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상상놀이에 관한 사례연구

        전효훈(Chon, Hyo Hoon) 한국육아지원학회 2018 육아지원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미술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상상놀이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그러한 유아들의 상상놀이에 미술활동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사례연구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에 위치한 시립 자연 어린이집 만 5세 자연반 유아 18명과 교사 1명이다. 연구결과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미술활동에서 나타나는 상상놀이는 허구적 상상놀이, 가족 상상놀이, 동물 상상놀이, 사물 상상놀이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들의 상상놀이에서 미술활동은 상상을 표현하는 수단, 상상을 공유하는 시간, 상상을 변화․확장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교육중심의 미술활동이 아닌 유아의 자발적인 놀이로 시작한 미술활동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type of the children’s imaginative play in the art activities during free-choice times well as to find out the meaning of the art activities in the children’s imaginative play. By employing case study analyzed 18 5-year-old children’s art activities and their teacher at Ja Yeon daycare center, which is located in Gyeonggi-do, South Korea. Data collected from March 13th to August 13th in 2015 and included 51 times of participating observations, seven tim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the teacher, informal interviews with the teacher and children, videotaping, audio recording, and documenting of the pictures of art work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imaginative play in art activities showed four categories including fabrication, family, animals and objects. Second, the art activities during children’s imaginative play are the vehicles of representing their imagination, sharing their dreams, and expanding their imagin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let children think about the value of art activity initiated by their voluntary play.

      • KCI등재

        조형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놀이양상과 교사의 반응에 관한 사례연구

        전효훈 ( Chon Hyo-hoon ),엄정애 ( Ohm Jung-a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4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들이 조형활동에서 나타나는 놀이와 이러한 놀이에 관한 교사의 반응을 사례연구방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 만 5세 구름반 유아 18명과 교사 1명이다. 연구결과, 조형활동에서 나타나는 구름반 유아들의 놀이는 ‘조형활동 그 자체를 놀이로 즐기기’, ‘조형활동을 변형해서 놀이로 즐기기’, ‘조형활동의 결과물을 활용하여 놀이로 즐기기’ 이상 세 가지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놀이에 대한 교사의 반응은 놀이양상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조형활동 그 자체를 놀이로 즐기기’에 대한 교사의 반응은 창의적인 표현으로 확장해주기 위해 다양한 자료들을 충분히 제공해주는 환경제공자와 관련한 반응, 결과물에 대한 관심과 격려의 반응을 보였다. 활동과정 중에는 관찰은 하지만 직접적인 개입은 조심스러워하였다. ‘조형활동을 변형해서 놀이로 즐기기’에 대한 교사의 반응은 당황하면서 고민하는 가운데 제한과 허용사이에서 갈등하지만 대체로 허용하는 반응이었다. ‘조형활동의 결과물을 활용하여 놀이로 즐기기’에 대한 교사의 반응은 유아가 계획한 놀이로 즐기는 양상에 대해서는 관심과 격려를 보이며 놀이로 확장시켜주기 위한 반응을 보였으며, 교사가 계획한 놀이로 즐기는 양상에 대해서는 놀이 계획자와 놀이 참여자의 역할을 보이는 등 놀이와 관련한 교사의 반응이 나타났다. This study is supposed to treat which aspects of play 5-year-old children show and how their teacher responds to them in the art activities with case study method.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18 members of children and their teacher. In order to collect these data, the contents of participating observation and interviews have been transcribed in the field notes after 51 times of participating observations, 7 tim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the teacher, informal interviews with the teacher and children, videotaping and documenting the pictures of art work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play in the art activities shows three categories of aspects such as enjoying an art activity itself, getting pleasure from the application of it and finding pleasure in the outcomes of it. Second, the teacher``s responses to the aspects of children``s play vary among their different play aspects in the art activities. The teacher``s responses to enjoying the art activity itself are a trial to play a role as an environment-giver providing children with enough data to expand into creative expressions, a concern and an encouragement for their products. In coming into play, he/she just observes them but abstains from intervening in, and lets them free leaving their play as it is. The teacher``s responses to getting pleasure from the application of the art activity are at first undergoing conflict; remaining confused by deciding if he/she would restrict or allow it, but, at last generally permitting it for the unlimited and creative art activity. The teacher``s responses to finding pleasure in the art activity products are both a concern and an encouragement for the aspect of play designed by a child to expand into play or to develop into social play and, meanwhile, roles as a planner, an attendant and so on for the aspect of play programmed by a teacher.

      • KCI등재

        패러디 그림책의 유형 분석

        서정숙 ( Jeong Sook Seo ),전효훈 ( Hyo Hoon Cho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3 No.3

        현대 포스트모던 시대에 패러디 그림책의 종류가 점차 늘어나고 있고, 유아교육 현장에서도 패러디 그림책의 사용이 늘고 있다. 이에 따라, 그림책의 적절한 선정 및 평가를 위한, 패러디 그림책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 대상 패러디 그림책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그것의 유형과 유형별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옛이야기를 패러디한 그림책 25권을 선정하였고 분석을 통해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패러디 그림책은 크게 원작과 같은 플롯으로 전개되는 유형과 원작과 다른 플롯으로 전개되는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원작과 같은 플롯의 그림책 유형은 인물이나 사건, 또는 시점에 변화를 주는 하위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그리고 원작과 다른 플롯으로 전개되는 유형은 원작 이후의 이야기로 이어지는 후속담 유형과 여러 개의 옛이야기가 짜깁기 된 결합 유형, 그리고 하나의 이야기 안에 다른 이야기가 펼쳐지는 복합 유형의 세 가지 하위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Parody picturebooks have become more diverse in the current postmodern era and also are used more frequently with young children. Accordingly, the analysis of parody picturebooks is needed for appropriate selection and evaluation of them. Motivated by this need, this research aims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parody picturebooks for revealing their typ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For this research, 25 picturebooks parodying fairy tales were selected and the following findings are made from the present investigation. The analyzed parody picturebooks are shown to be classified largely into two types: one type developing plots after the plots of original works and the other type not following the original plots but developing new plots. The former type is shown to be further divided into subtypes that vary characters, events and viewpoints.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type can be decomposed into the post-story subtype that develops stories after the ending of the original stories, the combinative subtype that combines stories of different fairy tales, and the complex subtype that develops another story within a story.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some discussions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are done and also subsequent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폭력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2000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오지영(Oh, Jiyoung),전효훈(Chon, Hyo Hoon)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9 교육과학연구 Vol.50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폭력에 대한 국내학술지 논문의 동향을 탐색하고 이후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2000년 이후 2018까지 발표된 국내 등재지 및 등재 후보 학술지 논문 중 폭력 관련 논문 112편을 선정해 발행연도,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에 따른 경향을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폭력에 대한 연구의 발행 시기별 경향은 2012년도까지 5편 미만으로 연구되어오다가 2013년부터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폭력에 대한 연구의 주제별 경향은 예방 및 개입에 대한 연구가 전체 연구의 과반을 차지했으며, 인식 및 실태, 원인 및 요인 순으로 이루어졌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폭력에 대한 연구의 대상별 경향은 단일 대상으로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문헌, 유아, 부모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폭력에 대한 연구의 방법별 경향은 양적 연구가 월등하게 많았으며 이어 문헌연구, 질적연구, 프로그램 개발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폭력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정책 수립에 필요한 연구를 제안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rends in Korean journals about viol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find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112 violence-related papers were selected from domestic journals published from 2000 to 2018, which were searched through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The trends were analyzed according to year, research theme,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less than five studies per year on viol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until 2013, when the number of studies per year began to increase. Second, research themes on viol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rended mostly toward prevention and intervention, followed by perception, status, and causes and factors. Third, most studies on viol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about teachers, while others were on literature, children, and parents, in that order. Fourth, most studies of viol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quantitative, followed by literature reviews, qualitative studies, and program development research.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the trends of research on viol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have been studied and suggests what studies are necessary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