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메탄 및 프로판의 촉매연소 특성에 관한 매개변수 연구

        정민승(Minseung Jung),이연화(Younhwa Lee),이지근(Jeekeun Lee),김만영(Man Young Kim) 대한기계학회 201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0 No.11

        The catalytic combustors have the advantage of stable combustion under very lean conditions with low emissions of NO<SUB>X</SUB>, CO and unburned hydrocarbon(UHC). A numerical study has been performed with the optimized kinetic parameter in order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methane and propane which are principal ingredients used in the catalytic combustion. The comparisons of the catalytic combustion characteristics between CH₄ and C₃H? are conducted according to operating conditions, including a excess air ratio, space velocity, inlet temperature and H2 addition.

      • KCI등재

        평생교육의 두 얼굴, 통치기술과 자기배려 : 푸코 이론의 적극적 전유를 위하여

        정민승(Jung, Minse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21 평생교육학연구 Vol.27 No.2

        평생교육학은 일상에서의 의미 생성 및 경합의 문제를 다루며, 이런 점에서 사회-권력 작용에 대한 관심을 가진다. 그러나 평생교육이 어떤 사회적 장치 속에서 어떤 효과를 낳는지에 대한 연구는 별로 없었다. 푸코는 평생에 걸쳐 권력과 지배가 개인에게 작동하는 방식과, 그 결과로 사람들이 스스로에 대해 가지고 있는 지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후기에는 ‘인간은 어떻게 권력에 맞서 자신을 돌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푸코의 이론을 평생교육학적으로 분석하고 동시에 평생교육의 담론을 푸코의 시각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권력-담론-지식의 복합적 관점을 평생교육연구에 도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신자유주의 통치성’으로서의 평생교육, ‘자기배려를 위한 일상적 쟁투’로서의 평생학습과 같은 모순적 특성은 평생교육 현장의 특성분석에 도입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푸코의 논의는 평생교육에서의 실천이 가지는 다양한 특성을 권력-담론-지식의 복합체의 차원에서 조명함으로써 교육학이 오랫동안 가지고 있던 ‘진공상태에서의 교육’이라는 관성을 넘어설 수 있게 해준다. Theory of lifelong learning deals with the problem of meaning generation and competition in everyday life, and in this regard, it is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socio-power. However, only a few researches have focused on the power and its effects of lifelong learning. Throughout his life, Foucault studied how power and domination works for individuals and the knowledge that people have about themselves. This study attempt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wer-knowledge operating at the base of the lifelong learning phenomenon by analyzing the lifelong education discourse that has become a domain since the 2000s. Through Foucault s perspective, contradictions of characteristics such as “neoliberal governance” vs. “expansion of daily self-care” were revealed as a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On the one hand, lifelong learning can become a new governmentality through self-discipline, and on the other hand, it enables emancipatory practices based on the perception of control and domination surrounding the individual. In addition, Foucault s discussion makes it possible to re-interpret the meaning of ‘knowledge’ in lifelong learning and it can change the relationship learners in the context of life-world struggles.

      • KCI등재

        인문교양학습자의 문화맥락 분석을 위한 시론

        정민승 ( Minseung Jung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5 교육인류학연구 Vol.18 No.4

        이 논문은 문화관련 개념가운데 ‘문화맥락’에 주목, 기존 논의를 분석하고 홀과 바흐찐 이론을 토대로 재개념화하여, 이 렌즈로 인문교양교육 성인학습자의 문화맥락을 분석한 시론적 연구이다. 문헌분석 및 문헌자료 2차분석을 토대로 하되 문헌으로 해소되지 않는 문제에 대해서는 인터뷰를 통해 탐색하였으며, 이를 통해 성인학습자의 문화맥락이 어떻게 학습의 과정을 통해 변화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문화맥락은 사회경제적/교육적 맥락을 해석하여 수용하는 틀 또는 이념으로, 다양한 사회적 힘들에 의해 절합되며, 학습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지속적으로 협상되는 특징을 갖는 것으로 규정되었고, 성인대상 인문교양교육을 학습자의 유형에 따라 구분한 후 분석한 결과, 노숙자와 전문직업인, 기타 일반인은 서로 다른 문화맥락 속에서 갈등과 협상의 과정을 거치면서 인문교양 학습을 진행시켜나간다고 정리할 수 있었다. 유형별로는, 노숙자의 경우 ‘개인 책임의 문화맥락’ 대(對) ‘사회 구조인식의 문화맥락’의 대립 속에서, 전문직업인은 자기 전문성에 대한 ‘개인숙련의 문화맥락’이 ‘지식경영적 문화맥락’으로 흡수되어 가는 방식 속에서, 기타 일반인 수강생의 경우에는 일상을 이루는 ‘소비주의적 문화맥락’이 인간의 존재론을 고민하는 ‘본질주의의 문화맥락’으로 분화되어 나아가는 과정으로 학습을 진행함을 알 수 있었다. ‘Cultural context’ has never been used as an academic term in comparison with the concept of ‘culture’ or ‘context’ in an academic discourse on ethnography. Anthropology of education deals with cultural context to find the peculiar feature of culture in each country, but not in relation to education. This study redefines the concept of ‘cultural context’ as a filter to guide people to think or translate their lives in the context of social structure. This filter is formulated from the sociological or economic background with ``articulation`` as Stuart Hall said, and changed by dialectic dialogue as Michael Bakhtin suggested. To reveal cultural context in the process of learning, I interviewed three adult students in Liberal Arts, and re-analyzed secondary data on adult learners. Three types of cultural context emerged from different liberal arts groups: cultural context of recognition of socio-structure (vs. individual) from a homeless group, cultural context of knowledge management (vs. personal mastery) from professional group, and cultural context of humanistic essentialism (vs. consumerism) group. From this result,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learning process is not only regarded as the internalization of external knowledge, but also considered as the conflicts and negotiations of various cultural contexts.

      • KCI등재

        평생학습의 지향성으로서의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 벨 훅스를 중심으로

        정민승(Minseung J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20 평생교육학연구 Vol.26 No.1

        평생교육학은 그 급속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학문적 정교함과 비판적 실천력 측면에서 한계를 노정해왔다. 이 연구는 평생교육학의 핵심어인 ‘평생학습’이 구체적인 행위를 지칭하는 용어가 아니라 하나의 ‘지향성’으로서 평생교육학의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 역할을 한다고 보고, 이론적 발전의 중간적 사례로서 벨 훅스의 이론을 설정한다. 페미니즘의 확장과 심화에 크게 기여한 벨 훅스는, 페미니스트 페다고지를 통하여 이론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저작의 실천적 의미를 명료히 드러내며, 실천적 교수론을 정교화하였다. 이 연구는 벨 훅스의 이론이 평생교육학적 탐구의 하나의 전형으로 조명되어야 하는 지점들을 밝히고, 그 평생교육학적 함의를 추출한다. Despite its rapid development, lifelong learning as a field of academy has been criticized in terms of theoretical sophistication and pedagogical adaptability. This study considers that lifelong learning could devote as an intentionality serving as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lifelong learning as a social movement. This study suggests bell hook s feminist theory as a theory-in-process for further development of lifelong learning. bell hooks, who has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and elaboration of feminism, shed light on lifelong learning in the prospective of redefinition of the status of ‘theory.’ She reveals the practical meaning of works of writing, elaborates the educational theory, and suggests learning communities starting from peripheral people’s self-love. hooks s theory focused on the minor scenes of oppression and domination, which could be a typical process of enlightenment and social movement. Her pedagogy, therefore, could be interpreted as an exemplary case of lifelong learning theory, encouraging constant transgression in life world. It illuminates the concepts of self-integrity, leaning community, self-directed learning in lifelong learning theory, and develops its pedagogical process.

      • KCI등재

        ‘학습동기’에서 ‘학습욕망’으로

        정민승(Jung, Minse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1

        일반적으로, 교육학이론에서는 학습자에게 강한 동기를 부여하는 것을 최적의 학습촉진 방법으로 꼽는다. 그러나, 학습자, 특히 성인학습자를 중심에 놓고 보면, 동기는 ‘부여’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생성’하는 것이며, 이런 점에서 학교교육중심적 동기이론은, 경험과 생활맥락이 다양한 성인학습자들이 ‘왜 학습하는가’, ‘어떤 동기를 가지고 학습하는가’의 문제에 답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를 갖는다. 동기이론의 이런 한계는, 근본적으로 ‘이성적이고 개별적이며 단계론적’인 인간을 전제로 삼는 인식론에서 비롯된다. 이 연구는, 교육에 대한 설득력있는 분석틀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인간관-인식론을 넘어서는 것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 하에, 정신분석학적 차원에서 학습자의 ‘욕망’에 대한 논의를 도입한다. 정신분석학은 현실의 비이성적이며 역동적이며 관계적인 인간의 측면을 조망하는 하나의 예시적 이론으로서,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교육학의 논의의 틀을 넘어서기 위해 평생교육담론이 어떻게 정신분석의 욕망 논의를 수용해야 하는지를 비판적으로 정리한다. Motivation theory is regarded as the core of educational theory, revealing inner factors of students which have influence on high achievement in schools. Several factors such as high self-esteem, positive perspective, goal-centered orientation are suggested to explain strong motive. Paradoxically, these factors are not only motives but also the aims of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results of education are explained as the presuppositions of strong motive. Motivation theory starts with the question why some learners strongly participate in educational institute, but ends with the descrip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motivated learners. However, nobody could be compelled to be motivated by teachers. It is complex and dynamic process to be a person of highly motivated. Adult learning theory reflecting learners' context tends to the alternative perspective of multiple-relational-interdependent self. Motivation could be transformed to 'objet a as cause of desire' in the psycho-pedagogy, which is a psychoanalytic approach of education.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reveals psycho-pedagogic approach as the cornerstone of profound reformation of traditional education theory. The concept of 'learning desire' and 'unconsciousness' could give a persuasive explanation of the reality and dynamics of learning which enlarges the horizon of educational discourses.

      • KCI등재

        ‘학습자 중심성’의 준거로서의 평등

        정민승(Minseung J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평생교육학연구 Vol.18 No.4

        교육에서 ‘학습자중심성’은 하나의 교육적 이상이다. 그러나 ‘이상’인만큼 학습자중심성의 외연은 넓은 것이기도 해서, 때로는 구성주의 교수법으로, 때로는 학습소비자에 대한 배려로, 또 때로는 교육기회의 제공으로 변주되어왔다. 그렇다면 평생교육에서의 학습자중심성은 어떻게 규정될 수 있는가. 비판적 사회이론가 랑시에르는 ‘학습자의 지적 평등’으로 이에 답한다. 이 연구는 학습자의 지적 평등에 기초한 랑시에르의 ‘보편적 가르침’ 개념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학습자 중심성의 급진적 논의를 정리한다. 이런 맥락 위에서, 평생교육론에서 제기되는 학습권이나 학습자중심의 교육은, 학습자의 이견 표현 등 감각의 재구성을 통해 학습자의 주체화를 이루어나가는 교육학적 평등임을 밝힌다. ‘Learner-centered education’ is an ideal-type of education. From Socrates to Dewey, most of the educational philosophers has emphasized learner centered education in different angles. Therefore, the connotation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has showed up as many kinds of practice such as ‘constructive teaching method’, ‘careful concern to learning consumer’ and ‘provision of learning opportunity.’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llectual equality’ is the essential presupposition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through the review of ‘universal teaching’ in Jacques Ranciere. He insists that intellectual equality between teachers and leaners should not be considered as the goal of education, but the unique prerequisite for education. It clarifies ‘learner-centered education’ in lifelong education as the right of learners and realization of ‘educational equality’ which is the process of subjectivation of learners by rearranging his/her sense gaining his/her own point.

      • KCI등재

        평생교육관계자 대상의 델파이 조사를 통한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의 설정 방향 연구

        권인탁(Kwon, In Tak),정민승(Jung, Minseung),김진화(Kim, Jin Hwa),신은경(Shin, Eun Kyoung),엄정화(Um, Jeonghwa),현영섭(Hyun, Youngsup) 한국평생교육학회 2022 평생교육학연구 Vol.28 No.1

        이 연구는 국가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수립을 위하여 반영될 수 있는 비전 및 주요 정책 과제들에 대한 탐색이다. 이를 위하여 30명의 평생교육관계자를 대상으로 1, 2차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평정된 항목들은 적합도를 산출하여 영역별 정책 내용으로 우선순위에 따라 제시하였다. 제시된 결과들은 국가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수립에 반영될 수 있는 비전 및 주요 정책 과제들로 유목화되었다. 비전은 “국민이 체감하는 보편적 평생학습”의 내용으로,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 과제들은 첫째, 긴 생애와 평생학습기본권, 둘째, 전환적 평생학습환경 조성, 셋째,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전환적 평생교육전달체계 구축, 넷째, 전 국민 평생학습 실천문화 확대와 활동적 시민성, 다섯째, 휴먼뉴딜기반 국민의 역량 강화와 고등평생교육, 여섯째, 지역평생교육의 혁신과 전환, 일곱째, 학교평생교육과 마을교육공동체의 정착 방안, 여덟째, 초시대 디지털 평생학습의 활성화, 아홉째, 평생교육사의 전문성과 실천성 강화 및 확대, 열째, 지구촌과 함께하는 K-평생학습(KLL) 등으로 제안되었다. This study is an exploration for the direction of a master plan for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In order to do so, the first and second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on 30 lifelong education stakeholders, and the evaluated item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priority level as policy contents for each area by goodness of fit test. The presented results were proposed by categorizing them as vision and major policy tasks that can be reflected in the establishment of a basic plan for promoting national lifelong education. Policy tasks to realize this are: first, long lifespan and lifelong learning basic rights, second, transformational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 building, third,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ransformational lifelong education delivery system expansion, fourth, expanding the culture of lifelong learning and active citizenship for all people, fifth, strengthening the competency of the people based on the Human New Deal and higher lifelong education, sixth, innovation and transformation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region, seventh, co-settlement of school lifelong education and village education community, eighth, revitalization of digital lifelong learning beyond era, ninth, strengthening and expanding lifelong educator s expertise and practice, tenth, and Korean Lifelong Learning(KLL) with the global world.

      • KCI등재
      • AHP 분석을 이용한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반의 부실 예측 평가 관리 시스템

        이상헌 ( Sangheon Lee ),예재윤 ( Jaeyun Ye ),정민승 ( Minseung Jung ),김재천 ( Jaechu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2 No.1

        본 논문은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부실예측 지원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자동화된 통합인증 및 접근제어 시스템으로서 각기 독립된 모듈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기초로 거래관리 모듈로 통합하여 부실예측을 평가하고 지원시스템의 데이터의 기법을 다른 모듈과 공유함으로써 자산의 부실채권을 이용한 회수를 관리하여 효율성을 높인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고객과 기업의 전략경영 등의 기능을 강화하여 업무투명성, 비용절감, 고객 접근성이 기존시스템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프레임워크를 적용함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성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개발된 표준 API를 적용함으로써 개발비용 및 기간의 단축시킬 수 있으며, 각 컨테이너(공 통모들 플러그인) 형태로 프레임워크를 설계함으로써 기능의 추가가 쉽고, 제사용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요구하는 웹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정부에서 제시하는 표준 프레임워크와 호환성을 제공한다.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사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의 조건

        정민승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0 평생학습사회 Vol.6 No.2

        평생교육사는 평생교육에서 중요한 영역으로 간주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평생교육 사는 아직까지 전문인으로 자리잡고 있지 못하다. 이론적 차원에서 보자면, 평생교육사 의 전문성에 관련된 논의는 기술적 전문성에 치중하면서 평생교육사 고유의 관점과 지 식에 입각한 전문성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연구의 대상을 ‘평생교육전문가’가 아니 라 ‘평생교육사 자격취득자’로 설정함으로써 실질적인 전문적 지식이나 비전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평생교육사의 전문직 정체성을 탐색하기 위해 현장에 관련된 논의를 정리 해보면, 평생교육사는 직업적 차원에서는 다양한 직무를 관통하여 평생교육사가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인지에 대한 본질적 정의조차 마련되지 못한 상황이며, 개인적 차원에서 는 평생교육에 대한 자기신념부재와 사회적 인식부재, 업무부담등으로 전문성을 확장할 수 없는 내외적 상황에 놓여있다. 이런 상황은 여러 전형가운데 사회운동분야의 평생교 육 전문가를 필요로 한다. 교육에 대한 대안적 개념에 기초한 교육운동적 신념 위에서 기존의 조직을 평생학습중심적으로 바꾸어가는 일이 중요해지기 때문이다. 평생교육사 의 한 전형으로서의 NGO 교육담당자는, 임파워먼트의 구현방식과 관련하여 현재의 평 생교육사에 대해 핵심적인 시사점을 던져준다. Adult education has not only contributed to the social progress through enlightening and improving people's thought, but also to the theory of education discovering the context of teaching and learning in everyday lives. However, adult educators are not regarded as professionals who have high standards of pedagogy. Although many adult educators contribute the world as active educational agencies, their professional quality is not recognized in general with weak training system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structure and barriers of adult educators' professional identity through the personal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To figure out the adult educators' professional quality,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experiences of educators of NGO through qualitative methods. In NGO, educators participate in transforming our society in organizing learning communities and making networks as well as inventing the new courses which could be the agenda of the local community. As activists, they formulate their identities as 'connectors' between movement and education. They not only research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movement and education, but also change the traditional definition of these two spheres in their practices. Education as a transmission of scholastic knowledge turns to facilitating and organizing learners’ lives. For improving their professional quality, they reflect their practices into the standards categorizedas "internalization of educational value" and "visions of civic education". They also criticize both their practices and the categories for the whole educational capacity of their field. This shows that many adult educators are improving unique professional quality in spite of being low in estimation of society. With theoretical implication, their efforts could contribute to widen and deepen the practices of adult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