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死)와 사자(死者)에 대한 사회적 성찰

        임병식(Byeongsik, Lim) 국가생명윤리정책원 2021 생명, 윤리와 정책 Vol.5 No.2

        이 글의 목적은 ‘사후 시신 기증 및 활용’을 위한 사회적 성찰에 있다. 논자는 이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첫째, “만약 내가 ‘시신’이라면, 나는 내 몸(장기)이 어떻게 활용되기를 바랄까”라는 명제에서 출발해서, 사(死)와 사자(死者)에 대한 관점의 변화와 입장전회가 사자(死者)에 대한 존중과 배려가 될 뿐만 아니라 시신 기증 및 활용의 대안이 되며 이것이 생명윤리가 지향하는 지점임을 강조한다. 둘째, 한국사회의 건강한 죽음담론을 위해 세 가지 죽음담론의 부류를 제시한다. 건강한 죽음담론은 자칫 인간의 죽음을 신체생물학적인 죽음(死)에 초점을 맞추었던 관점으로부터 의지-의미 추구적 죽음(終)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사(死)와 사자(死者)에 대한 명예회복뿐만 아니라, 유가족들에게도 의미 있는 장기기증문화 형성에 큰 기반이 됨을 말한다. 이와 같은 논의는 향후 장기기증문화가 사회적 애도로 확장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시신’에 정신적 가치를 재구성함으로써 인간다움을 재부여하는 행위로, 환자와 유족은 슬픔 가운데 존엄한 위로가 될 수 있고, 그 확인과 실천이 자발적이고 배려적인 옵트인 방식의 장기기증환경으로 전환되는 계기가 되며, 이러한 애도방식은 ‘시신’의 활용을 넘어선 인간애적 활용으로 승화될 수 있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discuss social concerns about post-mortem donations and corpses, including exploring how one would want a body or organs to be utilized. Shifting our conception of death and the dead enables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ultimate goal of bioethics. The dead should be respected and considered in a humanistic approach to the use of a corpse. These contemplations bring forth the primary research purpose, which is to establish an opt-in environment for body donation and utilization. Second, the author discusses the most salubrious and valid discourse of death among three types. A healthy discourse on death restores the honor of death and the dead while laying a great foundation for a meaningful organ donation culture for the bereaved family by converting structures of our conceptions of human death from a biological death to a willed-meaning-seeking death. Those broader discourses influence the environment so that post-mortem donation and utilization are managed as social mourning in the future and ultimately re-grant humanity by reconstructing the spiritual value of the ‘corpse.’ This method of mourning can be sublimated into a humanistic use beyond the mere utilization of the corpse and further develop the practice of dignity for post-mortem donation and utilization.

      • KCI등재

        주자는 어떻게 죽음의 불안을 극복했는가?

        임병식(Lim Byeongsik) 한국동양철학회 2015 동양철학 Vol.0 No.43

        본 논문은 최근 학계에 성행하는 ‘죽음학(Thanatology)’의 관점에서 주자의 생사관과 인생관을 조망한 글이다. 주자는 세계와 존재의 본질과 특징으로 성(誠)을 제시하고, 이를 불교의 공리(空理)와 대비시켜 실리(實理)의 유행(流行)으로 규정한다. 이때 실리가 존재하고 그것이 유행한다고 보는 견해는 무엇보다도 세계와 존재들이 실재성(reality)을 절대적으로 긍정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 기초한 세계관과 존재론은 무엇보다도 인간의 삶의 가치와 의의에 대한 절대적인 신뢰와 긍정으로 이어진다. 그리하여 삶의 구조와 특징을 공공성과 개방성에 기초하여 구성하게 되며 구성원들의 상호 공감과 소통, 그리고 연대 위에서 삶의 가치와 의의를 자리매김한다. 따라서 이러한 세계관과 인생관 안에서 인간의 삶과 죽음은 상호 이질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지속을 전제로 한 동질적인 요소로 파악되므로 죽음에 대한 공포와 불안은 현재의 삶에 대한 충실함과 진정성 안에서 해소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유학에서 삶의 충실함과 진정성을 가늠하는 척도는 무엇보다도 공공성을 전제로 한 공동체의 인륜적 가치와 의의의 구현 여부에 있다. 따라서 인륜성에 토대를 둔 삶은 죽음에 대한 불안을 극복하기 위한 최선의 삶이며, 이러한 삶을 잘 영위하는 것이 곧 잘 죽어가는 것이다. 이 점에서 유학의 생사관과 인생관의 구도에서는 웰리빙(Well-living)이 곧 웰다잉(Well-dying)이라는 논리가 성립한다. 유학의 삶과 죽음에 대한 이러한 생사관과 지혜는 오늘날 현대 사회에서 생물심리학과 경제지표를 중심으로 삼아 널리 성행하고 있는 웰빙(Well-being)과 웰다잉(Well-dying)의 열풍이 갖고 있는 문제점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유익한 단서를 제공해 준다. This paper has taken a view of Zhu Xi’s perspective of life and death,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anatology which is in current trend in academia. Zhu Xi has not only proposed Cheng as the essence and characteristic of world and existence, but also contrasted Cheng with Kongli in Buddhism in order to define it as the Luixing of Shili. The opinion that argues for Shili’s existence and Luixing refers to the fact that the world and the beings ultimately affirmed of reality. Therefore, the view of life and ontology which is based on this kind of perspective is connected to the absolute trust and acknowledgement of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human’s life. For that reason, such a perspective constructs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life based on the public concern and openness, and puts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life on the solidarity of members of the society. According to such a view of the world and life, the life and death of human is not deemed as mutu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understood as homogeneous factor which presupposes continuum of life; as a result, the fear and anxiety of death are dissolved in faithfulness and sincerity of current life. Especially, in Confucianism, the degree of faithfulness and sincerity of life is determined by whether the value and the meaning of ethical community based on public concerns are realized. Therefore, the life based on ethical order is the best life for overcoming the anxiety of death, and to live such a life is to come to death well. In the structure of the view of life and death of Confucianism, in this regard, the logic of well-living equals well-dying is valid. The wisdom and the view of life of death of Confucianism regarding living and dying provide valuable clues to critically consider the problems of the fever of Well-being and Well-dying, based on biological psychology and economic indicator, which are now in trend in our current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