위는 상승(upgrading)했으나 교사양성과 교직은 주변화되었고 약화(downgrading)되었다는 점을 밝혔다. 한편, 표면적으로 우리도 미국과 유사하게 사범학교→교육대학(2년제)→교육대학교(4년제)으로의 선형적 진화 양상을 보이지만, 이는 교사교육의 전문화를 위한 체계적 노력의 결과였다기보다는 단기간에 압축적으로 추진된 임시적이고 급진적인 제도적 변위, 치환에 가까운 과정이었다. 또한 미국과는 달리 목적형 체제로 유지되어 종합대와의 ‘불편한 동거’로 인한 대학 내부에서의 교사교육의 주변화 경향은 우회할 수 있었으나, 사범학교, 2년제 교육대의 경로의존적 관성과 만성적인 유산을 효과적으로 단절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본 논문은 교사교육의 제도적 변천과정을 비가역적, 필연적 진화로 환원하려는 진부하고 편향된 관점에서 탈피하여 보다 균형있고 총체적인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종합대로의 통합 위주 초등교원 양성체제 개편 시도 속에 은폐된 정책 담론의 균열과 창조적 해체를 통해 개혁의 성급한 추진을 교란하여 보다 나은 정책 대안 마련을 위한 논의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interpretative essay, the author argues for a reconceptualization of the history of teacher preparation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teaching. Drawing on historical-sociological analysis on teacher preparation in the U.S. and S. Korea, the author reveals that the historial reality of teacher preparation is more complex and ambiguous rather than a sort of linear evolutionary development, which is irreversible march of progress towards professionalization. The author’s thesis is that researchers need to effectively disrupt the often ahistorical and uncritical ways the reformers often frame present-day challenges and problems within teacher education by engaging in historical methods and analysis in ways that better ground and contextualize them.

      • KCI등재

        학교 컨설팅 이론의 비판적 재조명을 위한 탐색적 연구

        정바울(Baul Chu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4 No.2

        최근 국내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도 교육개혁과 교육 거버넌스의 새로운 접근으로 컨설팅 또는 컨설팅과 유사한 형태의 다양한 접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정책 분석 연구, 비판적 경영 이론, 최근의 해외의 교육정책 맥락에서의 컨설팅 접근 관련 연구들에 대한 문헌 분석을 토대로, 국내 학교 컨설팅 이론과 실제를 비판적, 거시적 차원에서 탐색적 재조명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거시적, 비판적 정책 연구에서 제시된 컨설팅 관련 접근 가운데 다음의 세 가지 접근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현대적 거버넌스 체제 속에서 관료제와 컨설팅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컨설토크라시의 관점, 2)신자유주의적 교육개혁이 확산되는 맥락 하에서 컨설팅 접근과 민영화 사이의 관계에 주목하는 내생적 민영화 관점, 3)최근 경영 컨설팅 연구 동향 가운데 학교 컨설팅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여겨지는 대안적 관점으로서의 ‘컨설팅으로서의 경영’ 관점. 연구 결과, 컨설토크라시 접근은 학교 컨설팅이 컨설팅장학을 경유하게 되면서 관료제적으로 포섭된 측면이 있다는 기존의 분석들을 심화하는 데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내생적 민영화 접근은 공공 분야 개혁과 최근 해외의 신자유주의적 교육 정책하의 교육 및 학교 개선 서비스 사업 사례에서 컨설팅 접근 또는 유사 컨설팅 접근들이 민영화로의 이행 과정을 촉진하는 기능을 수행하듯, 한국의 학교 컨설팅도 자칫 본래의 의도와는 달리 시장적 접근이나 경영주의적 접근을 위한 문화적 차원의 재구조화에 복무하게 될 수 있다는 위험과 유혹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컨설팅으로서의 경영’ 관점은 컨설팅이 경영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확산되면서 컨설팅과 경영이 상호 수렴되어가는 현상에 대한 조명을 통해, 컨설토크라시나 민영화 접근과는 달리, 교육행정 또는 장학을 컨설팅의 관점으로 재전유(reappropriation)할 수 있는 보다 전향적 차원에서의 학교 컨설팅 접근에 대한 가능성을 실 사례를 통해 제시해 준다고 하였다. Over the past decade, there has been spectacular growth in educational consultancy and consulting business. The proliferation of consultancy business in educational policies merits probing the current state of the emerging field by focusing on the role and contributions of consultancy. Drawing on a cross disciplinary review of critical policy studies, critical management literature on consulting and consultancy, this theoretical paper identifies and proposes the following research avenues (1) the coexistence of the consultocracy and the resilient bureaucracy (2) consulting as an endogenous privatization or a progressive counter movement (3) the emergence of ‘consulting managers’ and the ‘consultancy management’ and its ramifications in the field of school consulting studies. This article identifies the potential of these conceptual frameworks and acknowledges there is a need for more attention to be given to the critical and political aspects of educational consultancy missing in the extant literature due to its consultant-centered approach.

      • KCI등재

        ‘확산없는 확산’ 또는 비(非)확산?

        정바울(Baul Chung),신철균(Chol-Kyun Shin)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3 Global Creative Leader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A교육청의 혁신 확산의 과정과 의미를 추적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 10명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Morel et al.(2019)이 제시한 다중적(polysemic), 역동적(dynamic) 확산 개념 분석틀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A교육청의 혁신 확산의 과정은 기존 주류 확산 이론의 가정과는 다르게 초기 확산을 성공적으로 달성한 이후 광범위한 후속 확산으로 이어지지 않고 오히려 확산이 정체되고 꺾이는 흥미로운 확산 궤적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A교육청의 독특한 혁신 확산 과정의 의미는 단순히 확산 또는 비확산의 이분법적으로 환원되지 않는 보다 다층적이고 역동적인 특징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Morel et al.(2019)의 주장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ce the peculiar process and meaning of scale of a district-wide reform initiative. Drawing on polysemic and dynamic perspective on the meaning of scale(Morel et al., 2019). we analyze the trajectories and shifting meaning of the scaling up processes of the district-wide reform initiative in the A School District over the past ten years, from 2010-2020. Findings from a qualitative case study demonstrate that in contrast to the common prevailing assumption of scaling up that a growing number of adopters will lea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future adopters, scaling up was dampened by the heterogeneity of organizations, politics and was suffered by the lack of conceptual clarity of scale. We argue that more studies that consider scaling up as a multi-dimensional entity and sheds light also on the post-adoption phases would require a longer timescale research design.

      • [발표] ‘1 + 1 = 2’’ 또는 그 이상 ? :「1수업 2교사제」 운영 사례 연구

        정바울(Baul Chung),김용우(Yong woo Kim)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한국교육행정학회 학술연구발표회논문집 Vol.2018 No.12

        Educators and scholars typically regard co-teaching as way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 education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instead shows co-teaching as a driver for incremental change.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we found that co-teaching led institutional change by overcoming the knowing doing gap to the grammar of school that there is a teacher in a classroom. But encountering the resistance from the existing teaching profession culture, the co-teaching has emerged between two teaching culture. After that, we found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homeroom teacher and assistant teacher. By showing how a co-teaching operated in a classroom, this study reveals a under-explored aspect of the co-teaching as a mechanism for educational chang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