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랜드 스토리텔링 공간디자인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관한 연구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임선희 ( Lim¸ Sunhee ),이주형 ( Lee¸ Juhyeo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2

        (연구배경 및 목적) 가치를 중요시하며 글로벌화 되는 소비문화는 브랜드에서도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현대사회에서 브랜드의 전략은 트랜드에 민감하며 고객의 라이프 스타일과 소비성향에 따라 국가별로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차별화 경험과 브랜드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것이 마케팅 전략이며 브랜드의 스토리텔링을 효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국가와 유통환경에 따라 다양한 아이덴티티로 확산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브랜드의 글로벌 확장 시 스토리텔링이 공간 내에 마케팅 전략의 유용성과 경쟁력 강화에 효율적인 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이다. 향후 브랜드의 글로벌 진출 시 공간 디자인의 글로벌 아이덴티티에 관한 참고로 할수 있는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연구방법) 첫째,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브랜드의 글로벌 확장을 위한 공간 스토리텔링의 세 개의 구조를 도출하였으며 브랜드가 필요한 글로벌 수용 요소 다섯 가지의 요인을 연구하였습니다. 둘째, 화장품의 글로벌 확산의 현황을 파악하여 논문의 연구 범위에 대한 설정과 사례조사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셋째, 브랜드 스토리텔링의 공간디자인을 위하여 스토리텔링의 마케팅적 효과와 공간에서의 구조 형성에 대하여 사물적 요소, 시간적 요소, 전달적 요소의 세 가지로 구분 후 이를 세분화 한 여섯 가지 분석의 틀 모형을 제시하여 이 모형을 중심으로 각각의 다른 국가와 브랜드의 사례를 조사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샤넬과 같은 오랜 전통과 역사의 경쟁력이 강한 브랜드공간은 설명적 학습적 스토리텔링의 연출 보다는 브랜드의 강력한 통일성과 정체성을 보여주면서도 다양한 변동을 보여준다. 반면 아직 브랜드를 알려야 하는 한방화장품과 친환경 화장품에서는 럭셔리 유통시장과 프리미엄 시장에 따라 학습성이 높으며 프리미엄 시장의 친환경 화장품의 경우 통일성과 정체성은 다소 약하지만 변동성에 높은 성향을 보여 다양한 유통의 환경에 확산하는 적용성을 보여주었다. (결론) 통일성은 화장품 브랜드에서 매우 중요한 전략이지만 브랜드의 속성과 특징에 따라 유통환경에 따라 다양한 변동을 보여줄 때도 있으므로 통일성과 변동성은 글로벌 확장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신생 브랜드는 강력한 차별화를 위하여 학습적 효과를 스토리텔링으로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K뷰티가 아직도 열풍이며 글로벌 확산이 중요한 시기에 글로벌 환경에서 소비자에게 단계별 학습 효과를 보여주며 브랜드의 속성을 효율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브랜드의 확장적 전략에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향후 브랜드의 글로벌 확장에 참고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 culture of consumption that values importance also requires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 brand. In particular, in modern society, a brand strategy is sensitive to trends, and shows a variety of patterns by country depending on the lifestyle and consumption habits of customers. This is a marketing strategy to show differentiation experience and brand identity, and efficiently showing the brand's storytelling spreads to various identity depending on the country and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 effective way for the spatial storytelling to enhance the usefulness and competitiveness of marketing strategies when a brand extends global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may be used as a guideline and a reference for the global identity of spatial design when brands enter the global market in the future. (Method) First, to study on strengthening global competitiveness, three spatial storytelling structures for the brand's global expansion were derived, and five elements of global acceptance required for the brand were studied. Second, by understanding the global diffusion of cosmetics, the scope of this study was determined and the basis for case study was established. Third, for the spatial design of brand storytelling, we present a framework model of six analyses that subdivided the marketing effects of storytelling and the structure formation in space into three components: object, temporal, and transitive. (Results) A brand space with strong competitiveness with a long tradition and history like Chanel shows various variations while expressing the strong unity and identity of the brand rather than directing an explanatory and learning storytelli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herbal medicine cosmetics and eco-friendly cosmetics brands, requiring to advertise their brands, they showed high learnability according to the luxury retail market and the premium market. In the case of eco-friendly cosmetics brands in the premium market, they showed good applicability by diffusing to various distribution environments with a tendency of high variability but a bit low unity and identity. (Conclusions) Uniformity is a very important strategy for cosmetics brands, but it can be seen that uniformity and volatility are very important factors for global expansion as they sometimes show various changes depending on the brand's properties and distribution environment. It is important for new brands to show the learning effect through storytelling in order to increase their differentiation. K-beauty is a craze and shows step-by-step learning effects to consumers at a time when global spread is important, and it can be seen that showing the brand's properties efficiently is very important for the brand's expansion strateg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a reference for global expansion of brands in the future.

      • KCI등재

        자원순환을 통한 지속가능 마케팅 공간 디자인 연구

        임선희 ( Lim Sunh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환경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기업들도 자연에 대한 관심과 소비자와의 상호공유하며 마케팅 전략의 핵심 요인이 되고 있다. 그로 인하여 재활용의 아이디어에 디자인을 덧입히는 자원순환에 대한 가치와 경험을 제공하며 기업의 이윤과 함께 착한 선순환의 경제를 이끄는 혼합가치의 연구가 활발하다. 본 연구는 자원순환의 마케팅 전략을 연구하여 이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공간 디자인에 대한 특성을 도출하여 기업과 소비자의 협력으로 가치를 창출하는 요인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향후 지속가능한 공간디자인 디자인을 통하여 착한 순환경제의 시스템을 마련하는 참고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연구방법)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자원순환의 정의와 국내 산업 기업 활동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 전략을 토대로 자원 순환의 디자인 특성을 도출한다. 둘째, 지속가능성의 개념과 지속가능한 공간디자인의 특성을 기존 문헌과 자료를 통하여 조형적, 사회적, 환경적 세 가지 요인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자원순환의 디자인 특성과 지속가능성 공간 마케팅의 특성의 관계를 연결하여 조형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에 포함되는 12가지의 요소를 세분화 하여 연구 모형을 도출 후 분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세째, 다양한 자원순환의 개념으로 만들어진 공간을 사례로 선정하였으며 범위는 문화마케팅 공간, 상업공간, 복합문화공간등 다양한 공간에 대입하여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사례의 대상은 대부분 자원순환으로 인지도가 높고 디자인적 완성도가 높은 관계로 대부분 조형적 요소에는 높은 빈도를 보였다. 차이점이 있다면 문화 마케팅 공간은 조형적 환경적 요인에서는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사회적 참여도가 낮아서 사회적 요소에는 낮은 빈도를 보였으며 상업공간은 조형적 요소와 사회적 요소는 높은 참여와 인기 장소로 인하여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환경적 요인에서 빈도가 낮았다. 복합문화공간은 문화와 상업의 조화로운 공간으로 조형적으로도 의미가 있으며 참여 빈도가 매우 높은 관계로 사회적 의미와 환경적 요소에도 높은 빈도를 보였다. (결론) 많은 자원순환으로 이루어진 공간이 있지만 조형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이 모두 조화롭기는 어렵다. 향후 더 다양한 환경의 자원순환 공간을 사례의 분석이 필요하다. 심미적 아름다움과 에너지 절감과 이벤트의 참여도를 높이기는 어렵지만 이 연구를 통하여 향후 지속가능한 공간디자인에 대한 전략적 참고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increases, companies are also becoming a key factor in marketing strategies, sharing their interest in nature and with consumers. As a result, research on the value and experience of resource circulation that adds design to the idea of recycling has been activated. Along with corporate profits, research on mixed value that leads to a good virtuous economy is active. This study studies marketing strategies for resource circulation and draws characteristics for sustainable spatial design based on them. It is to study the factors that create value through cooperation between companies and consum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establishment of a good net environment system through sustainable spatial design in the future. (Method) First, it derives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resource cycle based on the definition of the resource cycle and the strategies of domestic industrial enterprise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Second,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space design were derived into three elements through existing literature and data. Based on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resource circul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sustainability spatial marketing was subdivided, a research model was prepared, and an analysis framework was prepared. Third, a space of various resource circulation was selected as an example,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in various spaces such as cultural marketing space, commercial space, and complex cultural space. (Results) Most of the subjects of the case were highly recognized due to resource circulation and high design completeness, so most of them showed high frequency in formative elements. The difference is that space, which focuses on softening marketing, showed high frequency in formative environmental factors, but low frequency in social factors due to low social participation. On the other hand, commercial spaces showed high frequency due to high participation and popularity of social and formative factors, but were less frequent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The complex cultural space is a harmonious space between culture and commerce, which is also formatively meaningful and has a very high frequency of participation, showing high frequency in social meaning and environmental factors. (Conclusions) There is a space consisting of many resource cycles, but it is difficult for both formative,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o harmonize. In the future, a case analysis of resource circulation spaces in more diverse environments is needed. Although it is difficult to increase aesthetic beauty, energy savings, and participation in event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strategic reference for sustainable space design in the future.

      • KCI등재

        MPEG-4 AVC|H.264 Scalable Extension을 위한 고속 모드 결정 방법

        임선희(Sunhee Lim),양정엽(Jungyoup Yang),전병우(Byeungwoo Jeon) 대한전자공학회 2008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5 No.6

        본 논문에서는 MPEG-4 AVC|H.264 SE(Scalable Extension) 부호화 복잡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모드 결정과정을 간략화시키는 시간적 및 공간적 계층 부호화에 따른 고속 모드 결정 방법을 제안한다. 우선 시간적 계층 부호화를 위해 조기스킵(Early Skip) 알고리즘과 MHM(Mode History Map)을 이용한 고속 모드 결정법을 제안한다. 조기스킵 알고리즘은 시간적으로 이전 영상과 이후 영상에 속한 참조 매크로블록의 모드만을 후보 모드로 사용하고, GOP 내에 존재하는 참조 매크로블록의 모드들로 MHM을 구성하여, 여기에 포함된 매크로블록 모드만을 후보 모드로 사용한다. 또한, 공간적 계층 부호화를 위해서는 하위 공간 계층에 대한 MHM을 구성하고, 여기에 BL_mode 만을 추가하여 상위 공간 계층의 후보 모드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후보 모드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최적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결정 과정의 복잡도를 감소시킨다. 실험 결과는 제안 방법이 기존 방법에 비해 율-왜곡 성능의 큰 감소 없이 시간적 계층 부호화 방법에 대해 약 52%, 공간적 계층 부호화 방법에 대해 약 47%의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st mode decision method for temporal and spatial scalability to reduce computational complexity of mode decision that used to be computationally one of the most intensive processes of the MPEG-4 AVC|H.264 SE(Scalable Extension) encoding. For temporal scalability, we propose an early skip method and MHM(mode history map) method. The early skip method confines macroblock modes of backward and forward frames within selected a few candidates. The MHM method utilizes stored information of frames inside a GOP of lower levels for the decision of MHM at higher level. For the spatial scalability, we propose the method that uses a candidate mode according to the MHM method and adds the BL_mode as candidates. The proposed scheme reduces the number of candidate modes to reduce computational complexity in mode decision. The proposed scheme reduces total encoding time by about 52% for temporal scalability and 47% for spatial scalability without significant loss of RD performance.

      • KCI등재

        수용자 인지과정을 위한 유통공간의 맥락적 구조에 대한 연구

        임선희 ( Sunhee Lim ),백승경 ( Sungkeong Back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1

        (연구배경 및 목적)정보의 발달에 따른 소비 패턴의 변화는 다각화된 유통채널, 소비방법 그리고 가치의 변화를 가져왔다. 브랜드 공간은 단순 판매 목적이 아닌 소통하는 감성적 장소의 역할로서 소비자가 브랜드를 수용하는 장소로 제공하는 오프라인의 마케팅적 요소이며, 빠르게 변화하는 유통시장에서 시장 선점의 속도는 경쟁 우의를 차지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유통의 빠른 속도는 수용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지만 브랜드 측의 의도만 담긴 채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수용자와의 체계적인 인지과정과 다양한 유통환경에서 브랜드와 타겟에 맞는 소통과 맥락에 대한 연구와 함께 제반되는 공간의 분류와 구조적 매뉴얼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브랜드 인지 과정이 공간의 체계화된 구성을 통하여 효율적인 메시지로 가치를 제공하며 이를 매뉴얼화 하여 실천적 요소로 사용되는 효용가치의 연구로 제공하려 한다. (연구방법)유통공간에서 브랜드마케팅을 베이스로 하는 브랜드의 공간을 연구의 범위로 정한다. 연구 방법은 소비 패턴의 변화와 유통 채널의 다각화에 대하여 살펴 본 후 브랜드 공간을 체험에 따른 브랜드 수용의 변화를 연구한다. 맥락적 구조분류를 위하여 브랜드와 유통 상권의 관계성과 소비자의 체험적 인지과정에서 도출한 분류법을 도입하여 사례에 적용하여 구조화에 따른 인지체계에 관한 연구를 분석한다. (결과)본 연구는 마케팅 시장 환경의 변화와 소비자 패턴의 변화에 따른 유통별 브랜드 공간의 수용 체계를 연구하였으며 이에 유통공간의 맥락적 구조를 도출하여 사례를 도입하였다. (결론)맥락적 구조의 논리적 완성을 위해서는 결과에 대한 검토와 판단이 필요하다. 각각의 분류된 공간 및 사물의 기능적 역할이며 전략적 매체의 표현요소들이 장기적으로 지속성을 유지 발전 할 수 있는 콘텐츠도 매뉴얼이 필요하며 이는 일관된 아이덴티티가 각각의 유통 상권과 채널에서 환경에 맞게 재분류되어 소비자에게 브랜드의 인지와 체험하는 맥락이 연결되도록 어우러짐이 필요하다. 이 연구과정은 브랜드 공간의 확산 과정에 있어서 시간적 물리적 상황에서 체계적으로 정립되지 못한 채 확산되는 현실에 브랜드의 일방적 확산이나 브랜드의 입장의 니즈에 편중되어지는 현실에서 빠르게 대응 할 수 있으며 사례의 예시로 기 운영 중인 매장을 근거로 하여 소비자의 니즈를 반영할 수 있는 경우의수를 분류하여 선행하는 분류 방법을 대입하여 연구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resulting from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have resulted in diversified distribution channels, consumption methods, and value changes. The brand space is a role of the emotional place that communicates rather than the simple sales purpose. It is an element of offline marketing that provides the place where the consumer accepts the brand. In addition, the pace of market preoccupation in the fast-changing distribution market is crucial to the competitive advantage. The rapid rate of distribution is spreading without the research of the right audience, with only the intention of the brand side. Therefore, a systematic cognitive process with the audience and a study on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appropriate to the brand and the target in various distribution environments, as well as the manual of classification and structure of space are required. Through this study, brand awareness process provides value through an efficient message using a structured organization of space; brand awareness also provides a manual value as a study of utility value, which is used as a practical element. (Methods)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defined as the space of the brand based on brand marketing in the distribution space. This study explored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and diversification of distribution channels, and then analyzed changes in accepting brands according to experience. To classify the contextual struc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and and the retail market, and the taxonomy found in the experiential cognitive process of consumers were introduced and analyzed. (Results) In this study, the system based on the brand space was studi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marketing market environment and the consumer pattern. It also introduced the case by deriving the contextual structure of the distribution space. (Conclusions) Logical completion of the contextual structure requires a review and judgment of the results. The functional role of each classified space and object, and the content that the expression elements of the strategic media can maintain and develop in the long term, are required. This is because the consistent identity is reclassified according to environment in each retail trade channel.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perception of the brand to the context of the experience. This research process can quickly respond to the reality of unfolding the brand in the process of diffusion of the brand space and not being systematically established in the temporal and physical situations, and focusing on the needs of the brand`s position. The number of cases that can reflect the needs of consumers based on the stores in operation was classified and the preceding classification method was substituted.

      • KCI등재

        체험된 시간성과 공간의 사회화 구조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임선희 ( Sunhee Lim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모빌리티의 발달은 근대사회의 빠른 이동과 정보성을 제공함에 따라 공간의 존재의 의미가 달라졌다. 이러한 정보성과 속도의 변화는 일상과 욕구 사이 다채롭고 광범위한 연결이 소비사회에서도 손쉽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시간의 변화 속에 존재하는 공간은 단순한 물리학적 공간이 아닌 체험된 시간성에 따른 공간과의 특별한 의미를 원하게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가 공간에서 체험된 시간성과 공간의 구조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행동의 능동성을 이끈 공간 구조의 요인을 연구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범위는 체험된 시간성에 따른 공간 구조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이므로 공간이 시간과 관계를 맺는 사회화 되는 과정이 중심이다. 따라서 사회화 과정의 주 빈도수가 높은 소비 공간에서 소비자의 체험행태를 범위로 정하였다, 첫째, 공간에서 체험된 시간성에 관하여 선형적, 순환적 시간, 미디어의 현전과 현재성의 시간, 전유된 시간으로 세 가지 분류를 하였다. 둘째, 미쿤다의 공간구조 이론과 공간의 사회화 구조를 공간의 체험성에 관한 분류와 생산성에 관한 분류 하였다. 체험성에 관한 공간의 사유는 사용자의 감성에 따른 투명성과 현실주의적으로 분류하였고 생산성은 르페브르의 이론을 토대로 공간의 실천, 공간의 재현, 재현 공간으로 분류하였다. 셋째, 체험과 공간의 분류를 사례에 대입하기 위하여 미쿤다의 이론에 따라 공간에서의 소비자를 이끄는 4가지 축으로 분류한 후 사례를 대입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복합 문화공간 두 곳과 기존의 사용 성을 전환하여 새롭게 탄생한 로드공간과 교환가치를 사용가치로 상징화한 브랜드 문화공간의 사례로 미쿤다의 축을 대입하여 분석한 결과 공간은 각각의 특성에 맞는 세 가지의 변화와 반복, 동일성과 차이, 대조와 연속의 체험된 시간성에 따른 공간의 세 가지 키워드로 정리하였다. 이 세 가지 키워드는 분석 결과의 특성과 맞추어 르페브르의 이론의 키워드를 대입하였다. (결론) 복합문화공간의 쇼핑몰은 콘셉트라인의 형성하고 랜드 마크 성격의 구조물이나 코어 어트랙션의 공간재현을 하여도 전유의 시간을 갖지 못하면 기억에 남는 재현공간이 될 수 없다. 효율적인 재현공간의 형성은 콘셉트라인의 효과를 높이며 능동적인 체험을 유도한다. 전유의 시간이 강할수록`시뮬라르크`의 효과는 크며 이는 공간의 투명성을 높이는데 기여하며 곧 충성심으로 연결된다. 추후 세부적 이론분석, 설문조사를 이용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상황에 따라 유연성 있게 적용될 수 있는 본질적 가치의 공간의 사회화의 모델의 기반이 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Developments in mobility have changed the meaning of place as access to rapid movement and information grows in modern society. These changes in information access and speed can easily achieve a deep and broad connection between daily life and desire in consumer socie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spatial structure that user spontaneity of user `s behavior by grasping correlation between time and spatial structure experienced in space. (Method) The scope of this study centered on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in which space is related to time; it studies the correlation of spatial structure according to experienced time. First, there are three types of temporal characteristics experienced in space: linear or cyclical time; media present and current time; and appropriated time. Second, the spatial structure theory of Mikunda and the socialization structure of space are divided into experiential and productive of space experience. The experiential space is classified into transparency and realism according to the emotion of the user, and the productive space is classified into practice of space, representation of space, and space of representation based on Henri Lefebvre`s theory. Third, to assign the classification of experience and space to the case, we classified it into four axes leading the consumer in space, according to Christian Mikunda`s theory, and analyzed the case. (Results) The results yielded an example of brand culture space that symbolizes the new road space and exchange value to the use value of the new cultural space, by analyzing the axis created by Christian Mikunda. The study classified the space into three keywords corresponding to each characteristic―namely, the three changes and repetitions, the identity and the difference, and the spac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and the temporality of succession. These three keywords were assigned to the keywords of Henri Lefebvre`s theory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alysis results. (Conclusions) A shopping mall in a complex cultural space cannot be a memorable space for recreation if it does not encourage strolling or browsing behavior, form a concept line, or reproduce the space of a landmark character or core attraction. The formation of an effective representation space enhances the effectiveness of the concept line and leads to an active experience. The stronger the time of allotment, the greater the effect of “simulacres,” which contributes to the transparency of space and leads to loyalty.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 basis for modeling socialization of space of essential value which can be flexibly appli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rough detailed analysis of theories and case studies using questionnaires.

      • KCI등재

        비즈니스 확장을 위한 럭셔리 브랜드 공간 아이덴티티 전략에 관한 연구

        최다진 ( Choi¸ Dajin ),임선희 ( Lim¸ Sunhee ),김주연 ( Kim¸ Juyo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 배경 및 목적) 세계 명품시장 규모는 이미 거대화되었으며, 국내에서는 패션 상품의 수입 자유화 조치로 럭셔리 시장이 급성장하였다. 한국의 럭셔리 브랜드 시장의 잠재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럭셔리 브랜드 시장은 신규 브랜드 런칭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고 신규 개발의 마케팅 비용의 절감 등의 장점을 내세워 새로운 산업으로 브랜드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럭셔리 브랜드가 비즈니스를 확장을 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 아이덴티티 전략을 연구하여 향후 브랜드 확장 시 다양한 활용 방법을 제시함에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럭셔리 브랜드 확장과 공간 아이덴티티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를 통해 각각의 특성을 도출한다. 도출된 각각의 특성은 매개 되어 럭셔리 브랜드 확장 전략 모형으로 나타난다. 이후 동일 범위 외 새로운 카테고리 범주까지 확장하고 있는 경향을 보인 해외 럭셔리 브랜드 3가지 대상을 선정한 후 앞서 나온 특성과 확장 전략을 기준으로 도표를 작성 및 사례분석 하여 비즈니스 확장을 위한 럭셔리 브랜드 공간 아이덴티티 전략을 고찰하고자 한다. (결과) 공간아이덴티티는 럭셔리 브랜드 확장의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중점으로 두고, 공간 아이덴티티의 표현과 연계되어 나타나는 공간 특성과 브랜드 확장요인의 특성을 접합 시켜 전략을 이끌어냈다. 공간 아이덴티티를 통한 럭셔리 브랜드 비즈니스 확장의 전략으로 신뢰적 경험성, 전형적 시각성, 일관적 상징성, 유사적 연계성, 적합적 확충성 이러한 다섯 가지의 전략을 도출할 수 있었다. 사례분석을 통한 결과로 1)공간 아이덴티티의 전략이 사용된 순서로는 적합적 확충성 > 전형적 시각성 > 일관적 상징성 > 유사적 연계성 > 신뢰적 경험성 순으로 나타났다. 2)일관적 상징성은 전형적 시각성과 유사적 연계성의 표현요소 항목 중복으로 전략간 상호영향을 받는 형상을 보였다. 3)일관적 상징성과 유사적 연계성은 관계성 깊은 전략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가 주는 시사점은 1)모 브랜드의 가치에 부합하는 적합한 범위의 공간 유형 확장으로 브랜드를 확충하여 고객에게 전달하는 것이 높은 비중의 긍정적 전략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2)모 브랜드의 목적과 가치에 맞게 연계된 전략을 구성하여 공간의 아이덴티티를 적용한다면 럭셔리 브랜드 비즈니스 확장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3)확장 브랜드 간 매장의 동일한 무드의 연출은 브랜드 확장 평가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다. 이에 부분적 럭셔리 프리미엄 브랜드 사례분석으로 한정된 범위 존재 가능성의 부족한 점이 있지만 본 논문을 기반으로 다양한 브랜드의 분석과 럭셔리 하위 브랜드 비즈니스 확장을 포함한 상세한 비즈니스 전략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global luxury goods market size has already become gigantic, domestic luxury market has rapidly grown due to the import liberalization of fashion goods. At this moment, as the potential possibilities of Korean luxury brand market is increasing, luxury brand market is attempting to have a brand extension, utilizing their strength such as marketing cost reduction of new development, reducing risks of new brand launching. This research aims for the suggestions: the space identity is an effective strategy for a brand extension, and giving required space identity strategy for a business extension. (Method) The method of this study is: Each characteristic is drawn through the theoretical research and the prior research of the expansion of luxury brands and study of the space identity. And it is represented as a luxury brand expansion strategy model via each derived characteristic. Since then, selecting three foreign luxury brands that have tended to expand into new category out of same range, consider luxury brand’s space identity strategy for business expansion by charting and analyzing cases. (Results) Focusing on the thing that spatial identity has a positive impact on luxury brand expansion, it is able to draw a strategy by combin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characteristics and the factors of brand expansion that appeared in conjunction with the expression of spatial identity. Through the strategy of expanding luxury brand business through spatial identity, the five strategies could be derived: reliable-experience, intensive-visuality, significant-symbolism, associative-connectivity, and positional-distinction.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1)The sequence that using the strategy of the space identity is revealed in the order of Positional-distinction > Intensive-visuality > Significant-symbolism > Associative-connectivity > Reliable-experience. 2)it seems that Significant-symbolism showed a structure that was mutually affected between strategies Intensive-visuality and Associative-connectivity due to overlapping expression factors. 3)it seems that Significant-symbolism and Associative-connectivity were highly related strategies. (Conclusions) The takeaway of this research are 1)Delivering it to customers that expanding the brand by broadening the appropriate range of space types that meet the value of the parent brand is used as a high-weight positive strategy. 2)If you apply the identity of space by constructing a strategy linked to the purpose and value of the parent brand, it has a positive impact on luxury brand business expansion. 3)The directing of same mood between the expanding brand’s stores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expansion evaluation. Although there was a lack the possibility of a limited range of existence based on partial case analysis of luxury premium brands, is hoped that additional business strategy studies will be conducted, including analysis of various brands and expansion of luxury sub-brand businesses, based on this study.

      • KCI등재

        어린이 뮤지엄의 경험론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황건화 ( Jianhua Huang ),임선희 ( Sunhee Lim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연구 배경 및 목적) 뮤지엄은 단순한 보존과 수집의 기능에서 사회적 서비스 및 교육의 장으로서 많은 행사와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는 과거의 뮤지엄 역할에 기능적인 확대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현재 어린이 뮤지엄은 어린이의 교육을 위하여 여러 가지 교육 프로그램을 모색하고 있다. 어린이 교육의 패러다임은 과거 전통적인 주입식 지식 학습에서 아동의 신체, 인지, 정서를 위한 능동적 체험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는 어린이가 스스로 보고 만지고 느끼면서 경험하며, 얻은 지식을 재구성하고 의문을 제기하며, 스스로 뇌의 자극을 통하여 답을 찾는 과정을 중요시하는 것이다. 어린이 뮤지엄 또한 이러한 능동적 자극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어린이의 인지발달과 진보주의적 경험을 강조한 존 듀이의 경험론을 근거로 어린이 뮤지엄 공간에 나타는 경험론적 특성을 구분하고, 실제로 구현된 어린이 뮤지엄 분석을 통해 그 특성들이 어린이 뮤지엄 공간디자인에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경험 이론을 중심으로 하여 문헌 고찰을 통해 어린이 인지 발달론과 듀이의 경험적 특성에 대한 관계를 알아본다. 또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어린이 뮤지엄의경험론적 공간 특성에 대한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앞서 어린이 뮤지엄의 경험론적 공간 특성을 토대로 사례 분석의 틀을 도출하여 어린이 뮤지엄 공간에 대해 분석하였다. 경험적 공간을 중심으로 2000년 이후 국 내·외에서 발행된 서적, 잡지 및 기존 연구 논문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서울상상나라와 국립 중앙 어린이 박물관을 국내 사례로 선정하였다. 또한, 어린이뮤지엄학, 교육학과 커뮤니케이션학에 있어서 최신 발전을 반영하고 있는 일본의 키즈 플라자와 2015년 국제 어린이뮤지엄 상을 수상한 ZOOM 어린이박물관과 보스턴 어린이 박물관을 국제 사례로 선정하였다. (결과) 어린이 뮤지엄 공간과 존 듀이의 경험론에 대한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하여 어린이 뮤지엄 공간에서 나타나는 경험적 특성을 감각 참여성, 매체 연상성, 자발적인 역동성, 과정 중심성, 총체적 연속성의 다섯 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도출된 특성을 바탕으로 사례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어린이 뮤지엄의 경험론적 공간 특성 중 총체적 연속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매체적 연상성 또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뮤지엄일수록 감각적 참여성과 매체적 연상성에 대한 비중은 비교적 높은 수준을 나타내는 반면 5세 이상의 어린이 뮤지엄은 감각과 매체적 연상성에 대한 비중은 비교적 낮은 지수를 나타내므로 대상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결론) 이러한 공간의 경험적 특성은 어린이들에게 신체적 발달, 상상력과 창의성을 유발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어린이가 어려서 경험으로부터 받은 영향은 지속적이고 지구성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경험적 어린이 뮤지엄의 공간적 특성은 보편적 기준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Currently, children's museums are looking for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he paradigm of education of children is shifting from the traditional methodology of passive learning to active learning for the body, cognition, and emotion of children. The active learning places importance on searching for answers through stimulation of the brain, by reconstructing and questioning the received information, which consists of visual, tactile, and sensory experiences. Based on John Dewey's empirical theory that emphasizes cognitive development and progressive experience, this study aims to distinguish the empirical spac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a children's museum, and to suggest how such characteristics can be utilized in a spatial design of children's museum through analysis of actual museums that implemented the empirical characteristics into their design. (Method) First,€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and Dewey empirical characteristics was examin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Second, key concepts of empirical spac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museum were derived from a review of the previous studies. The framework of case analysis was derived from the key concepts and was utilized to analyze the children's museum space. Seoul Children’s Museum and the National Children's Museum of Korea, the most mentioned in publications, including magazines and research papers, in Korea and abroad since 2000, were selected as domestic cases. For international cases, Kids Plaza in Osaka, Japan was selected for its implementation of latest developments regarding children's museum, education and communication studies, and the ZOOM Children's Museum and the Boston Children's Museum, which received the 2015 International Children's Museum Award, were selected as international cases. (Results) The empirical spac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children's museum and John Dewey's empirical theory we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sensory participation, media association, spontaneous dynamism, process centrality and wholistic continuity. In general, the analysis of the five categories of children's museum space resulted in a high level of wholistic continuity and media association. Also, the study presented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the subject; the sensory participation and media association were presented in higher levels in museums for infants and toddlers, while they were presented in lower levels in museums for age five and above. (Conclusion) The empirical spac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museum are of great help in triggering physical development, imagination, and creativity in children. Such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museum presented in this study need to be expanded to universal standards, as the effects of childhood experience are persistent.

      • KCI등재

        온라인 유통 화장품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달을 위한 백화점 화장품 매장 디자인 개발

        이주형 ( Lee Juhyeong ),임선희 ( Lim Sunh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5

        (연구배경 및 목적) 브랜드에 있어서 판매 매장의 공간디자인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최전선으로서 과거에 비해 중요도가 매우 높아졌다. 브랜드가 우후죽순 범람하는 상황에 차별화된 브랜드의 이미지와 속성까지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것은 브랜드의 생명과도 연결된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화장품 브랜드는 이미지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 산업으로서 매장의 공간디자인과 VMD는 타 유통분야보다 민감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채널에서 판매 중인 화장품 브랜드의 백화점 화장품 매장디자인을 기획함에 있어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정립하기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거쳐 최종 결과물을 제시함으로써 차후 백화점 화장품 매장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디자인 제안을 하였다. (연구방법) 첫째, 브랜드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브랜드 포지셔닝, 그리고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하고 백화점 화장품 매장 디자인의 이해를 위해 시대별 매장의 디자인 변천사를 조사하여 소비환경의 변화에 따라 진화된 매장 디자인 방향을 파악한다. 둘째,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매장디자인의 전략적 요소로 도입하기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설정하고 디자인 대상인 에이지투웨니스의 브랜드 분석을 통해 브랜드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분석하여 디자인 아이템을 개발한다. 셋째, 매장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표현하는 숍 아이덴티티와 광고, 상품 커뮤니케이션을 표현하는 VMD로 구분하여 디자인 결과물을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디자인이 완성되고 시공설치까지 완료된 매장에 대해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점검하고 적용된 디자인 아이템 효과를 타진한다. (결과) 본 디자인 연구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달을 위한 백화점 화장품 매장 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에이지투웨니스의 매장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브랜드 분석과 디자인 프로세스에 의하여 개발된 디자인 아이템을 매장에 적용하고 디자인 결과물을 통해 표현된 매장의 숍 아이덴티티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론) 판매매장의 주목적은 브랜드인지도 확보와 마켓쉐어 확보이다. 브랜드 고유의 철학과 상품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브랜드이미지를 전달하기 쉽게 개발된 시각적 아이템이 효과적이며 일관성 있는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전달함으로서 소비자에게 친근하게 다가서게 되고 브랜드를 기억하게 되어 관심과 구매로 연결되어 매출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심리를 고려한 매장디자인은 브랜드의 성과목표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importance of spatial design of brand shop has been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t as the front-line of brand communication. In the market flooded with brands, delivering the brand image and attributes to consumers might be an important part connected to the life of the brand. Especially, as an industry in which image communication is important, the visual merchandizing design (VMD) and spatial design of shop for cosmetics brands are a sensitive area compared to other distribution areas. This study proposed a design as a guideline for a cosmetics department store design in the future, by presenting the final result after going through the design process to establish the brand identity in case when planning a department store cosmetics shop design of cosmetics brand on sale in online channel. (Methods) First, as a basic research for understanding the brand, this study elucidates the evolved design direction following the change of consumption environment by theoretically considering the brand identity, brand positioning, and brand communication, and then researching the history of design changes in each shop for understanding the department store cosmetics shop design. Second, this study develops a design item by setting up the design process for introducing the brand identity as a strategic element of shop design, and also analyzes the contents the brand aims to deliver through the analysis of brand ‘Age 20s’ as the subject of design. Third, this study reveals the design outcome by dividing it into shop identity representing the brand communication of shop, and VMD representing the advertisement and product communication. Lastly, this study inspects the brand communication elements on the shop with completed design and construction/installation, and then examines the effects of applied design item. (Results) This design study proposed a shop design of Age 20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department store cosmetics shop design for delivering the brand identity. After applying the design item developed by brand analysis and design process to the shop, this study drew the conclusions on the shop identity and brand communication represented through the design outcome. (Conclusions) The main purpose of shops is to secure brand awareness and market share. To deliver the characteristic philosophy of brand and product information to consumers, the visual item that has been developed for easy delivery of brand image should repetitively deliver the effective and consistent image, which could lead to it getting embedded in the consumers’ memory, resulting in their increased interest and purchase, and increase in sales of the product. The shop design considering this psychology of consumers could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goal of a brand.

      • KCI등재

        A study on Affordance Design Elements - Case Study on Metaverse University Campuses -

        김주영 ( Kim Jooyoung ),임선희 ( Lim Sunhee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2

        (연구배경 및 목적) COVID-19 팬데믹과 메타버스의 부상은 대학들이 가상공간에 캠퍼스를 구현하고 주요 이벤트를 온라인으로 진행하도록 촉진했다. 이러한 디지털 전환은 실제 대학 경험을 가상공간에서 재현하려는 시도이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사용자 경험(UX), 상호작용 문제 등 여러 도전 과제를 포함하고 있다.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기술 발전과 사용자 중심의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하며, 어포던스 디자인 이론은 가상 대학 캠퍼스의 효과적인 구현 및 운영 전략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대학 캠퍼스의 사례를 통해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를 평가하여 메타버스 기반 대학 캠퍼스 개발을 위한 지침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선행 연구의 이론을 검토하여 어포던스의 개념을 이해하고, 렉스 하슨의 어포던스 분류체계에 따라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메타버스의 정의 및 구성 요소를 명시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였고, 메타버스의 특성과 렉스 하슨의 어포더스 개념을 연계하여 메타버스의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를 식별하였다. 셋째, 메타버스 대학 캠퍼스의 개념 및 활용법을 조사하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구현된 캠퍼스 사례를 선정하여 20개의 평가 항목을 바탕으로 진행한 사례 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다양한 플랫폼에 구현된 사례를 분석한 결과 플랫폼별 특성과 사용자 메커니즘의 차이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ZEP에 구현된 사례 3과 Uverse에 구현된 사례 4는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 20가지 평가항목 중 각각 14가지, 15가지 항목에서 높은 연관성을 보였으며, 자체 플랫폼에 구현된 사례 1과 로블록스에 구현된 사례 2는 각각 4가지, 2가지 항목에서 높은 연관성을 보이며 매우 큰 격차를 보였다. 사례 3과 사례 4가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 평가 항목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반면, 사례 1은 중간 수준의 평가를, 사례 2는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플랫폼별 특성과 사용자와 상호작용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결론) 메타버스 대학 캠퍼스의 설계 및 구현은 플랫폼 환경에 따라 사용자 경험, 인터페이스, 가상 환경 구성 등의 요소가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메타버스 플랫폼과 대학 캠퍼스에서 지속적인 소통과 정보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어포던스 디자인의 적용을 통한 사용자 중심 가상 교육 환경의 개발이 기대되며, 이는 효과적인 학습 환경 설계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rise of the metaverse have encouraged universities to operate virtual campuses and conduct major events online. This digital transition, an attempt to replicate the real college experience in virtual spaces, encompasses several challenges, including user interface (UI), user experience (UX), and interaction issues. Advancements in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user-centric guidelines are necessary to address these issues. Moreover, affordance design theory can play a crucial role in developing effective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strategies for virtual university campuse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affordance design elements using case studies of metaverse university campuses, providing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metaverse-based university campuses. (Method) First, affordance was understood by reviewing existing studies, and affordance design elements were derived according to Rex Hartson's classification system of affordances. Second, the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the metaverse were specified to elucidate its characteristics, and the design elements of metaverse affordances were identified by link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with Rex Hartson's concept of affordance. Third, the concept and application methods of the metaverse university campus were examined, and campus cases implemented on various platforms were selected. Conclusions were drawn using case analysis based on 20 evaluation items. (Results) The analysis of cases implemented across various platforms suggest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latform and differences in user mechanism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outcomes. Case 3, implemented in ZEP, and Case 4, implemented in U-verse, demonstrated high relevance in 14 and 15 out of 20 affordance design element evaluation criteria, respectively. In contrast, Case 1, implemented in a proprietary platform, and Case 2, implemented in Roblox, demonstrated high relevance in only 4 and 2 criteria, respectively, indicating a significant gap. Cases 3 and 4 received high ratings in the affordance design element evaluation, whereas Case 1 received a moderate rating, and Case 2 received the lowest rating. These results were analyzed to stem from differences in platform characteristics and user interaction. (Conclusi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etaverse university campuses demonstrate that elements such as user experience, interface, and virtual environment composition vary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platform environment. This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content development for continuous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activation within metaverse platforms and university campuses. The development of a user-centered virtual educational environment using the application of affordance design is anticipated, an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n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서비스 마케팅을 적용한 웨딩공간 디자인 제안

        장유진 ( Jang Yoojin ),임선희 ( Lim Sunh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5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의 라이프 스타일이 다양화되면서 그에 따른 트렌드도 여러 가지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의 변화로 결혼이라는 관습의 문화 역시 그 형식이 변화하였고 프로그램과 공간도 변화하고 있다. 결혼 문화에 대한 소비층의 시대 의식 변화로 자신만의 문화적 취향이 중요시되고 개인의 선호와 감각에 맞는 웨딩을 하기 원하게 되면서 소비층들은 각각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간 개념을 갖춘 웨딩 문화 및 장소가 필요하다. (연구범위 및 방법) 본 연구의 방법으로 웨딩 문화의 다양화에 따른 웨딩홀 실내공간의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2009년도 이후 완공된 서울지역 웨딩홀로 한정하였으며 다양하게 변화하는 웨딩 유형들을 주체성, 소통성, 종교성, 공간의 복합성의 특징으로 정리하였다. 웨딩 문화의 다양화에 따른 실내공간의 변화가 두드러진 웨딩홀의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빠르게 변화한 트렌드의 흐름 속 다양화된 웨딩 유형의 소비층 니즈를 충족하기 위한 웨딩 공간디자인 계획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웨딩홀의 실내공간은 웨딩 프로그램 순서에 따라 예식실, 신부대기실, 다이닝의 실내공간으로 제한하여 효율적인 디자인 방안을 구상 실행계획을 수립한다. (결과) 사례의 대상들은 공간의 주체가 소비자이며 소비자의 니즈에 의해 주체성과 소통성 그리고 공간을 찾는 소비자의 접근성이 중시됨을 알 수 있다. 이에 사람들의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로 사회의 모든 면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감성적이고 심리적인 서비스의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독특하고 다양화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들은 결혼 문화에도 영향을 끼쳤고, 결혼에 대한 소비자의 사고방식도 바뀌었으며,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예식의 종류와 결혼식의 시설도 다양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결혼 문화와 결혼 시설의 공간적 특성에 대한 소비자의 변화에 따른 사고방식을 살펴보고, 결혼 시설의 형태적 변화에 대한 연구를 통해 소비자의 다양한 니즈를 해결할 수 있는 결혼 시설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제안하여 실용적인 실내 계획들을 도출시킬 수 있도록 공간 및 시설계획을 구성한다. (결론) 기존 웨딩홀 실내공간 특성을 분석, 종합한 결과가 획일적이고 상업적인 공간 특성임을 알 수가 있고 이에 그 흐름에 알맞은 공간을 제시함으로 웨딩 공간이 아닌 트렌드 변화 흐름에 맞추어진 차별성을 갖는 웨딩홀 실내공간 디자인 계획을 함에 그 의미가 있다. 향후 트렌드의 변화가 빠른 웨딩 문화가 유형의 다양화에 따른 웨딩홀 실내공간 디자인 특성을 만들어 나아가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diversification of lifestyles of the modern society, trends are emerging as various phenomena. Among the changing trends, is that of marriage, which has not only changed its form, but its programs and spaces as well. With the changing consciousness of consumers about marriage culture, it is important to adapt to their own cultural tastes and create a wedding culture and place with a new concept of space for them to express their individuality. (Method) As a method of this study, we limit our focus to wedding halls in Seoul, completed after 2009, w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dding hall's interior space were prominent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wedding culture, incorporating various features of identity, communication, religiosity, and space. We would like to compare and analyze the cases of wedding halls where changes in indoor space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wedding culture are prominent and present wedding space design plans to meet the needs of diversified wedding types as a fast-changing trend. The indoor space of the wedding hall is limited to the wedding room, the bridal room, as well as the indoor space of the dining area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wedding program, and an effective design plan is devised, while an execution plan is established. (Results) The subjects of the case show that the subject of space is the consumer, whose needs encompass identity, communication, and accessibility to the space. Thus, all aspects of society are changing due to changes in people's lifestyle. As the need fo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ervices are increasing, spaces are becoming unique and diversified. These changes have affected the culture of marriage and the way consumers think about marriage, and the types of ceremonies and wedding facilities must be varied according to the diverse needs of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ulture of marriage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marriage facilities, while constructing space and making plans for facilities to derive practical interior designs by exploring and proposing new directions to address various needs of consumers through research on marriage facilities.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interior space of a wedding hall which reflects uniformity and commercial space characteristics, and presents a space suitable for the flow of wedding guests, through analysis and aggregation. In the future, wedding hall interior space designs should be created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diversification of wedding cultural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