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극장 뮤지컬 포스터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비교연구

        임찬묵(Lim, Chanmook)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최근 2년간 대극장에서 공연된 뮤지컬의 포스터 디자인을 분석하여 한국의 시장 상황에 맞는 뮤지컬 마케팅의 방향을 찾고자 한다. 뮤지컬시장은 현재 2000억 원 규모로 공연시장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다. 작품마다 문화상품으로서 시장경쟁력을 찾기 위해 현업과 학계에서 계속되고 있다. 뮤지컬 마케팅에 관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전통적인 마케팅믹스 요소인 7P(product, place, promotion, price, people, physical evidence, process)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promotion요소인 홍보 개념과 마케팅 개념을 크게 구분하지 않는 한국 뮤지컬 시장 현실에 바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소비자들의 기호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뮤지컬 구매 행위를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경영 관점에서 뮤지컬 소비자의 기호에 맞춰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마케팅 방법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요소의 집합체인 포스터를 분석한다. 일정 규모 이상의 제작비를 가지고 다양한 마케팅 방법을 동원하고 있는 대극장 뮤지컬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제작 방식에 따라 오리지널 뮤지컬, 라이선스 뮤지컬, 창작 뮤지컬로 분류하여 각기 다른 특징을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뮤지컬 시장이 해외 유명 뮤지컬의 오리지널 공연이나 레플리카 라이선스 공연 중심에서 조금씩 탈피하면서 마케팅에서도 새로운 움직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해외 작품을 들여올 때 한국 시장에 맞게 변형하는 논레플리카 라이선스 공연이 늘어나고, 창작 뮤지컬도 조금씩 성장함에 따라 제작자들이 작품의 자체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가지려는 노력이 확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만들고 유지하려는 브랜드경영 마인드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이를 위한 전문 인력도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s poster designs for large scalemusicals that were performed in recent two years and seek to find directions formarketingmusicals that fit toKorean market. The size of themusicalmarket inKorea is estimated around 200 billionKoreanWonwhich is largest in size in performing arts sector. Due to the size of themarket, there are efforts in the field aswell as the academia in order tomake everymusicalmarket competitive.Most of the prior studies inmusicalmarketing focusedon traditional marketingmix, 7P(product, place, promotion, price, people, physical evidence, process). These studies are not directly applicable in Koreanmusicalmarket which does not separate the concept of promotionandmarketingandcannot fullyexplainthepurchaseprocess ofmusical performancewhichconsumer’s taste is the keydecision factor. Therefore, in this study, I researched ways to market musicals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taste of the consumers. In order to do so, I analyzed the poster of musical which is the aggregation of the design factors that consists brand identity. I analyzed large scale musicals only since they have the budge to operate different types of marketing and I categorize musicals into original, license and newly-created musicals and analyze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After the analysis I identified different attempts of marketing as themarket hasmoved fromoriginal or replica licensemusicals. The producers aremaking every efforts in order to growa brand identity asmore foreignmusicals are produced in forms of non-replica license performance in order to fit the needs of theKoreanmarket andmore newly-created musicals are produced.However, I couldnot identify a producerwith a long termbrand strategy andthemarket lacks professionalswho have such competency. 본 연구는 최근 2년간 대극장에서 공연된 뮤지컬의 포스터 디자인을 분석하여 한국의 시장 상황에 맞는 뮤지컬 마케팅의 방향을 찾고자 한다. 뮤지컬시장은 현재 2000억 원 규모로 공연시장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다. 작품마다 문화상품으로서 시장경쟁력을 찾기 위해 현업과 학계에서 계속되고 있다. 뮤지컬 마케팅에 관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전통적인 마케팅믹스 요소인 7P(product, place, promotion, price, people, physical evidence, process)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promotion요소인 홍보 개념과 마케팅 개념을 크게 구분하지 않는 한국 뮤지컬 시장 현실에 바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소비자들의 기호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뮤지컬 구매 행위를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경영 관점에서 뮤지컬 소비자의 기호에 맞춰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마케팅 방법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요소의 집합체인 포스터를 분석한다. 일정 규모 이상의 제작비를 가지고 다양한 마케팅 방법을 동원하고 있는 대극장 뮤지컬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제작 방식에 따라 오리지널 뮤지컬, 라이선스 뮤지컬, 창작 뮤지컬로 분류하여 각기 다른 특징을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뮤지컬 시장이 해외 유명 뮤지컬의 오리지널 공연이나 레플리카 라이선스 공연 중심에서 조금씩 탈피하면서 마케팅에서도 새로운 움직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해외 작품을 들여올 때 한국 시장에 맞게 변형하는 논레플리카 라이선스 공연이 늘어나고, 창작 뮤지컬도 조금씩 성장함에 따라 제작자들이 작품의 자체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가지려는 노력이 확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만들고 유지하려는 브랜드경영 마인드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이를 위한 전문 인력도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s poster designs for large scalemusicals that were performed in recent two years and seek to find directions formarketingmusicals that fit toKorean market. The size of themusicalmarket inKorea is estimated around 200 billionKoreanWonwhich is largest in size in performing arts sector. Due to the size of themarket, there are efforts in the field aswell as the academia in order tomake everymusicalmarket competitive.Most of the prior studies inmusicalmarketing focusedon traditional marketingmix, 7P(product, place, promotion, price, people, physical evidence, process). These studies are not directly applicable in Koreanmusicalmarket which does not separate the concept of promotionandmarketingandcannot fullyexplainthepurchaseprocess ofmusical performancewhichconsumer’s taste is the keydecision factor. Therefore, in this study, I researched ways to market musicals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taste of the consumers. In order to do so, I analyzed the poster of musical which is the aggregation of the design factors that consists brand identity. I analyzed large scale musicals only since they have the budge to operate different types of marketing and I categorize musicals into original, license and newly-created musicals and analyze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After the analysis I identified different attempts of marketing as themarket hasmoved fromoriginal or replica licensemusicals. The producers aremaking every efforts in order to growa brand identity asmore foreignmusicals are produced in forms of non-replica license performance in order to fit the needs of theKoreanmarket andmore newly-created musicals are produced.However, I couldnot identify a producerwith a long termbrand strategy andthemarket lacks professionalswho have such competency.

      • KCI등재

        뮤지컬 회전문관객의 미시사회학적 분석

        임찬묵(Lim, Chanmook)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2

        최근 한국의 뮤지컬 시장에서는 특정 뮤지컬을 반복해서 관람하는 ‘회전문관객’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한 공연을 10-20회 정도 관람하는 경우는 흔하고, 100여회 관람하는 경우도 있다. 충성도가 높은 고객이다 보니 뮤지컬 업계에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여러 가지 마케팅을 펼치고 있으나, 학술적인 연구 대상으로 다루어진 경우는 거의 없다. 뮤지컬의 소비가 기호의 영역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경영학적/경제학적 연구방법으로 회전문관객 현상을 설명하기엔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사회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던 Benzecry의 미시사회학적 분석법을 통해 한국의 회전문관객을 연구한다. 그는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유서 깊은 오페라극장인 Colón오페라하우스(Teatro Colón)의 광적인 오페라 팬들, 즉 Opera Fanatic을 수년간 연구하였다. 이들은 문화엘리트가 자신의 계급을 구별짓기 위한 수단으로서 문화자본을 소비한다는 기존의 사회학적 분석과 동떨어진 행동양식을 보인다. Opera Fanatic은 극단적인 상호작용의례(interactional ritual)를 만들어내는 신체적 자기몰두(bodily self-absorption), 집합적 열광(collective effervescence), 무대 앞(front stage)을 위한 자기표현에 대한 무관심, 다양한 담론을 통한 대화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은 한국 시장에서 많은 회전문관객이 찾는 뮤지컬 <헤드윅>에서 동일하게 드러나며, Opera Fanatic과 마찬가지로 공연관람을 통해 일상적인 자신을 초월하는 경험을 꾸준히 지향한다. Recently in musical market in Korea, new segment of mania audience who watches only one particular show become noticed and such audience is referred to as “revolving door audience”. Among them, it is common to see fans who watch the same show 10-20 times and there are even some fans who watch one show 100 times. Since such segment is very loyal to the show, producers are trying various marketing activities specifically targeted to them however the academic studies on them are very scarce. Consumption of musical is very much related to one’s taste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explain such trend in the academic field of business and economic. In this paper, I study the Korea’s “revolving door audience” through Benzecry’s Microsociology Analysis, which was a big sensation in the sociology field in America. He has studied the Opera Fanatics of the Teatro Colón, a historic opera theater in Buenos Aires for several years. He found out that this segment shows different consumption attitude to opera genre to the previous sociologic studies which explained that the cultural elites consume cultural product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mselves to general mass. Opera Fanatics can be characterized as bodily self-absorption creating an intense internal interaction ritual, collective effervescence, indifference on the self-presentation on the front stage and verbal discourse of diverse topics. Such character can be commonly seen in the audience of Musical 〈Hedwig〉 which has many Korean fanatics and as with Opera Fanatic, they constantly pursue the experience of transcendence of themselves through consuming musicals. 최근 한국의 뮤지컬 시장에서는 특정 뮤지컬을 반복해서 관람하는 ‘회전문관객’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한 공연을 10-20회 정도 관람하는 경우는 흔하고, 100여회 관람하는 경우도 있다. 충성도가 높은 고객이다 보니 뮤지컬 업계에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여러 가지 마케팅을 펼치고 있으나, 학술적인 연구 대상으로 다루어진 경우는 거의 없다. 뮤지컬의 소비가 기호의 영역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경영학적/경제학적 연구방법으로 회전문관객 현상을 설명하기엔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사회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던 Benzecry의 미시사회학적 분석법을 통해 한국의 회전문관객을 연구한다. 그는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유서 깊은 오페라극장인 Colón오페라하우스(Teatro Colón)의 광적인 오페라 팬들, 즉 Opera Fanatic을 수년간 연구하였다. 이들은 문화엘리트가 자신의 계급을 구별짓기 위한 수단으로서 문화자본을 소비한다는 기존의 사회학적 분석과 동떨어진 행동양식을 보인다. Opera Fanatic은 극단적인 상호작용의례(interactional ritual)를 만들어내는 신체적 자기몰두(bodily self-absorption), 집합적 열광(collective effervescence), 무대 앞(front stage)을 위한 자기표현에 대한 무관심, 다양한 담론을 통한 대화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은 한국 시장에서 많은 회전문관객이 찾는 뮤지컬 <헤드윅>에서 동일하게 드러나며, Opera Fanatic과 마찬가지로 공연관람을 통해 일상적인 자신을 초월하는 경험을 꾸준히 지향한다. Recently in musical market in Korea, new segment of mania audience who watches only one particular show become noticed and such audience is referred to as “revolving door audience”. Among them, it is common to see fans who watch the same show 10-20 times and there are even some fans who watch one show 100 times. Since such segment is very loyal to the show, producers are trying various marketing activities specifically targeted to them however the academic studies on them are very scarce. Consumption of musical is very much related to one’s taste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explain such trend in the academic field of business and economic. In this paper, I study the Korea’s “revolving door audience” through Benzecry’s Microsociology Analysis, which was a big sensation in the sociology field in America. He has studied the Opera Fanatics of the Teatro Colón, a historic opera theater in Buenos Aires for several years. He found out that this segment shows different consumption attitude to opera genre to the previous sociologic studies which explained that the cultural elites consume cultural product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mselves to general mass. Opera Fanatics can be characterized as bodily self-absorption creating an intense internal interaction ritual, collective effervescence, indifference on the self-presentation on the front stage and verbal discourse of diverse topics. Such character can be commonly seen in the audience of Musical 〈Hedwig〉 which has many Korean fanatics and as with Opera Fanatic, they constantly pursue the experience of transcendence of themselves through consuming music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