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명품 브랜드-미술관 전시 특징 연구

        임슬비(Lim, Seul Bi),김면(Kim, Myeo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8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2

        문화 산업 간 상호 유기성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명품 브랜드가 상업적인 목적을 넘어서 미술관이라는 장소성과 결합한 것은 문화 예술 산업의 확장과 예술의 대중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미술관 전시분야에서 트렌드로 등장하고 있는 브랜드-미술관 전시에 대해 살펴보고 명품 패션 브랜드 전시를 중심으로 유형을 분류하여 사례와 함께 분석하였다. 디올(Dior)과 에르메스(Hermes), 루이비통(Louis Vuitton) 전시 사례를 전시주제에 따라 대분류한 후, 그 안에서 전시목적과 전시내용으로 소분류하여 전시가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비교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 유형별 특징과 향후 명품 패션 브랜드-미술관이 나아가야할 지향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기존 문헌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해 이 같은 전시는 단순한 마케팅 전략으로서 타산적인 시장 경제에 편승하는 현상이 아닌 문화적인 흐름에 조우하는 현상으로서 하나의 콘텐츠를 생산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었다. 또한 브랜드-미술관 전시가 어떤 식의 형태로 구현되었든 전시 유형에 따라 제품의 미적 가치를 중시하거나, 상황을 재현하여 경험의 기회를 확대했다는 점에서 그 나름대로의 의의를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브랜드-미술관 전시는 오늘날 융·복합이 강조되는 시대에 브랜드와 미술관의 부가가치 상승과 함께 대중과의 소통을 시도하며 새로운 문화와 가치, 의미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While mutually organic characteristic of culture is being highlighted, luxury brands which is trying to combine with placeness of museum bound up with the expansion and democratization of the arts and cultural industry.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luxury brand exhibitions at museums, types and cases. First, exhibitions were categorized into retrospect and themes exhibitions and classified into exhibition"s purpose and content through the case study of Dior, Hermes, and Louis Vuitton. Base on these classification, this study discussed the features by types and future direction of luxury fashion brand exhibitions at museum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cases analysis, brand exhibitions at museums should be seen as joining a cultural flow to create contents rather than simply pursuing their economic outcome. Also, such exhibitions were meaningful in different ways regardless of any forms that brand exhibitions at museums focused on highlighting its products or reproduced its products by using various visual effects. In conclusion, brands exhibitions at museums can be seen as making new culture, values and meanings in days of convergence by communicating with the public also with creating additional value to brands and museums.

      • 홍대 놀이터의 확장을 위한 지하공원화 계획 -어두움을 그리다-

        오한결(주저자) ( Han Gyeol Oh ),임슬비(주저자) ( Seul Bi Lim ),정지은(주저자) ( Ji Eun Jung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공간 환경 스튜디오 Ⅶ 수업에서 진행한 기존 공간 리뉴얼 프로젝트에 대한 공간 디자인프로세스 연구이다. 본 연구의 과정은 총 세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초반과정으로는 대지의 분석과정에서 도출된 여러 가지 문제점 해결을 목표로 아이디어 도출 과정을 거쳤다. 구체적으로 홍대 놀이터의 역사·지리적 특성·지역성·문화 등에 대한 기본정보조사와 실제적인 설문조사, 진행하고자 하는 공간의 사례분석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두 번째 단계로는 프로젝트의 목적을 정하고 앞서 진행한 분석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파악하여 해결책을 생각하였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문제점 해결을 위해 공간을 외부와 내부로 나누어 적용할 개념과 컨셉 언어를 정하였다. 그 후 공간의 컨셉과 주요 특징 요소를 정하였다. 이단계에서 변화된 홍대 놀이터의 이미지와 공간의 목적이 구체화 되었다. 마지막 단계로는 공간의 컨셉과 주요 특징 요소를 활용해 구체적으로 공간 디자인을 생각하였다. 기초 디자인과정을 거쳐 공간 계획과정을 진행하였으며 도면·다이어그램·동선·소재 등에 이러한 계획 과정을 구체화하여 표현하였다. 이를 위해 전체 15주 수업기간 동안 실제 작품의 진행 기간은 약 15주가 소요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ace renewal design process from Space Environmental Design Studio Ⅶ. The process is divided into three steps. First, students analyzed the geographic features of the site and found many problems. So the students brainstormed ideas that could help resolve the problems. Specifically, students proceeded with a pre-investigation about the history, geographic features and region, culture of the Hongdae playground, surveys, and case studies. Second,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found on the previous step, students sought a solution. For a detailed and practical solution we divided the space into two parts, the outside and interior, and formulated a main concept and its elements. Last, based on the space``s main concept and elements, students proceeded to design a renewal space. First, students begun on the primal design process and then began working on the space design. To explain the idea effectively, students made drawings, diagrams, moving lines, and materials. The work the students completed was collected during the 15 weeks of the class.

      • 역사적 인물 콘텐츠를 활용한 통합 브랜드 개발 -황순원의 <소나기>를 중심으로-

        박가현(주저자) ( Ga Hyun Park ),맹지수(주저자) ( Ji Soo Maeng ),임슬비(주저자) ( Seul Bi Lim ),신윤화(주저자) ( Yoon Hwa Shin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이미연(공동저자) ( Mi Yeon Lee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0 No.-

        본 연구는 한국의 문인 대중화를 위해 역사적 인물 황순원의 작품 소나기의 콘텐츠를 활용한 통합브랜드를 개발함에 있어서 ‘브랜드와 디자인, 마케팅’을 융합된 시점에서 바라보고 Graphic Identity, Product Identity, SpaceIdentity의 통합브랜드를 구축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대상은 2014년 3월~6월 15주간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브랜드스페이스마케팅>수업에서 진행된 수업의 결과물이로서 6개 팀 중 1개팀의 작업물을 정리한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범위는 4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brand and design, marketing`` from a view point of convergence in developing an integrated brand that utilizes the contents of a work of a historical figure, Sun-Won Hwang for popularization of Korean Literary Artists and to identify a series of processes that construct an integrated brand of Graphic Identity, Product Identity, and Space. Here at,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outcomes of <Brand Space Marketing> classes of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conducted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for 15 weeks, from March to June in 2014 classes and summary of the work by one team of six teams. In addition,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Person`` (人) that is one of four themes (Object, work, person and place: 物, 事, 人, 場). As a result, the ``showers (Sonagy)`` derived from the convergence aspect of design and marketing was strategize for applying and supplementing the elements of experiencing the five senses, in consideration that the existing literal view of Sun-won Hwang had been sympathized by families or mid-aged groups but relatively failed to embrace the 20’s, in developing the brand. This had been resulted that the ``showers (Sonagy)`` brand had presented consistency, objectivity and story-telling encompassing from the graphic designs up to the product design and spatial design of logo and signs this is by converging the design and marketing aspects.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upon that the ``showers`` brand has made an integrated brand manual of more systemized G·I, P·I and S·I by the convergence of design and marketing in a historical figure-utilized cultural space design. It is also expected to be used as a base data for future development of related integrated brand design.

      •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숙명여대 르네상스 프라자 "윰(U;ME)" 브랜드 개발 -<디자인+마케팅> 융합을 중심으로-

        박가현(주저자) ( Ga Hyun Park ),맹지수(주저자) ( Ji Soo Maeng ),임슬비(주저자) ( Seul Bi Lim ),신윤화(주저자) ( Yoon Hwa Shin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이미연(공동저자) ( Mi Yeon Lee ),홍순미(공동저자) ( Soo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4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숙명여자대학교에 있는 복합문화공간 르네상스 플라자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브랜드 개발에 있어서 ‘브랜드와 디자인, 마케팅, 이벤트’ 을 융합된 시점에서 바라보고 Graphic Identity, Product Identity, Space Identity의 통합브랜드를 구축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대상은 2014 년 3윌-6윌 15주간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브랜드스페이스마케팅〉수업에서 진행된 수업의 결과물로서 6개 팀 중 1개 팀의 작업 과제를 정리한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범위는 4개(物, 事, 人, 場)의 주제 중 事의 ‘Service’ 로 한정한다. 그 결과, 디자인과 마케팅의 융합된 측면에서 도출된 ‘U;ME’ 이라는 브랜드의 르네상스 플라자를 문화예술에 관심이 많은 젊은 커플들에게 갤러리·공연·식음 등의 시설을 향유하며 데이트를 즐기는 장소 마케팅으로 복합문화공간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U;ME``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개발함에 있어 디자인과 마케팅이 융합된 통합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만든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타 복합문화공간의 타 계층의 대상을 한정하는 마케팅 디자인 메뉴엘 개발에 있어서 그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take a look at ``Brand, Design, Marketing, and Event`` from a convergence perspective and explicate a series of process to establish an integrative brand of graphic identity, product identity, and space identity, in developing a brand to raise the awareness of the Renaissance Plaza as the Cultural Complex in Sookmyung Woman University. This study aims for a compilation of the work of a team among six teams from their course products in the ``Brand Space Marketing`` course in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in Sookmyung Woman University which was provided for 15 weeks between March and June, 2014. In addition, the scope of this study is Iimited to ``service`` of Work among four themes (Thing, Work, Person, and Place). As a result, ``U;ME`` was developed as a brand for the Renaissance Plaza as a cultural complex for young couples with high interests in art and culture to enjoy the facilities such as galleries, performances, and food and beverages while dating, based on the fusion of design and marketing aspects with a focus on place-based market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creating a brand identity that integrated design and marketing in developing the brand identity, ``U;ME.`` In addition,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the marketing design manual for various populations in other cultural complexes in the future. es style researches on food, n di and

      • 디터람스에 관한 전시 공간 리뉴얼을 위한 연구 -기초 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손지원(주저자) ( Ji Won Sohn ),오한결(주저자) ( Han Gyeol Oh ),임슬비(주저자) ( Seul Bi Lim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신은별(공동저자) ( Eun Byeol Shin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Ⅱ 수업에서 총15주간 진행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로서, 공간기초 디자인 이론을 바탕으로 한 전시 공간 디자인프로젝트이다. 본 연구의 과정은 총 세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먼저 선(Line), 형태(Form), 빛(Light),색(Color) 등의 기초 디자인 이론을 통해 디자인 요소에 대한 이해와 이를 공간에 적용하여 프로젝트 아이디어 도출 과정을 선행하였다. 두 번째로는 FrankStella의 작품을 바탕으로 공간 디자인 요소들의 형태적 변화와 주요 특징 요소들을 이용해 조형적인 공간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간에 기능을 적용시켜전시 공간 계획을 진행하였으며 도면, 다이어그램, 동선, 소재 등 이러한 계획 과정을 구체화하여 표현하였다. 이 단계에서 기존 전시 공간 스터디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도출하여 공간의 컨셉과 목적을 구체화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기능에 따른 공간 디자인의 프로세스와 달리 디자인 요소와 원리에 따른 형태적조형미를 탐구 한 후 그에 걸 맞는 브랜드의 적용과 전시라는 기능을 반영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에 있어 향후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as a project for the 15 week-long Spatial Design Studio Ⅱ class for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and the project was to develop a spatial design based on the basic theory of spatial design. The process of this study consists three phases. First, the study developed ideas for the project in advanc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design elements through exploration of basic design theories on line, form, light, color, etc. and then applied them to space. Second, the study created a formative space by identifying and using morphological changes of spatial design elements and major characteristic factors based on the exploration of the works of Frank Stella. Lastly, the exhibition space planning was conducted by applying functions to space, and the planning processes such as drawings, diagrams, moving lines, and materials are specifically expressed. In this phase, problem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existing studies on exhibition space and solutions were to substantiate the concept and purpose of the space. All in all, this study’s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spatial design processes, which will explore morphological aesthetics based on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which apply a correspondingly adequate brand, and which reflect an exhibition function unlike the existing process of function-oriented spatial design.

      • 전시디스플레이 디자인을 위한 방법 연구 -미학, 예술, 디자인의 융합을 토대로-

        손지원(주저자) ( Ji Won Sohn ),이채영(주저자) ( Chae Young Lee ),임슬비(주저자) ( Seul Bi Lim ),오한결(주저자) ( Han Gyeol Oh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신지윤(공동저자) ( Ji Yoon Shin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0 No.-

        본 논문은 미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이를 예술과 디자인에 다각적으로 도입하여 전시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이를 실제 디자인영역에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이다. 미학적 이론을 근거한 미학 오딧세이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 중 1. 이율배반, 2. 사회적 관습, Code, 3. 공감각의 개념을 중심으로 이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이를 각각Brand Display, Season Display, Media Exhibition에 도입하여 미학 개념을 실제 전시 디스플레이로 표하는 작업을 하였다. 이는 숙명여대 미술대학 전시 디스플레이 수업에서 진행된 프로젝트로 4명의 팀원이 15주간 미학을 바탕으로 3개의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수업의 진행은 예술과 디자인의 경계를 허물고, 다각적으로 융합되어 디스플레이 디자인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향후 과학기술, 마케팅 등 타분야와의 활발한 융복합과 다양한 멀티미디어와의 융복합 등의 연구를 통해 다채로운 디자인 방법론을 연구하고자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diverse design processes of a wide ranged exhibition display based on the theory of aesthetics by introducing it to art and design in various dimensions and to use them in an actual area of design. Among the themes that aesthetic theory-based Aesthetic Odyssey, the study was performed as a research on theories focusing on 1. Antinomy, 2. Social Customs, Code, and 3. Synesthesia. And then, the study had performed tasks to present the concept of aesthetics in an actual exhibition display by introducing above themes to Brand Display, Season Display and Media Exhibition respectively. The study included 3 projects on the basis of aesthetics for 15 weeks performed by 4 team members as the projects implemented in an exhibition project class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ollege of Fine Arts. These classes are conducted to break down the boundaries between art and design, with subsequent convergences among them in multi-faceted ways so as to explore a new possibilities of display design technology, and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diversified design methodology through active convergence/integration with other sectors such as scientific technology and marketing and through convergence/integration with various multi-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