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표상적 가치 체계를 기반으로 한 장소성의 변용에 관한 연구

        임민택 ( Lim Mintae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카오스 이론에서 이야기하는 것처럼, 세상의 구성 원리는 다양성에 기초한 차이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때문에, 영구적이고, 고정적인 것은 없으며, 변화하는 세상의 흐름 속에서 함께 순환하는 가치를 추구해야만 할 것이다. 공간 디자인의 경우에도, 구축되어진 공간은 언제나 공간 디자이너의 의도한 계획대로만 사용되지는 않을 것이다. 사회적 상황 변화에 따라서 공간 사용성은 변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장소 가치는 변화하며, 시간성과 추억은 축적되게 된다. 이러한 장소 변용에 대한 연구는, 보다 더 나은 지속가능한 공간 디자인을 만들게 해주는 지표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비표상적 공간 가치를 정립하여, 학술적인 체계화를 진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장소성의 사회적 가치 및 방향성을 개선시키고, 프로그램 중심의 다양한 차이 생성적 변용이 이루어지는 대안 공간이 생성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우선 비표상적 공간의 가치 제고를 위해서, 비표상 개념의 학술적인 이론을 정리했으며, 이의 과정으로 후기 구조주의, 포스트 모더니즘과 해체주의 이론을 정리하였다. 이후 이를 통해서 공간의 차이 생성적 가치 체계를 구축하고자, 르페브르와 들뢰즈의 이론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가변 계획 방법론 연구를 통해서, 장소 변용의 가변적 공간 특성을 정리하였고, 이를 중심으로 사례 분석의 틀을 구성하여,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의 결과 값을 근거로 하여, 장소 변용과 관련한 공간 가치 체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과) 비표상적 가치 체계를 기반으로 한 장소성의 변용은 크게 물리적, 비 물리적, 인적 분야로 나누어져서 공간 특성이 드러나게 된다. 가변 공간 특성 분석으로 장소성 변용 특성(연속성, 이동성, 안정성, 시간성, 장소성, 변이성, 다양성, 관계성, 복합성)을 도출할 수 있었고, 이를 사례 분석의 틀로 삼아서 5가지 물리적 특성(반응형, 모듈형, 적응형, 절약형, 확장형) 기반의 장소성 변용에 관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의 결과로서 가변 공간 특성과 장소 변용 특성의 연계 가치를 제언하였다. (결론) 공간디자인 분야에서 비표상적 사유가 어떠한 학술적 가치를 갖고 있는지에 대해서 논증하였고, 이를 프레임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 프레임을 기초로 하여 다양한 확장 연구의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며, 향후 장소 변용 연구가 행동적 화용론 기반의 파급적 구조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Chaos Theory states that the constitutive principle of the world consists of a set of differences based on diversity. Due to this, there is nothing permanent and fixed, and we will have to pursue values that circulate together in the changing world. Even in space design, the constructed space will not always be used as intended by the space designer. As the social situation changes, the usability of space changes, and on this basis, the value of the place will change while time and memories will be accumulated. Studies on such place modifications will be an indicator of better sustainable spatial design. This study was intended to establish the non-representational spatial value, conduct academic systematization, and subsequently improve the social value and direction of placedness, and create an alternative space where various difference-generating modifications centered around the programs could be achieved. (Methods) First, this study summarized the academic theories of non-representational concepts, and for such a process, compiled the theories of post-structuralism, postmodernism, and deconstructionism to increase the value of non-representational space. Subsequently, the theories of Lefebvre and Deleuze were summarized to establish a difference-generating value system of space through aforesaid process. Then, variabl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lace modification were summarized through an investigation of variable planning methodology, and thereafter, a framework for case analyses was formed to conduct the analysis of cases. (Results) Based on the resulting values, a spatial value system associated with modification of place was intended to be proposed. Modification of placedness based on a non-representational value system is largely classified into physical, non-physical, and human fields, thereby reveal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of variable spatial characteristics can lead to the derivation of placedness modification characteristics (continuity, mobility, stability, temporality, placedness, variability, diversity, relationship, and complexity). By using that as a framework, the case analysis associated with placedness modification on the basis of five physical characteristics (responsive, modular, adaptive, economical, and extended types)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results, the value linking the variabl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place modification characteristics was recommended. (Conclusion) We demonstrated the kind of academic value that non-representational reasoning would have in the field of space, and summarized that through a frame. Moreover, we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various expansion studies based on such an analytical frame, and proposed the likelihood that the study on place modification could lead to a ripple structure based on behavioral pragmatics.

      • KCI등재

        브랜드 공간의 아니마, 아니무스의 특성에 관한 연구

        임민택 ( Mintaek Lim ),백정훈 ( Junghoon Bae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2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사회에서 인간은 단지 남성, 여성이기만 한 것이 아니고 각자 독립적 성향을 가진 존재이다. 공간 또한 남성적 공간, 여성적 공간이 아닌 각자 독립적 성향을 가진 종합적인 공간으로 디자인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일부 브랜드공간은 브랜드 정체성을 위하여 과도하게 특성 성별의 시각적 특징만을 상징화하는 페르소나 공간으로 치장되어 있다. 이러한 치장된 공간은 브랜드의 특정 성향을 대변해주는 역할을 할 수는 있겠지만 방문 고객의 무의식 속의 진정한 친밀감을 형성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칼 융의 아니마, 아니무스 이론을 통하여 공간의 자기실현이 진정한 의미의 공간 개성의 실현임을 증명하고 이의 확장 적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칼 융의 아니마 아니무스 이론에 대해여 고찰하고, 이의 사회현상학적 관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아니마 아니무스 이론이 단순히 사람의 인격에만 투사되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공간 속의 투사가 가능함을 고찰하였다. 사례 조사를 통하여 남성성, 여성성이 강조된 공간 속에서의 반대 성의 시각적 특징이 드러난 요소를 고찰하여 남성성과 여성성이 조화된 공간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결과) 아니마 공간의 사례 조사에서는 남성적인 페르소나를 가진 공간이었지만 내부에 여성성을 표현해주는 디자인이 존재하였고 이를 통해서 고객들은 내면의 편안함과 친숙함을 느낄 수 있었다. 반면 아니무스 공간의 사례 조사에서는 여성적인 페르소나를 가진 공간이었지만 내부에 남성성을 표현해주는 디자인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반대성별의 공간적 특징을 브랜드 페르소나 공간에서는 특히 보완해야 하며, 이를 통하여 해당 공간의 개성이 실현됨을 사례 조사 분석을 통하여 증명하였다. (결론) 자기실현은 한 사람의 의식과 무의식을 통합한 전체정신이며 진정한 의미의 개성의 실현이다. 이러한 관점은 개인의 인격뿐만 아니라 공간 디자인에도 투사된다. 아니마 아니무스를 고려한 공간 디자인을 통해서 각자 외면의 페르소나를 보완해줄 내면의 자기를 체험할 수 있는 방향성으로 브랜드 공간이 디자인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contemporary society, human beings are not just men and women but the existences with independent characters of their own. The space should not be divided into masculine and feminine ones but should be designed as a comprehensive one with independent tendencies for both of them. However, some brand spaces are decorated with persona ones that excessively symbolize visual features of a certain gender for the brand identity. Such decorated spaces may do a role to speak for the tendency of a certain feature of the brand but it would be difficult to get the authentic familarity in unconsciousness of the visitors. This study is about to prove through Carl Jung``s Anima and Animus theories that self-realization of space is realization of the authentically meaningful space character and to suppose to expand and apply them.(Method) Carl Jung``s Anima and Animus theories were gone through, as well as their social-phenomenological points of view. Based on that, it is studied that Animus theory is possibly projected not only into personality but also into brand space. Through case study, it also looked at the elements revealing visual features of opposite sexes in the space, and presented orientation of the space where masculinity and femininity are emphasized. (Results) In case study of Anima space, there was a design to express femininity inside of the space that has masculine persona, and through which women customers were able to feel comfortable and familiar inside of them. In case study of Animus space on the other side, there was a design to express masculinity inside of the space that has feminine persona. Such spacial features of opposite sexes should especially be supplemented in a brand persona space, and the case study and analysis have proved through which that the character of the pertinent space would be realized. (Conclusions) Self realization is the whole spirit where a person``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re integrated, and the authentic realization of the character. Such point of view is projected not only on an individual character but also on space design. Brand space should be designed in the direction where people can experience themselves deep inside them to supplement their own exterior persona through the spatial design considering Anima and Animus.

      • KCI등재

        질 들뢰즈의 ‘차이’를 기반으로 한 공간의 비표상성에 관한 연구

        임민택 ( Mintaek L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3

        (연구배경 및 목적)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로 나아가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공간 디자인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며 성장하고 있다. 또한, 공간은 유기체적 존재이며, 주변과의 다양한 연계성을 가지고 확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롭게 생성되는 여러 공간들이, 표상적 관점으로 복제되는 것이 아닌, 기존 공간과 차이를 갖는 비표상적인 공간으로 생성되어야 함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이에 질 들뢰즈의 철학 중 ‘차이’를 기반으로 한 비표상적 공간 가치를 정립하여, 향후 공간디자인의 방향성을 개선시키고, 다양한 변용이 이루어지는 콘텐츠 중심 공간이 생성되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질 들뢰즈의 차이와 생성의 관점을 기반으로 하여, 비표상적 가치 체계가 앞으로의 현대 공간의 디자인적 해법을 제시할 수 있음을 점검하는 연구이다. 선행 연구를 통하여 비표상적 가치 체계의 공간 특성 요소들을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공간 디자인 분석의 프레임을 구성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사례 대상 공간을 분석하여, 이의 결과로서 공간디자인 분야에서의 비표상적 가치 체계의 유효함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결과) 공간 디자인의 비표상적 가치 체계에서는 형태적, 연출적, 사건적 측면이 내포된 공간이 중요하다는 것을 선행 연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때문에, 비표상적 도시 공간 속에서 형태적, 연출적, 사건적 측면이 내포된 공간 디자인 사례를 선정하여 연속적 공간성, 시간의 내재성, 경계의 다양성을 기반으로 한 분석의 틀을 적용하여 사례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비표상적 사례 분석의 대상 공간들은 비표상적 개념 속에서의 공간 특성 요소들(연속성, 상호작용성, 이접성, 시간성, 비결정성, 가변성, 다양성, 다중감각성, 복합성)이 디자인 방법론으로써 유효한 가치임을 보여주었고. 이를 통해서 차이 생성적 공간이 향후 콘텐츠 중심 공간의 디자인 방향을 제고해 줄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론) 앞서 말한바와 같이, 공간은 유기체적 존재이고 다양한 가능성을 가지고 주변과의 관계 맺음 속에서 확장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공간 디자인의 방향성은 지속적인 생성이 가능하며, 인간을 위한 문화 지향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어야만 할 것이다. 이를 위한 비표상적인 공간 개념은 무의식적이고, 비구축적이고, 차이 생성적 공간의 담론 가치이다. 비표상적 사유에 의한 공간 특성 요소 도출과 이의 도입을 통한 공간의 활성화가 근본적인 대안 공간을 제시할 수 있는 하나의 해결 방법론이 될 수 있음을 연구, 제안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past, in the present, and in the flow of time to the future, space design is constantly changing and growing. Space is an organic existence expanding with diverse connections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intend to highlight that various newly-created spaces would need to be constituted as non-representational space different from conventional space, rather than being replicated from the perspective of representation. Thus, this study is intended to establish the non-representational space value based on the “difference”, a concept adopted from the philosophy of Gilles Deleuze, so as to improve the future course of space design and to assist in the creation of content-centric space that allows for the occurrence of various transformations. (Methods) This study examines if the non-representational value system is able to present design-based solutions for contemporary space in the future based on the concepts of difference and creation, notion in the philosophy of Gilles Deleuze. We looked into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non-representational value system by referring to preceding studies, and, based on that, formed the frame for analyses of spatial desig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se examinations, we analyzed the space of a targeted case with the intention of validating the application of the non-representational value system in the field of spatial design. (Results) From the results of a preceding study, we determined that morphological, presentational and episodic aspects in space are important considerations in a non-representational value system. In consequence of this determination, we selected cases of spatial design in urban space that contain morphological, presentational and episodic aspects and applied a framework of analysis based on continuous spatiality, temporal immanence and the diversity of boundaries. As a result, the spatial designs examined in a non-representational case analysis were found to have value as a design methodology with their focus on spatial characteristic elements (continuity, interactivity, discontinuity, temporality, non-nodosity, variability, diversity, multi-sensibility, complexity). Through these results, a conclusion was drawn that the direction of content-centric spatial design could be improved by difference-creational space in the future. (Conclusion) As mentioned earlier, the space is an organic existence that has various possibilities, and the space expands with diverse connections to its surroundings. The direction of future spatial design should be able to be generate continuously and contain culture-oriented value for humanity. The concept of non- representational space has discourse value in questions of unconscious, unstructured, and difference-creational space.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and propose a solution methodology able to provide fundamentally alternative space rendered by stimulation through deriv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spatial characteristic elements based on non-representational reasoning.

      • KCI등재

        바이오모픽 특성을 콘셉트로 활용한 공간디자인 구성에 관한 연구

        임민택 ( Mintaek L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3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의 공간 디자인은 그 실행의 과정 속에서, 목적에 부합하는 인문학적인 관점과 시대상의 반영, 장소성의 구축, 첨단 기술의 도입, 감성적 컬러 조합 등 다양한 디자인 접근 방법론을 통해서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생성되고,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러한 디자인 접근 방법론 중에서 차별화된 콘셉트의 제안이 가장 중요하다는 전제 속에서, 디자인 콘셉트의 제시를 통한 다양한 디자인 방향성의 구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디자인 요소 중에서 바이오모픽 특성을 디자인 조형 요소로서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바이오모픽 특성을 콘셉트로 활용한 다양한 공간 디자인 조형의 생성에 대해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바이오모픽에 관한 학술적 선행 연구를 통해서 디자인 분야에 관한 유효성을 점검하였고, 이를 배경으로 공간 특성의 범위를 좁혀서 세부적인 공간 특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세부 공간 요소를 조건 값으로 설정하여 간담회를 진행하였으며, 선정된 그룹을 통해서 바이오모픽 콘셉트의 조형 디자인을 네 가지 타입으로 분류하여 진행하였다. 이러한 결과 값을 대상으로 2차 간담회를 진행하여 대표 조형 이미지를 선정하여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이러한 설문을 바탕으로 각각의 조형에 대해서 분석하고, 이를 정리하였다. (결과) 바이오모픽 공간 특성 요소로서 비정형성, 역동성, 다공성, 미완결성의 네 가지 요소를 도출하였다. 각각의 세부 요소로서 비정형성은 다양성, 탈중심성, 이질성, 개방성이, 역동성은 연속성, 상호작용성, 순환성, 지속성이, 다공성은 상호침투성, 복합성, 다중감각성, 다면표피가, 미완결성은 시간성, 비결정성, 가변성, 수용성이 도출되었다. 또한 간담회를 통해서 이를 조건 값으로 각각의 디자인 조형 4개씩, 16개 조형을 결과 값으로 디자인하여 분석하였다. (결론) 바이오모픽이라는 관점이 디자인 분야에서 유효한 가치가 있음을 점검하고, 이를 학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도출된 조형 실험의 디자인들이 대학 교육을 받고 있는 디자인 전공 학생들에게 어떻게 인지되고 있는지를 교육적으로 체계화 시켜서 정리하였다. 다양한 콘셉트의 조형 실험과 도출된 조형 결과물들의 도입을 통한 공간의 다변화가 보다 더 나은 공간 디자인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론이 될 수 있음을 제언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Contemporary spatial design has been created and developed as the design differentiated on the basis of various design approaches, such as the perspectives of humanities or liberal arts suited for the purpose, reflection of the times, embodiment of placeness placement, introduction of cutting-edge technologies, combination of emotional colors, etc., in the course of its implementat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orientation of various designs by presenting various design concepts on the premise that the proposal of differentiated concepts would be the most important among such approaches of design. For that, we intended to use the bio-morphic biomorphic characteristics as the formative artistic elements of design among various design elements, and on the basis of that, consider the creation of various formative features of spatial design using the bio-morphic biomorphic characteristics as concept. (Methods) We examined the validity related to the field of design through academic preceding studies on bio-morphic biomorphic, on which basis the detailed spatial characteristic elements were identified by narrowing the scope of spatial characteristics. The detailed spatial elements, identified in that way, were set as the conditional values, and through that, the meeting was held. Based on the selected groups, the formative designs adopting the bio-morphic biomorphic concepts were classified into 4 four different types. For those resulting values, the second meeting was convened, where the most typical formative images were selected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each formative image was analyzed and compiled. (Results) The 4 four elements (Atypicality, Dynamicity, Porosity, and Incompletion) were derived as the elements of biomorphic spatial characteristics. Each of those specific elements were the diversity, de-centeredness, heterogeneity, openness for Atypicality. Dynamicity has continuity, interactivity, circularity, persistence as a sub-element. Porosity has inter-penetration, complexity, multi-sentience, multiple-layersedness as a sub-element. And Incompletion has temporality, amorphousness, variability, receptivity repetitiveness as a sub-element. Using those as the conditional values, 4 four formative images and 16 formative images of each design were designed and analyzed as the resulting value through the meet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bio-morphic biomorphic perspective was effective in the field of design, which was then examined academically. Through that, we established systematically from educational viewpoint as to how the derived formative experimental designs were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esign. We proposed the recommendation that diversification of space, achieved through the formative experiments of various concepts and the introduction of derived formative results, could be used as a methodology for presenting better spatial design.

      • KCI등재

        메모리 분석 기반의 암호화폐 트랜잭션 정보 추출 방안 연구

        임민택(MinTaek Lim),강정윤(JeongYoon Kang),박준성(JunSung Park),이문규(MoonGyu Lee),정현덕(HyeonDeok Jeong),서정택(JungTaek Seo)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2022 디지털 포렌식 연구 Vol.16 No.1

        암호화폐는 P2P 네트워크에서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채굴되며, 채굴자를 포함한 네트워크 참가자들은 거래소를 통하여 현금화하기도 한다. 익명성을 보장하는 암호화폐의 특성상 범죄 자금의 은닉 및 세탁에 자주 사용되며 특히 암호화폐를 직접 점유 및 소유할 수 있는 하드웨어 지갑의 사용률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하드웨어 지갑 사용을 분석하고 추적하기 위한 포렌식 도구가 없기 때문에 암호화폐와 관련된 수사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하드웨어 지갑 사용의 추적 및 분석을 위해 디스크와 메모리에 기록된 암호화폐 거래 관련 아티팩트를 분석하고 이를 추출하는 포렌식 도구를 개발 및 제안한다. 추출된 암호화폐 거래 행위를 분석하는 것은 디지털 포렌식적으로 유의미한 자료가 될 것이며, 이러한 하드웨어 지갑의 아티팩트들은 암호화폐 추적 관련 수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ryptocurrency is mined according to a cryptographic algorithm in a P2P network, and network participants, including miners, sometimes cash out through exchanges. Due to the peculiarity of cryptocurrencies that guarantee anonymity, they are often used for hiding and laundering criminal funds, and in particular, the usage rate of hardware wallets that can directly occupy and own cryptocurrencies is increasing. However, there are no forensic tools to analyze and track the use of these hardware wallets, it is difficult to investigate cryptocurrency. Therefore, in this paper, we develop and propose a forensic tool that analyzes and extracts artifacts related to cryptocurrency transactions recorded on disk and memory for tracking and analysis of hardware wallet usage. Analyzing the extracted cryptocurrency transaction behavior will be a meaningful digital forensic data, and these hardware wallet artifacts can be utilized for investigations related to cryptocurrency tracking.

      • 다이카바메이트 합성 반응에서의 조촉매로써의 이온성 액체의 활성과 반응 후 조촉매 회수

        임민택(Mintaek Im),임정애(Jung Ae Lim),한슬기(Seulgi Han),허일정(Iljeong Heo),이진희(Jin Hee Lee) 한국에너지기후변화학회 2021 한국에너지기후변화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1

        다이아민 산화 카보닐화 반응은 다이카바메이트 직접 합성의 한 반응으로써, 이산화탄소 개질을 통해 생성된 일산화탄소와 수소를 모두 활용할 수 있는 반응 경로임과 동시에, 기존 포스겐 활용이 필수적인 다이이소시아네이트 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반응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다이카바메이트 합성메커니즘에는 할라이드 계열 조촉매가 필수적으로 관여하지만, 지금까지 보고된 연구에서는 활용후 조촉매를 회수 후 재활용하려는 시도는 제안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무기염 대신 할라이드 기반의 다양한 이온성 액체를 다이카바메이트 합성 반응의 조촉매로 활용하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반응 후 활용 조촉매 회수 방법을 확인하고, 이를 활용하여 반응 활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