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특별시교육청의 평생교육 차별화 및 재구조화 방안 연구

        전주성(Jun, JuSung),이경화(Lee, Kyung-Hwa),이가형(Lee, Gahyung),이희영(Lee, Heeyoung),양혜진(Yang, Hyejin),박송현(Park, Songhyun),박수진(Park, Soojin) 한국성인교육학회 2021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특별시교육청의 평생교육 차별화와 재구조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교육청의 평생교육 현황을 고찰하였으며, 평생교육 분야 전문가 17인 대상의 심층 인터뷰와 학부모 320명 대상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교육요구도를 조사를 수행하였다. 서울특별시교육청의 평생교육 차별화와 재구조화를 위한 방안으로 ‘FUN 서울평생교육’ 모형을 제시하였다. ‘FUN 서울평생교육’의 차별화 및 재구조화 방안의 핵심은 서울특별시교육청 내 각 부서에서 운영 중인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주제와 교육목적에 따라 재분류하여 ‘4대 특화학교(책 읽는 학교, 넘나들이 학교, 부모샘 학교, 어디서나 학교)’로 재구조화하고, 이를 통해 서울특별시교육청 평생교육을 단일화된 하나의 시스템으로 상호 지원하고 운영, 관리할 수 있도록 연계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FUN 서울평생교육’ 모형은 서울특별시교육청만의 평생교육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일조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plan for the differentiation and restructuring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the status of lifelong education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7 expert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and conducted surveys on the operation and educational need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320 parents. This study presented the ‘FUN Seoul Lifelong Education model as a way to differentiate and restructure lifelong education of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key to the differentiation and restructuring of ‘FUN Seoul Lifelong Education’ is to reclassify various lifelong education programs operated by each department in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theme and educational purpose and restructure them into four specialized schools (school for reading books, school over the fence, parents teacher schools, schools everywhere) and link them so that they can mutually support, operate and manage lifelong educ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s a single system. The ‘FUN Seoul Lifelong Education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help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establish its own lifelong education system.

      • KCI등재

        성인교육 프로그램 질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준거 연구

        전주성(JuSung Jun),오혁진(Hyuk-Jin Oh) 한국평생교육학회 2003 평생교육학연구 Vol.9 No.1

        학습자 존중은 성인교육분야에서 오랫동안 가장 강조해 온 기본 원리 중의 하나이다. 이는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의 경우에도 적용해야 할 보편적인 원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인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준거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성인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준거에 대해 교육이론가들의 이론적 추론이 아닌 실제 성인학습자들의 관점에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성인교육 프로그램 평가준거와 관련하여 1000여명의 성인학습자의 응답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EFA)과 확인적 요인분석(CFA)과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 여섯 개의 준거들, 즉 '프로그램 신뢰성', '프로그램 관련 사람들간의 사회적 긴밀성', '기관의 미적 감각', '학습을 위한 효과적 지원', '교수자의 교수 기술', '교육자원의 편리한 이용' 등의 준거들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준거들은 성인학습자의 관점에서 실증적으로 검증된 준거들로서 성인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raditionally, in the field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 learner-centered education has been considered as a very important principle. However, this principle has been understood not from the viewpoint of the adult leaner, but from that of the program provider (Oh, 2000). From this point of view, the adult learner is just a passive beneficiary (Brookfield, 1986). Nowadays, however, the meaning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needs to be understood from a different angle, namely, the learner perspective. Although many studies related to assessing program quality have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adult education, relatively little concern has been given to how adult learners actually evaluate program quality in the view of their persp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riteria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adult education programs in terms of adult learners persp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guided the research purpose: 1. Can individual criterion be reduced to a more parsimonious, conceptual framework through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2. Can the results of an EFA be tested through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Based on a purposive contrast sampling approach to ensure that the eighteen selected non-profit institutions for adult education in Seoul, Korea reflected diversity of both region and program for adult learners, a total 1,000 adult learners were chosen randomly from the directory, which represented approximately 8,000 adult learners from those who enrolled at the above eighteen non-profit institutions for adult education during the summer semester of 1999. Out of them, 778 respondents had returned usable surveys, yielding a final raw response rate of 77.8%. The survey consisted of 52 Likert-scale items to measure adult learners evaluation criteria for the quality of adult education programs and 3 demographic items of gender, age, and educational level completed for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respondents. The response format on the Likert-scale ranged from 1 (strongly disagree) to 5 (strongly agree). In order to identify the underlying constructs in the data set, we conducted Principal Axis Factoring analysis using SPSS 11 with two different rotations techniques of Varimax and Oblimin with delta = 0. We chose the Oblimin rotation with delta = 0 since it produced factors with the smallest number of crossloadings and the factors we suggested might be moderately correlated.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EFA) showed that there are six factors - program reliability, social integration, esthetic senses of institutions, effective support for learner-centered education, instructors teaching skill, and convenient use of educational resources - that have eigenvalues greater than 1.0. These six factors account for 51.760% of the total variance. In addition, to test the factor structure obtained from the EFA, we condu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CFA) with Satorra-Bentler scaled chi-square statistic with Maximum Likelihood method to evaluate model fit. This CFA model was estimated with LISREL 8.5 program. Model C, the most parsimonious model with 26 items, has a good model fit (Satorra-Bentler chi-square = 1276.59 with df = 284, p<.01, NNFI = .95, CFI = .%, and IFI =.96). Moreover, SRMR and RMSEA have .062 and .067 respectively, which can be considered reasonable. The above results reveal the six factors of program reliability, social integration, esthetic senses of institutions, effective support for learner-centered education, instructors teaching skill, and convenient use of educational resources could be useful evaluation criteria for the quality of adult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커리어 전환 준비도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전주성(JuSung Jun)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3 Global Creative Leader Vol.1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성인의 커리어 전환 준비도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커리어 전환 준비도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하위 요소를 선정하였다. 커리어 전환 준비도란 현재의 직업(일) 또는 커리어 경로를 떠나 다른 분야의 직업이나 업무 또는 커리어 경로(대학원 진학이나 전업주부, 봉사활동 등 무급의 일 포함)로 전환하는데 얼마나 준비되었는지를 의미한다. 커리어 전환 준비도의 하위요인은 커리어 정체성, 커리어 효능감, 정서적지지, 커리어 위험감수, 커리어 적응성 등 5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자료는 25세 이상의 성인 총 243명으로부터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Rasch 모델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연구자는 19개 문항, 5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커리어 전환 준비도 측정도구를 타당화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 성인들의 커리어 전환 준비도의 측정은 물론 더 나아가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성인들의 커리어 전환 증진을 위한 교육·훈련 등의 처방도 제시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career transition readiness of Korean adult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concept of career transition readiness was refined and sub-factors were selected. Career transition readiness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a person is prepared to leave his or her current occupation (work) or career path and transition to a different occupation, work, or career path (including unpaid work such as graduate school, being a stay-at-home mom, or volunteering). The five sub-factors of career transition readiness were career identity, career efficacy, emotional support, career risk-taking, and career adapt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243 adults aged 25 and over.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Rasch model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inally, the researcher validated the Career Transition Readiness Scale, which consists of 19 items and 5 sub-factors.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erms of measuring the career transition readiness of adults in Korea in the future, as well as providing prescriptions such as education and training to promote career transition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후보

        중ㆍ노년 여성의 삶 만족과 우울정서 간의 관계에서 평생교육 참여만족의 조절효과 분석

        전주성(Jun, JuSung),김태종(Kim, TaeJong)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3 역량개발학습연구 Vol.8 No.2

        우리 사회의 급속한 노령화는 노인들의 삶의 질과 관련하여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ㆍ노년 여성들이 인식하는 삶 만족과 우울정서간의 관계에서 평생교육 참여만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50세 이상의 중ㆍ노년 여성들로 한국마사회가 운영하는 플라자(문화센터)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수강자이다. 삶 만족, 우울정서, 평생교육 참여만족 정도를 측정하는 구조화된 연구도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응답내용이 부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596부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 중ㆍ노년 여성의 평생교육 참여만족은 삶에 대한 만족과 상호작용하여 우울정서를 완화시켜주는 방향으로 작용하였음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중ㆍ노년 여성의 삶 만족과 우울정서 간의 관계에서 평생교육 참여만족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on effect of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lifelong edu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596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who took part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of 11 learning centers built by the Korea Racing Authority.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oderation effect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 finding is as follows: There is the moderation effect of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lifelong edu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 KCI등재후보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활성화 사업 성과분석 연구

        전주성(Jun, JuSung),박상옥(Park, Sang-Ok),김소영(Kim, Soyoung),엄보현(Eom, Bohyeon)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0 역량개발학습연구 Vol.5 No.2

        이 연구에서는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활성화 사업 중 `학습비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이 사업의 2차년도인 2009년의 성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유현숙 외5인(2006)이 제시한 성과분석 준거인 `효과성`에 근거하여 참여 프로그램 관련 변인들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통해 학습비 지원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총 623명의 학습비 지원사업의 수혜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비 지원사업`은 지역사회 내 사회적 배제 집단에 고등교육 수준의 학습기회를 성공적으로 제공하였다. 둘째, 경력계획, 교육내용, 자신감, 교육시간, 프로그램활용, 강사 등이 참여자들이 인식하는 프로그램성과에 영향을 미쳤던 주요한 변인들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activation project of the centers for continuing education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iveness of the tuition fee support project conducted in 2009 that was one of the three projects comprised of the major project.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is study used Yoo et al. (2006)`s `effectiveness` criteria for the project performance evaluation.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623 adult learners who received the tuition fee support and took part in the program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wo samples t-tests,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is study has drawn two significant conclusions: First, the project of tuition fee support conducted in 2009 was successful in that the project provided quality learning opportunities for marginal groups in the community and the participants evaluated it fairly positively. Second, the participants perceived `career planning`, `educational contents`, `self-confidence`, `lesson time`, `program utilization`, and `instructor` were the major variables that influenced the program result.

      • KCI등재

        두려움과 좌절을 넘어서

        전주성(Jun, JuSung),최은혜(Choi, Eun-Hye) 한국평생교육학회 2010 평생교육학연구 Vol.16 No.2

        근래 성인학습 담론에서 정서에 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정서는 오랫동안 학습자의 인지활동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인식되어 왔지만 최근 들어 학습상황에서 학습자가 느끼는 정서가 학습에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 학습자들 이 입학시점 이후 졸업 즈음까지 겪는 그들의 학습과 관련된 정서적 경험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데 있다 연구자료는 이 연구에 참여한 서울 소재 Z 사이버대학의 성인학습자들 이 작성한 자 기성찰 글 (reflection paper) 이며, 질석 내용 분석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여 분 석되었다.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대학의 성인학습자들은 그들 이 참여한 온라인 학 습상황에서 학습과 서 로 영향을 주고받는 다양한 긍·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한다. 둘째, 성인학습자들 이 경험하는 정서는 사회문화적 맥락 하에서 온전히 이해될 수 있다 셋째, 성인학습자들이경험하는 정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변적이다 In recent years, the Issues of emotion have increasingly drawn the attention of scholars in the area of adul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motions that adult learners experienced at a cyber university in depth. Reflection papers written by the participants were collected primarily for the study. In addition to the papers, e-mails and SMS messages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were also gathered for supplementing the data. The researchers us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o analyze the data.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ree insights: (l) adult learners experienced a variety of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in online learning that affected their learning (or learning process) and vice versa, (2) the emotional experiences of adult learners need to be understood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3) the emotions that adult learners experienced were variable according to the learning situations and the flow of time.

      • KCI등재

        대학생의 대학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김영배(Youngbae Kim),전주성(JuSung Jun)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3 교육과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인구 급감과 COVID-19 시기 학업을 포기하고 대학을 떠나는 중도이탈 대학생 비율이 증가하는 우리나라 대학 위기의 상황에서 어떤 변인이 대학생의 대학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인 배경변인과 유의미한 학습경험, 자기주도학습, 협력학습, 교수-학생 상호작용, 효과적 수업인식,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우관계, 지원적 대학환경, 진로성숙도가 이들의 대학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서울 소재 사립대학 S대학의 ‘2022년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에 참여한 재학생 625명의 응답을 분석하였고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독립집단 t-test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MR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응답자의 배경변인 중에서는 1학년이 2학년보다, 수시 입학생이 정시 입학생보다, 특성화고 출신자가 일반고나 자율고 출신자보다 대학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변인 가운데서는 교우관계, 효과적 수업에 대한 인식, 진로성숙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지원적 대학환경 순으로 대학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이 만족감을 가지고 학업 및 대학생활에 전념할 수 있도록 대입 이전 경험에 입각한 지원방안 마련, 학내 교류활동 촉진 프로그램 강화, 다양한 멘토링 프로그램 강화 등 대학생의 대학몰입도 강화를 돕는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engagement in the context of the crisis in Korean universities. To achieve this, the study verifies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background variables, significant learning experiences, self-directed learning, collaborative learning, faculty-student interaction, perceived effective teaching, academic self-efficacy, friendships, supportive college environment, and career maturity affect their college engagement. The study analyzed the responses of 625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2022 Undergraduate Education Survey (K-NSSE)” conducted at S University, a private university in Seoul.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RA) were conducted to accomplish the research object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first-year students exhibited higher levels of engagement compared to second-year students, early admission students showed higher engagement than regular admission students, and students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demonstrated higher engagement compared to students from general or autonomous high schools. Based on the findings, the discussion focused on policy implications such as developing support measures based on pre-college admission experiences to enhance students' satisfaction and dedication to their studies and college life, strengthening programs that promote on-campus exchange activities, and enhancing various mentoring programs to foster greater college student engagement.

      • KCI등재

        대학생의 개인특성, 생애목표 및 그릿(Grit)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진권(Lee, Jin-Kwon),전주성(Jun, JuSung)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생애목표와 그릿, 개인특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 지역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상관계수 분석, 다중회귀 분석,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 두 독립집단 t-test 및 일원분산 분석(One-way ANOVA) 등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 관련 개인특성 변인과 생애목표, 그릿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생애목표 및 그릿 수준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이들의 진로준비행동 수준 역시 높았다. 셋째, 대학생이 자신의 취업과 관련하여 적극적인 행동을 취할수록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았다.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으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높이기 위해 대학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life goals, and gri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The sample included 210 college students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wo independent group t-test and one-way ANOVA. There were three major findings. Firs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employment, life goals, and grit affect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Second, the higher the life goal and grit level,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of the college students. Third, the more active a college student is in relation to his or her job, the higher their level of career preparation is likely to be. The results suggest that active support at the university level is needed to enhance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 KCI등재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교사의 협력적 학습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수희(Kim, Su-Hee),전주성(Jun, JuS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22 평생교육학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교사의 협력적 학습경험의 양태를 분석하고 협력적 학습경험이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교사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 연구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과 해석은 Creswell(2015)이 제시한 절차를 따랐다.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교사들의 협력적 학습경험은 협력적 탐구 패러다임(cooperative inquiry paradigm)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교사들은 동일한 목표의식과 사명감을 가지고 ‘교사 공동체’를 이루었다. 둘째,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교사들은 이타적인 마음과 공동체의식으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업무처리능력, 학생지도의 노하우, 교과목 지도방법을 공유하였다. 셋째,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교사들의 협력적 학습경험은 학교 안과 밖, 온라인상에서도 지속적으로 연결 및 확장된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사에게 필요한 업무를 신속하게 공유하고 즉각적으로 실천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s of teachers in an alternative school for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were interpreted. The meaning of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s that affect the lives of teachers in an alternative school for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is also interpreted. The methodology of narrative inquir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procedure of Creswell(2015). Based on the cooperative inquiry paradigm, the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s of teachers in an alternative school for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in an alternative school for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formed a teacher community with the same sense of goal and mission. Second, teachers in an alternative school for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shared their work processing skills, student guidance know-how, and subject guidance methods with altruistic minds and a sense of community. Third, the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 of teachers in an alternative school for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appeared to be continuously connected and expanded both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and online.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quickly share the tasks necessary for teachers and implement them immediately.

      • KCI등재후보

        국립대학교 교직원 역량모델 개발 및 교육요구도 분석

        박용호(Yong-Ho, Park),전주성(JuSung Jun),백종면(JongMyun Baik)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4 역량개발학습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국립대학 교직원의 직급별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요구도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역량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미국식 행동역량 모형의 관점에서 직무역량 개발의 방법 중 전문가 패널을 활용한 단축형 방법을 주된 방법으로 사용하였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McClelland의 직무역량 평가방법론을 차용하여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일련의 역량모델링 절차를 통해 사무국장급 11개, 과장급 13개, 계장급 11개의 역량으로 구성된 역량모델을 도출하였다. 이후 도출된 국립대학 교직원의 각 직급별(사무국장급, 과장급, 계장급) 역량모델에 포함된 각 역량을 기초로 다음 단계에서는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가 수행되었다. 직급별로는 사무국장 17명, 과장급 132명, 그리고 계장급 308명이 최종설문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급과 상관없이 도출된 공통역량과 사무국장급과 과장급에서만 확인이 되었던 일종의 관리역량(자원관리, 목표설정 및 관리, 직원동기부여, 코칭 및 피드백)과 과장급 및 계장급에서만 도출된 실무역량(업무혁신지향, 전문성 지향, 네트워킹), 그리고 해당직급에서만 도출되는 역량들(사무국장들에게 필요한 변화관리역량과 계장급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수집 및 관리역량 그리고 팀웍형성역량)은 구체적으로 각 직급에 있어 어떤 역량들이 필요한지를 잘 설명해 주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for national university employees and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competencies. This study uses the borrowed-and-tailored approach utilizing focus group panel to develop the tentative model. Also, this study uses McClelland’s method of job competency evaluation for supplementing the borrowed-and-tailored approach for developing the tentative model. This study developed the final competency model having 11 competencies for general manager, 13 competencies for manager, and 11 competencies for assistant manager through the series of steps. Based on the developed the competency model,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identifying the educational needs of each level – general manager, manager, and assistant manager – of national university employees. Respectively, 17 general manager, 132 manager, and 308 assistant manager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ere are some foundational competencies for all employees in national university. In addition, managerial competencies (resource management, setting and managing the goal, motivation, coaching and feedback) for general managers and managers, working-level competencies (orientation for innovation, orientation for professional, network) for manager and assistant manager, and level-specific competencies (change management for general manager, collecting and managing information and teamwork for assistant manager) were identified in the final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