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폭력피해경험, 자아존중감 및 회복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영은(Young-Eun Lee),장유나(Yoo-Na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8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B시, D시, G도 소재 3개 대학에 재학중인 간호학과 3, 4학년 216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4월 15일부터 5월 20일까지이었다. 자료분석방법은 IBM SPSS Statistic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검정, ANOVA, Pearson’s 상관계수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대상자의 언어적폭력과 우울정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261, p<.001), 신체적위협과 우울 정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291, p<.001)를 보였다. 또한,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회복탄력성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685, p<.001), 우울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590, p<.001)를 보였다. 대상자의 회복탄력성은 우울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612, p<.001)를 보였다. 대상자의 우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복탄력성(β=-.337, p<.001)이었고, 다음으로 자아존중감(β=-.279, p<.001), 신체적위협(β=.177, p=.004)순이었으며, 총 설명력은 51.5%(F=17.965, p<.001)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폭력피해 경험 중 신체적위협과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이 우울에 유의한 영향요인임이 규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 기초하여 간호대학생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는 중재프로그램의 개발 및 임상실습 중 폭력 예방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16 nursing students in college at P city, D city, and K province.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15 to May 21, 2018,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ith IBM SPSS Statistics 24.0.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verbal violence and depression(r=.261, p<.001), between physical threat and depression(r=.291, p<.001). Also,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r=.685, p<.001)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r=-.590, p<.001). Moreover, resilience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r=-.612, p<.001). In the hierarchical analysis, factors affecting the nursing students’ depression were resilience(β=-.337, p<.001), self-esteem(β=-.279, p<.001), physical threat(β=.177, p=.001). The variable that had the highest impact on depression was resilience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as 51.5%(F=17.965, p<.001).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depression are physical threat, self-esteem and resilience. Therefore, it suggests that an intervention program will be required to prevent violence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enhances self-esteem and improves resilience in order to reduce depression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효과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강윤경 ( Youn-kyung Kang ),장유나 ( Yoo-na Jang ),배상영 ( Sang-young Bae ),홍세희 ( Se-hee Ho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까지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일반화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021년 7월까지 발표된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로 총 35편이다. 연구 방법은 메타분석을 활용하였고,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와 학교급, 출판 형태,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의 분류와 종속변수, 출판연도, 연구 기간, 회기 수, 표본 수에 따른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0.800으로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둘째, 학교급별 효과크기는 고등학생 대상이 가장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출판 형태는 박사논문이,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의 분류와 종속변수 중 인지적 영역에서는 활용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정의적 영역에서는 태도가 효과적이었으며, 인지적 영역이 정의적 영역보다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출판연도는 최근일수록, 연구 기간과 회기 수는 클수록, 표본 수는 작을수록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최근까지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의 국내 연구들을 종합하고 그 효과를 메타분석하여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의 설계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효과적인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추후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and generalize the eff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education programs up to recentl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35 domestic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on effects of AI education programs published until July 2021. Meta-analysis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and the effect size of the AI education program along with school level, publication type, classification of AI programs, dependent variables, publication year, research period, number of sessions, and number of samples were report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AI education program was 0.800, indicating a large effect size. Second, the effect size by school level was found to be the largest for high school students. Doctoral thesis had a larger effect sizes than other publications. Moreover, the utilization in cognitive domain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In the affective domain, the attitude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The effect size of the cognitive domain was larger than the effect size of affective domain. The effect size was larger with recent publication year, longer the study period, more the number of sessions, and smaller the number of samples we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when designing the effects of AI education programs by providing the result of meta-analysis of studies and give ideas for further studie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