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러티브 비평으로 본 바로의 민족말살정책 - 출 1:1-14을 중심으로

        장석정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5 Canon&Culture Vol.9 No.1

        이 연구는 출애굽기 1장에 나오는 바로의 조치들 중에서 첫째 조치의 목적을 내러티브 비평방법에 따라 분석하여 각 절의 상호관계를 밝히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스라엘의 급격한 인구증가는 궁극적으로 이집트 왕에게 큰 걱정거리를 가져다 주었으며, 이런 걱정으로 인해서 이스라엘 자손은 노예로서 고역에 시달리는 신세가 된다. 그렇지만 이런 강제노역은 당장 생길 수도 있는 적군의 침입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방법이 될 수 없다는 것을 본문의 분석결과 알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바로의 이스라엘 자손에 대한 강제노역 조치는 출애굽기 2장에 나오는 모세의 탄생 이야기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는 것이 이 연구결과 분명해졌다. 왜냐하면 바로의 강제노역 조치는 남자만을 죽이려는 의도가 없으며, 이를 통해서 전쟁에 나설 수 있는 성인남자들을 급격하게 줄일 수 있는 조치도 아니기 때문이다. 출애굽기 1:1-14의 본문에 나타난 바로의 인구정책은 갑자기 늘어난 이스라엘 자손의 인구와 그들의 강함에 대한 대응조치였으며, 이스라엘을 구원할 영웅의 탄생을 기록한 2장의 내용과의 연관관계를 우선적으로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출애굽기 1장 15절부터 기록된 산파들을 통한 인구 억제 정책에서야 비로소 모세의 탄생 이야기와의 직접적인 연관성이 발견된다는 것을 이 연구는 보여준다. 바로의 걱정을 통해서 또한 이스라엘 자손의 출애굽 사건이 역사적 사실로 성취될 시간이 다가 왔다는 것을 성서본문은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lausible purpose of Pharaoh’s first measure in Exodus 1:1-14 by using narrative criticism. The fact that each verse does not seem to match one another needs to be explain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flow of the whole narrative. The logical explanation would be preferable because the biblical writer must have worked with such a coherent stream of mind. The mention of Joseph in v. 5b is to relate the death of Joseph and all of his generation in v. 6. It also makes a reasonable connection with the rise of the new Egyptian king who does not Joseph in v. 8. Furthermore, the mention of the number 70 in v. 5a seems to contrast the population increase of the Israelites depicted in v. 7. The name Joseph makes the whole narrative of vv. 1-14 in one complete story in the first place. The new situation develops in terms of Israel’s tremendous increase of population and becoming strong. When the Pharaoh recognizes this situation he concerns with two things: the Israelites' joining with enemy in the time of war and eventually going out of the land of Egypt. The hypothesized war in the mind of the king and possibility of Israel’s going out of the land are very difficult to explain. However, going out of the land foreshadows the event of Exodus. The writer makes the king say this as the upcoming event of Exodus. The king’s measures of the forced labor could make the Israelites so tired that they could not fight against Egypt at the time of war. It could also prevent them from going out of the land because of lack of motivation. Then the king keeps those Israelites’ labor force and utilizes them to construct the store cities and other buildings. The birth of Moses is not connected with the kings’ first measures because this measures is not to kill the infants but the grownups. Also the forced labor can kill both men and women at the work places. The tradition of the slavery with forced labor in 1:1-14 is not related to the tradition of Moses’s birth. Only the second and third measures are definitely connected with Moses’ birth.

      • 재현과 표현

        장석정 관동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學硏究 Vol.19 No.-

        ‘재현(representation)"과 ’표현(expression)"은 예술 철학에서 예술을 정의하는 데 오랫동안 사용되어왔던 핵심 개념들이다. 예술 재현론은 예술사에서 가장 먼저 등장했던 예술 이론으로서 모방론, 유사론, 환영론, 규약주의, 신자연주의 이론 등과 같은 유형이 있다. 그러나 예술 재현론은 19세기와 20 세기에 등장한 비재현적 예술 이론들로 말미암아 그 설명력을 상실하였다. 예컨대 예술 재현론은 재현에서 벗어난 추상 미술, 입체파, 독일 표현주의, 미니멀리즘 등과 같은 현대의 많은 예술 사조들을 설명해 주지 못한다. 예술 표현론에서는 예술의 본질이 예술가의 정서 표현에 있다고 본다. 표현론의 유형으로는 전달 이론과 단독 표현 이론과 같은 것이 있다. 그러나 많은 예술이 표현적 기능을 수행한다고 할지라도, 모든 예술이 정서를 표현하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예술 표현론도 20세기에 등장한 많은 예술 장르, 예컨대 개념 미술, 관념 미술, 집단미 기법, 펑크 아트, 비트시와 같은 예술 장르들의 성격을 설명해주지 못한다. 이 글은 재현론과 표현론의 한계를 밝히는 것에만 국한되고, 예술 정의에 동원되는 또 다른 개념들에 대한 논의는 차후에 이루어질 것이다. In the philosophy of art, representation is taken to be essential feature of art. Four traditional theories of pictural representation are the resemblance theory, the illusion theory, the conventionalist theory and neo-naturalist theory. However, the development of art in nonrepresentational art i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y rendered the representational theory of art obsolete. Art history shows us that representation theory is too exclusive. It confronts too many exceptions. It fails to count as art everything that we regard as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art. The main idea of expression theories is that all art is expressive of emotion. The transmission theory and the solo expression theory are two of the leading versions of expression approach. Both theories see art as essentially involved with the expression of emotion. Through much art is expressive, it is not the case that all art is expressive of emotion. A great deal of twentieth century art is preoccupied with ideas, rather than emotions. And a great deal of art, past and present, is aimed at provoking perceptual pleasure, rather than exploring emotional possibilities. Thus expression theories of art fails as universal theories of all art.

      • KCI등재

        동조액체기둥감쇠기의 동적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가변전압측정 시스템 개발

        장석정,김준희,민경원,Jang, Seok-Jung,Kim, Jun-Hee,Min, Kyung-Won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5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8 No.3

        본 연구에서는 동조액체기둥감쇠기의 비선형감쇠항을 등가점성감쇠항으로 치환한 등가선형 동조액체기둥감쇠기 모델을 유도하였으며 동조액체기둥감쇠기의 동적거동인 고유진동수와 감쇠비를 이론적으로 파악하였다. 동조액체기둥감쇠기에 일정한 전기장을 형성한 후 동조액체기둥감쇠기의 수직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가변전압을 측정하여 수조 내부의 수위로 변환하는 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동조액체기둥감쇠기의 수위측정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고가의 전기 용량식 파고계와 비교 및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위측정 시스템을 동조액체기둥감쇠기에 적용, 진동대 실험을 실시하여 고유진동수와 감쇠비를 파악하였고, 이론상의 고유진동수와 실험상의 고유진동수가 일치하였음을 확인하였으며, 진동수비 변화에 따른 동조액체기둥감쇠기의 감쇠비 변화를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vertical motion of a Tuned Liquid Column Damper(TLCD) is measured by a variable voltage measurement system in the electric field and design parameters of the TLCD are determined. First, nonlinear damping term of the TLCD is replaced as the equivalent viscous damping term. The natural frequency and damping ratio of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TLCD are verified. In addition, a novel liquid level measurement system is developed for measuring vertical motion of the TLCD. For the experimental achievement, experimental characterizations of natural frequency and damping ratio of the TLCD are undertaken utilizing the developed variable voltage sensing. Also, shake table testing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TLCD. As a result,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liquid level measurement system is verified by comparison with the capacitive type wavemeter.

      • KCI등재

        다윗과 골리앗 이야기 다시 보기 - 개념성(Conceptuality)을 중심으로 -

        장석정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22 신학논단 Vol.109 No.-

        In this study, I have discussed the main concepts by analyzing 1 Samuel 17 where the story of David and Goliath, is recorded. Problems in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s of the passage that has used the unique concept of YHWH’s omnipotence and his being with David allows me to review how other elements play crucial roles in the story of David and Goliath. Ultimately David has all the disadvantages in the world and was chosen to fight against the giant warrior Goliath. This study shows the plausible reasons why David was selected and how the story flows as it is now by using ‘conceptuality criticism’. According to my study, there are four main themes in the story of David and Goliath: 1) physical superiority and weapons, 2) weight and speed, 3) age, and 4) YHWH’s omnipotence. Among these four themes, “physical superiority and weapons” and “age” are disadvantageous to David. However, the themes, “weight and speed” and “YHWH’s omnipotence” seem advantageous to him. Therefore, one could say that 1) & 3) are traditionally used for David's unfavorable conditions. However, the “speed” in 2) is the crucial theme, conceptuality, that controls the whole episode of David and Goliath. Because of Goliath's heavy weapons and his gigantic physical appearance, he could not move fast enough to catch David in the one-to-one battle. This concept of ‘speed’ was David’s ultimate ability to win over Goliath and became the other key element in his victory with YHWH’s omnipotence. Although David lacks power and combat experience, his fast movement enables him to defeat the giant warrior Goliath. What teaches us is that Israel and her neighboring countries should have the personal ability with the help of YHWH’s authority. The historical and societal situation in which the author/redactor lived, could be revealed through the story of David and Goliath. The author wrote David and Goliath story in order to show that Israel should not only rely on YHWH’s omnipotence but also has personal ability in order to defeat her enemy and live independent lives. The author uses the conceptuality of ‘speed’ and shows this to the available readers of his time. 본 논문에서는 골리앗 이야기가 기록된 삼상 17장의 본문에 나타난 핵심 개념들과 ‘개념성’에 관해서 논의를 했다. 기존의 ‘여호와의 권능’이라는 독보적인 개념을 통한 본문 이해를 염두에 두면서, 본문에 나타난 핵심적인 개념들이 어떻게 이 골리앗 이야기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윗의 골리앗에 대한 ‘승리’라는 결과만을 놓고 ‘여호와의 권능’을 일률적으로 대입하는 기존의 해석들과는 달리, 이 ‘승리’까지의 과정속에서결국 ‘속도’라는 ‘개념성’을 사용해서 최종적으로 골리앗을 물리친 본문 속에서 ‘여호와의 권능’은 막연한 개념이 아니라, 현실 속에서 구체화되어나타나고 있음을 본 연구는 보여주었다. 성서기자는 다윗과 골리앗 이야기를 통해서 당시의 이스라엘 백성은물론이고, 주변에 거주하는 이방 사람들에게 여호와라는 신의 전능하심을 알림과 동시에 인간적인 능력(무게의 최소화로 생긴 속도, 양치기로준비된 속도)도 갖추고 있어야 비로소 그들에게 허락된 여호와의 전능하심이 ‘최종적인 축복’의 결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골리앗 이야기는 어린 소년 다윗이 아무런 준비도 없이 ‘여호와의 전능’하심에만 힘입어서 거인 골리앗을 물리치는 기적적인 이야기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여호와의 전능’하심이 함께 해야 하는 것은 필수적이고, 여기에다가 인간적인 능력도 겸비하고 있어야 전쟁에서 최후의 승리를 얻을 수 있음을 사사기 저자는 ‘속도’라는 ‘개념성’(Conceptuality)을 통해서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 출애굽기 1-2장의 여성들

        장석정 이화여자대학교여성신학연구소 2003 여성신학논집 Vol.3 No.-

        구약성서를 연구한다는 것은 낯선 세계를 경험하는 것과 같다. 우선 지리적으로 우리나라와는 너무도 멀리 떨어진 근동 지역에서 살았던 사람들의 이야기라는 사실이 그렇다. 동시에 우리나라 사람들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이스라엘 민족의 이야기라는 것이 더욱더 우리를 낯설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기독교인들이 구약성서를 연구하는 것은 그것이 하나님의 말씀인 기독교 정경(Canon) 안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보다 정확하게 말한다면, 기독교인들이 구약성서를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였고, 구약성서의 말씀이 그 옛날 이스라엘 백성들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오늘날 21세기를 사는 우리들 모두에 관한 이야기가 되어야 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만약 이 구약성서의 말씀이 나 자신과 관계가 없는, 이스라엘 백성들만의 신앙고백이라면, 우리는 그저 취미로 이스라엘 사람들의 신앙고백을 읽고 있는 것이 된다. 참고자료로 이스라엘의 역사를 배우고 그들의 신앙생활의 모습을 소개받는 꼴이 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일반적인 세계사의 한 토막을 배우고 그런 지식을 쌓기 위해서 구약성서를 읽는 것이라는 말이 된다. 그러나 우리는 그렇게 구약성서를 간주하거나 읽고 있지는 않다. 오히려 우리는 구약성서를 이스라엘만이 주인공이고, 그들만이 직접적으로 관련된 기록으로 보지 않고, 바로 우리들의 이야기로 읽고 또한 믿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구약성서를 연구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굳이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구약학을 전공할 필요도 없으며, 히브리어가 모국어인 이스라엘 사람들이 도맡아서 연구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비록 히브리어가 모국어가 아니기 때문에 그 언어를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한다고 해도 우리들이 구약성서를 연구하는 것은 우리 기독교인들은 이 구약성서 말씀도 하나님께서 우리들에게 주신 말씀이라고 믿기 때문이며, 이것은 과거에 어느 한 시점에 일회적으로 적용되는 말씀이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각 세대들에게 서로 다른 모습으로 전해지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각 세대는 이 구약성서를 그 세대의 상황에 맞게 새롭게 해석해야 하는 과제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과제를 감당하기 위해서 필자는 구약성서 본문에 대한 여성신학적 해석을 시도해 보려고 한다. 물론 많은 여성 신학자들이 이미 이러한 시도들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구약성서를 전공하는 필자로서, 남성으로서, 진정으로 성서본문이 말하고 있는 여성상을 재정립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이 논문을 준비하였다. 필자는 이 논문이 그저 하나의 참고자료로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구약성서의 해석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을 편가르거나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 해석을 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데 조그마한 도움이라도 줄 수 있게되기를 바란다. 성서는 남성과 여성을 동등한 동반자로서 이해하고 있으며, 이것이 여성신학적 연구로 인해 더욱 드러나기를 간절히 기대한다.

      • KCI등재

        메뚜기 재앙(출 10:3-20) 이해

        장석정 한국구약학회 2012 구약논단 Vol.18 No.2

        Why do we have the account on the plague of locusts? In what sense the swarm of locusts becomes the plague at the time of Exodus?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narrative of the eighth plague, the plague of locusts in Exodus 10:3-20. The usage of the words denoting ‘the land’ indicates that the main target of the plague is directed to the land itself, not the plants on the land. The locusts made the land of Egypt desolate and barren, so that the people of Egypt and Israel could not live there. Especially many locusts made the land dark and covered the ‘eye of the land’. This resulted in the consequence that the Egyptians could not see the land at all. Also instead of the expression such as ‘the plants’, the author uses the phrase ‘the plants in the land’ in the text in order to indicate that the focus of the text is ‘the land’. When Moses prayed, those locusts were removed. The text maintains that “not a single locust remained in all the land of Egypt”. To the author the purpose of the plague is the complete destruction of the locusts, especially from the land of Egypt. Many thought that the real victims of this plague were the plants and trees. However, a close analysis of the narrative of the plague shows that there is only one victim, that is, the land of Egypt. This land became desolate and the locusts did make it happen. Of course, the plants and trees were needed because the locusts wanted something to consume. But eventually the locusts were those which made the land of Egypt uninhabitable. Thus, the plague of the locusts was “the plague fallen upon the land”. 이 논문은 출애굽기에 기록된 열 가지 재앙들 가운데, 여덟 번째 재앙인 메뚜기 재앙(출 10:3-20)에 대한 분석적 연구로 이 재앙에 대한 기존의 이해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려는 시도이다. 저자는 이 논문에서 각 절마다 나타나는 ‘땅’에 대한 연관성과 이미지들은 이 재앙의 ‘땅’과의 연관성을 더욱 강조해 주는 것을 밝힌다. 또한 ‘땅’이라고 번역될 수 있는 명사들과, 동사들의 사용빈도를 분석하여, 메뚜기 재앙은 ‘땅에 내린 재앙’임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뱀의 이적 재고

        장석정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3 신학사상 Vol.0 No.121

        The miracle story of a serpent is more than a merely marvelous work of God and requires thrological interpretations. The miracle of a serpent that Moses experienced before in Exodus 4, is very similar to tje one here in Exdous 7. In this paper the author has tried not to focus exclusively on the serpent in the miracle story, that has been the case up until now, and focused the staff itself which was used by Moses and Aaron. This paper shows that the staff has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the following 10 plagues. Also the paper criticizes the tendency that regards a serpent as the symbol of gods giving the power for the question, "who could do this miracle of a serpent?" Therefore, the magicians of Egypt tried to make more serpent with their staffs in order to prove that it was not the work of a god, but the work of men. The text in Exdous 7:8-13 reveals that the more important issye is not what kind of a living being was produced, but who did this miraculous work through the image of a serpent.

      • KCI등재후보

        땅과 이스라엘

        장석정 한국대학선교학회 2012 대학과 선교 Vol.23 No.-

        출애굽 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하나님은 엄중한 경고의 말씀을선포하셨다. 본 연구는 여러 가지의 경고본문들 가운데서 ‘땅’이라는개념이이스라엘백성들과의관계성속에서어떻게이해되고있는지를보여 주는 시도라고 하겠다. 그 본문들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약속의땅에 들어가서 여호와만을 섬기지 않고 우상들을 섬기면, 그 땅에서멸절되거나, 쫓겨나서 포로로 잡혀가게 된다는 경고의 말씀들이었다. 물론이렇게포로가된이스라엘이, 약속의땅으로돌아오게될것이라는회복의 내용도 나온다. 이스라엘이 멸절될 가능성을 담고 있는 경고본문들은 ‘땅’ 개념이 이스라엘을 그 땅에서 살아가는 하나의 민족에불과하도록 만들 수 있는 우선성(priority)을 가진 개념으로 강조되고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 준다. 이 경고의 본문들을 분석함으로써,‘땅’의개념이이스라엘보다우선성(priority)이갖고있는것으로나타나는 경우와 ‘땅’과 이스라엘이 공동운명체로 나타나는 경우를 구별할수 있다는 것을 이 연구는 보여주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lected texts where the warnings against Israel's idolatry are pronounced in Leviticus and Deuteronomy. Israel was supposed to worship YHWH only when they entered the promised land as she made a covenant with YHWH. If Israel worshipped other gods whom the Canaanites served in the land, in some cases she should be punished with total and quick annihilation in the land and with the exile from the land. Therefore, I divide the warning texts into two categories. First, there are warning texts where only Israel's total destruction in the land was announced. Second,some warning texts indicate that Israel would be exiled from the land and/or could be returned to the land. The texts in these two categories are analyzed and compared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nd and Israel. Lev. 18 says that the land will vomit Israel out as it vomited out the nation that was before Israel. The concept of the land plays the main role here because it can vomit Israel out and Israel will be one of those nations who lived in it. The priority of the land over Israel reveals in Lev. 18. Several warning texts in Deuteronomy also show this kind of the land's priority. According to Deut 68and 11, Israel is warned with total destruction in the land if they follow other gods when they enter the promised land. Of course, this warning has never been realized in history but it was a possibility that could have been realized. Once Israel was destroyed in the land,the land would remain alone. Some other nations could have immigrated to live in the land. The concept of the land controls its residents. On the other hand, Deut 4 and 28 announce that Israel would be destroyed and exiled to the foreign nations. They also indicate the possibility of Israel's return to the land. In this case, the land would remain as it is and wait for Israel's return. Israel is the only nation who can reside in the land. The concept of the land and Israel interrelated each other. The priority of the land over Israel is not plausible in these warning tex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