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16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주재선(Jae-seon Joo),문유경(You-kyung Moon),김영란(Young-ran Kim),김영택(Young-taek Kim),전기택(Ki-Taek Jeon),송치선(Chi-seon Song),한진영(Jin-young Han),김근태(Keun-tae Kim),은기수(Ki-soo Eun),이진숙(Jin-sook Lee)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여성정책의 주요 이슈는 여성의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상호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나타남. 여성의 경제활동과 관련된 문제는 노동시장 관련 요인들뿐만이 아니라 가족구조, 가족 내 의사결정 구조 및 관계, 사회 및 문화적인 의식과 관습 등 노동시장 밖의 요인의 변화 등과 연관되어 다양하게 발생됨. □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이러한 여성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구축하기 위해 2006년부터 여성의 삶과 가족의 구조, 일자리 등의 변화실태를 파악하는 전국 규모의 패널조사인 ‘여성가족패널조사(KLoWF: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를 실시하고 있음. □ 여성가족패널조사는 2007년도에 전국 9,068가구 내 만 19세부터 64세 여성 9,997명을 표본으로 시작하여 2015년 5차 웨이브 조사를 완료함. 2016년 연구 목적은 첫째, 6차 웨이브 본 조사 실사와 패널 관리를 통해 여성가족패널을 구축하고 둘째, 1~5차 웨이브 조사를 활용한 종단적 분석과 여성가족정책분야에 대한 심층분석 연구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함. 셋째, 1~5차 웨이브 자료의 일반인 릴리즈와 학술대회(국내, 국제) 개최, 여성가족패널브리프 발간(년 2회), 패널포럼 개최 등을 통해 여성가족패널의 활용과 비교를 확산하고자 함. 2. 연구내용 및 방법 □ 첫째, 6차 웨이브 본 조사를 시작함. 6차 웨이브 조사는 9,606가구의 여성 적격가구원 12,285명과 6차 웨이브 조사 분가가구 및 분가가구의 적격가구원을 대상으로 조사함. □ 둘째, 1~5차 웨이브 본 조사 자료를 일반인 대상으로 공개함. 공개되는 패널 자료는 종단면 클리닝을 마친 자료로 주요 가공변수를 포함한 자료임. □ 셋째, 패널공개와 더불어 여성가족패널조사 학술대회를 개최함. 금년 학술대회는 여성관리자패널조사와 공동으로 개최하며, 국제학술대회를 겸하여 실시하여 여성가족패널조사의 연구 확산과 정책적 활용 방안을 모색함. □ 넷째, 1~5차 웨이브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종단분석과 심층연구를 실시함. 종단연구는 여성가족패널의 1~5차 웨이브 변화와 특성을 추적?분석하며, 심층연구는 최근 여성가족정책 분야 주요이슈를 여성가족패널 데이터에 기반하여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이끌어 냄. □ 다섯째, 패널의 피로도 증가 등으로 인해 원표본의 이탈이 높아짐에 따라, 표본의 대표성을 강화하고 향후 10년 조사를 대비하기 위해 패널 보완을 실시함. □ 여섯째, 일자리 설문지 구조를 개선하고 최근 이슈에 대해 부가조사 설문지를 개발하여 정책적 활용도를 높임. □ 마지막으로 국문 및 영문 홈페이지의 개선, 각종 지침서 영문화, 여성가족패널 브리프 발간, 여성가족패널 포럼 운영 등을 통해 여성가족패널의 이용자에게 다양한 정보와 편의성을 제공하고 연구자의 패널 분석 역량을 강화함. 3. 2016년도 연구추진 개요 □ 2016년 연구추진 현황 - 2016 여성가족패널조사 워크숍 개최 - 성과보고회 및 착수보고회 개최 - 5차 여성가족패널조사 데이터 클리닝 실시 - 여성가족패널 홈페이지 국?영문 홈페이지 리뉴얼 - 1, 2, 3, 4, 5차 여성가족패널 본조사 국?영문 데이터 일반인 릴리즈 - 패널포럼 개최 - 6차 여성가족패널조사 용역 공고 - 2016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중간보고회 개최 - 여성가족패널 브리프 발간 - 2016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패널조사 학술대회 개최 - 6차 웨이브 본조사 실시 - 여성가족패널의 심층분석 및 종단분석 실시 - 여성가족패널 데이터 활용도 제고를 위한 홍보 및 서비스 - 국문 및 영문 홈페이지 리뉴얼 및 운영 □ 6차 웨이브 조사 개관 ■ 6차 웨이브 조사 설문지 일부 개편 - 기존 조사와 연계성을 유지하면서 향후 10년 간의 조사를 고려하여 가족구조 변화와 여성의 지위변화를 포착할 수 있도록 개편함. - 또한 응답자뿐 아니라 패널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패널 구조를 수정보완 함. - 이에 일자리용 설문구조를 일자리 유형에 따라 공통문항과 일자리 유형별 문항으로 구분하여 재조정함. - 설문 내용 중 가족가치관, 혼자 사는 가구원, 출산 전후 본인 및 자녀 건강 등의 항목을 추가하고 일부 질문방식과 응답항을 수정하였음. - 또한 해외 패널과의 비교연구를 강화할 목적으로 안전의식과 여성에 대한 폭력 문항을 추가하고 부가조사로 지역안전의식 조사를 실시하게 됨. □ 조사대상과 추적원칙 - 조사대상: 6차 웨이브 조사대상은 5차 웨이브 조사의 대상이었던 9,606가구의 여성 적격가구원 12,285명과 6차 웨이브 조사 분가가구 및 분가가구의 적격가구원을 대상으로 조사함. - 추적원칙 · 첫째, 1차 웨이브 조사 당시 추출된 원가구의 대상 적격자를 모두 추적해 조사함. · 둘째, 1차 웨이브 조사 이후 가구에 진입한 신규적격가구원은 1차 원적격가 Issues in women’s economic activity are not simply related to internal factors of the labor market but they are also closely related to external factors of the labor market, including the structure of families, decision-making structure and relationships in the family, and social and cultural rituals and practices. For this reason, a database on the overall areas of women’s lives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form of a longitudinal survey, rather than a cross-section survey, to precisely identify the effects and characteristics of policies. The Korean Women s Development Institute has conducted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KLoWF), a nationwide panel survey, in order to investigate changes in women s lives, family structure and jobs since 2006. Although a database on the longitudinal survey of changes in women’s lives has been partially established in the existing panel surveys, including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most of these panel surveys failed to take into account characteristics of men and women or lacked cases of women. Therefore, they have limitations in meaningfully analyzing the sub-groups of women. Furthermore, as these surveys are not equipped with optimized survey tools for analyzing women’s lives, they have difficulties provid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women’s lives from multiple aspect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of existing longitudinal surveys, the KLoWF is designed to keep track of changes in major social issues of Korean society, ranging from low fertility to aging, child care, work and family reconciliation, and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Since its first wave survey, the KLoWF has produced a broad range of research results and played a role of providing rudimentary data required for establishing policies on women and families. Beginning with its first wave in 2007 to survey 9,997 women, ages between 19 and 64 years old, in 9,068 households across the nation, the KLoWF completed its second wave in 2008, third wave in 2010, fourth wave in 2012, and fifth wave in 2015. The 2016 research aims to further raise the utility of the data for policies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the attrition of the existing panel, the research improves the quality of the panel by conducting replacement or addition of the panel. Second, it conducts the six wave main survey (1st), performs longitudinal data cleaning and grants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weights on the existing first through fifth waves. Third, we released the results of the first through fifth wave data to the general public and held the fifth KLoWF academic symposium. The symposium proceeded a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anel by invit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perts and overseas panel scholars. Fourth, we conducted in-depth analysis and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first through fifth wave KLoWF data. Lastly, to public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LoWF, we implemented major projects, including publication of Women and Family Panel Brief (biannually), management of the home pages in Korean and English, and hosting of panel forums.

      •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성평등지수 관리 방안

        전기택(Ki-Taek Jeon)/ 문유경(You-kyung Moon)/ 주재선(Jae-Seon Joo)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9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9 No.19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gender equality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review the gender equality indices and the measures to manage the indices whose improving is required to strengthen national competitivenes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it analyzes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dices related with gender equality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which are used by many countries in checking their own situations and policy-making, and proposes the indices needing improving and the measures to manage those. First, the study reviewed main previous studies of domestic and foreign principally on the relations between gender equality and economic development. Second, it reviewed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gender equality indices released by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Korea's rank in the indices' levels, and the domestic and foreign actual states of managing the gender equality indices. Third, it analyzed the effects of GDI(Gender-related Development Index), GEM(Gender Empowerment Measure), and GGI(Global Gender Gap Index) on GCI(Global Competitiveness Index) of WEF empirically. Finally, it performed the simulation for improving the rank of Korea in GDI, GEM, GGI level. This study finds that GDI, GEM, and GGI have the positive effects on GCI. This means national competitiveness could be strengthened through realization of gender equality. Actually, many countries such as Denmark and New Zealand manage national gender equality policies to accord with the gender equality indices including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 three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s gender equality level. First, Korea's gender equality policies should be made formally with considering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gender equality indices. Second, the middle or long term goals for improving Korea's gender equality indices should be set up. Third, the efforts to improve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gender equality indices should be made through establishing the management system for the national gender equality indices. 1.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각종 국제기구에서 발표하는 성평등 및 국가경쟁력지수의 분석을 통해 성평등과 국가경쟁력의 관계를 밝히고, 향후 국가 성평등 수준 제고를 위해 개선이 요구되는 성평등지수와 그 관리방안을 검토하는 것임. 2. 연구내용 1) 이론적 논의: 국가경쟁력, 성평등지수 등 주요 개념을 살펴보고, 성평등과 경제 성장의 관계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함. 2) 국가경쟁력지수 분석: 주요 국가경쟁력지수의 체계를 검토하고, 한국 등 주요국가의 국가경쟁력 순위 등의 시계열적 추세를 분석함. 3) 성평등 관련 지수 분석: UNDP, OECD, WEF, Social Watch 등이 발표하는 성평등지수의 체계 및 성평등지수의 상호 연관성을 검토하고, 한국 등 주요 국가의 성평등지수 순위 등의 시계열적 추세를 분석하였다. 4) 성평등지수 관리 실태 검토: 국내의 성평등지수 관련 통계 현황, 성평등지수 관련 통계 생산 및 국제기구 보고 및 공표 실태를 살펴보고, 외국의 성평등지수 및 관련 통계 관리의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성평등지수 관리 방안을 도출함. 5) 성평등과 국가경쟁력 관계 분석: UNDP와 WEF가 발표하는 성평등지수와 글로벌경쟁력지수 자료를 중심으로 성평등이 국가경쟁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실증 분석을 실시하고, 우리나라의 여성권한척도 순위 개선을 위한 연도별 목표를 추정함. 6) 정책 방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성평등 수준 선진화를 위한 성평등지수 목표를 제시하고, 성평등지수 관리 방안을 제시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