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콘텐츠의 기능과 ‘사회콘텐츠’

        임대근(Daegeun Lim)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4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8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term, cultural contents have given rise to the discourse of ‘humanities contents,’ addressing the need to articulate their own concepts. This term has become a pivotal aspect in cultural contents studies, fostering interdisciplinary discussions such as humanities informatics, cultural industry and humanities, cultural technology and humanities, cultural archetypes and digital contents, humanistic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Wave, humanities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training, humanistic storytelling, urban regeneration and humanities contents, and digital humanities. These discourses serve as crucial core concepts for planning, explaining, and forecasting cultural contents. However, in the process of aligning cultural contents with humanities contents, the accomplishments of modern scholarship on culture have not been fully embraced. Cultural contents should inherit concepts and categories from art, culture in the social sciences, and popular art/popular culture in the interdisciplinary field, while also generating original categories. To achieve this, cultural contents should establish a discourse on ‘social content.’ To accomplish this, it is essential to first identify the functions of cultural contents, which encompass responsibilities for entertainment and play, information and knowledge, community maintenance, and the transmission of cultural heritage. Social content leads us to perceive cultural con?tent as relationship-centered. This perception is possible because cultural content, unlike popular culture, is characterized by multiple productions mediated through platforms, simultaneous mediation, two-way distribution, and reversible enjoyment. Social contents constitute a subject-other discourse, with one of its vital functions being ‘care.’ Examples like Mr. Trot and Baby Shark highlight the potential of ‘caring content.’ This concept can be instrumental in expanding the role of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 ethics and sociality of ‘care’ acts. 문화콘텐츠는 용어의 태동과 더불어 자신의 개념을 충족해야 할 필요를 해결하기 위해 ‘인문콘텐츠’ 담론을 만들어왔다. ‘인문콘텐츠’는 문화콘텐츠연구의 핵심 담론이 되었다. 인문정보학, 문화산업과 인문학, 문화기술과 인문학, 문화원형과 디지털콘텐츠, 한류의 인문학적 해석, 인문콘텐츠 교육과 인력 양성, 인문학적 스토리텔링, 도시재생과 인문콘텐츠, 디지털인문학 등 방계 담론을 형성했다. 이들은 문화콘텐츠를 설명⋅기획⋅전망하는 중요한 핵심 개념으로 작동했다. 그러나 문화콘텐츠를 인문콘텐츠로 등치하는 과정에서 문화에 대한 근대 학문의 성과가 온전히 계승되지 못한 측면도 있다. 문화콘텐츠는 예술의 층위, 사회과학 층위의 문화, 학제적 층위의 대중예술/대중문화라는 개념과 범주를 계승하면서 또한 독창적 범주를 만들어 가야 한다. 이를 위해 문화콘텐츠는 ‘사회콘텐츠’ 담론을 형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문화콘텐츠의 기능을 확인해야 한다. 문화콘텐츠는 오락-유희 기능, 정보-지식 기능, 공동체 유지 기능, 문화유산 전승 기능 등을 담당한다. 사회콘텐츠는 문화콘텐츠를 관계 중심으로 사고하게 한다. 이는 문화콘텐츠가 대중문화와 달리 복수의 생산물이 플랫폼을 통한 매개, 동시적 매개, 양방향 유통, 가역적 향유의 특성을 갖기 때문에 가능하다. 사회콘텐츠는 주체-타자 담론을 형성한다. 그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돌봄’이다. <내일은 미스터트롯>, <아기상어>는 ‘돌봄콘텐츠’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다. 돌봄콘텐츠는 ‘돌봄’ 행위가 갖는 윤리성, 사회성을 바탕으로 문화콘텐츠의 역할을 확장하는 중요한 개념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용어 한류(韓流)의 기원

        홍유선 ( Yooseon Hong ),임대근 ( Daegeun L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이 글의 목적은 ‘누가, 언제, 어디서’, 한류(韓流)를 사용하기 시작했는지에 대한 답을 제공하는 것이다. 용어 한류(韓流)가 등장한 지 20년이 되었지만, 기원의 정확한 정보 부재로 후속 연구자와 대중은 혼란을 겪고 있다. 이 상황의 해결을 위해 이 연구는 다섯 가지 절차로 용어 한류(韓流)의 기원을 탐구했다. 첫째, 각 인터넷 백과사전 간 비일관성이 나타나는 원인을 분석했다. 둘째, 선행연구의 오류와 그 원인을 분석했다. 셋째, 가장 이른 시기를 주장하는 연구자를 인터뷰해 1차 자료를 요청했다. 넷째, 답변의 진위 확인을 위해 1954∼1999년 대만에서 발행된 일간지를 수집했다. 다섯째, 이 중 대중문화와 경제 현상용어 한류(韓流)가 기재된 일간지 기사를 분류하여 최초 등장사례를 발췌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중문화 용어 한류(韓流)는 1998년 12월 17일 대만 『연합만보(聯合晩報)』에서 기원했다. 둘째, 경제 현상 용어 한류(韓流)는 1997년 12월 12일 대만 『중국시보(中國時報)』에서 기원했다. 이 연구결과는 독자의 정확한 이해를 돕고 한류(韓流) 연구의 기초토대를 정립한 것에 의미를 둔다. 그러나 이 연구는 용어 한류(韓流)가 ‘어떻게, 왜’ 등장했는지를 밝히지 않았다. 이는 후속연구에서 다룬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answers on ‘who, when, where’ to started using Hallyu. The term Hallyu has been around for 20 years, but subsequent researchers and the public are confused by the lack of accurate information on beginning. To solve this situ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beginning of the term Hallyu through five procedures. First, we analyzed the cause of inconsistency between each Internet encyclopedia. Second, we analyzed the errors and causes of the previous research. Third, we interviewed a researcher who argued the earliest time, and asked for the first data. Fourth, in order to confirm the authenticity of the answer, we collected daily newspapers published in Taiwan from 1954 to 1999. Fifth, among these, we classified articles described the term Hallyu as popular culture and economic phenomenon, and extracted the first appearance cases. As a result, this article asserts the following. First, the term Hallyu in Korean pop culture began with an article on December 17, 1998, United Evening News in Taiwan. Second, as the term of economic phenomenon, the Hallyu appeared on December 12, 1997 in the article of China Times in taiw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t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readers an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 Hallyu research. However, this study did not reveal ‘how, why’ the term Hallyu appeared. This is covered in a subsequent study.

      • KCI등재

        IoT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사례 연구: 심플랫폼 창업과 성장

        박민혁(Minhyuk Park),박소현(Sohyun Park),임대근(Daegeun Lim),이정우(Jungwoo Lee) 한국경영학회 2021 Korea Business Review Vol.25 No.2

        여러 산업분야에 걸쳐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패러다임의 변화가 이루어지며 IoT와 AI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들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제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IoT와 AI가 도입되면서 고유의 영역으로 분리되었던 제품과 서비스가 과거와는 달리 서로 융합되어 서비타이제이션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는 COVID-19로 인해 비대면 중심으로 급격하게 전환이 되면서 그 변화의 속도가 더 빨라지고 있다. 본 논문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는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고 있은 IoT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여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 있는 기업인 심플랫폼의 창업과 성장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심플랫폼의 설립 배경에서 시작하여 IoT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인 ‘누비슨 IoT’를 기술적으로 분석하고. 이와 관련하여 개발되고 진화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새로운 서비스들의 활용 사례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심플랫폼은 기존 산업용 장비, 유통과 관련된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다양한 산업군에서 다방면으로 기여할 수 있는 IoT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누비슨(NUBISON) IoT’를 제공하고 있다. COVID-19가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현재에는 비대면 의료 서비스, 헬스케어와 관련된 서비스에도 주력하면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들을 준비하고 있다. IoT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의 시장이 현재 시작 단계이지만, 활용 사례들을 종합 분석하여 앞으로의 발전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본 사례연구는 정보통신기술로 인한 변화를 겪고 있는 현재의 비즈니스들이 바라보고 있는 IoT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으로하는 플랫폼 비즈니스를 하는 기업들 뿐아니라 기술적으로 그리고 실무적으로 이러한 서비스들을 활용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들을 예시하고 이에 관한 통찰을 제시하는 데 그 의미가 있다. Paradigm shifts have taken place across various industries, and services based on IoT and AI have begun to be introduced. With the introduction of IoT and AI, which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roduct, servitization of traditional products is occurring extensively. The pace of this digital transformation is being accelerated by the outbreak of COVID-19. This case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Simplatform, a company that focuses on services through the IoT cloud service platform. The technological background of the Nubison IoT platform is introduced here with accompanying business models, and real cases of service development. Simplatform is partnering with incumbent companies of industrial equipment manufacturers and distributors, in providing services through the Nubison IoT. Simplatform is also preparing to take a new turn by focusing on non-face-to-face medical services and healthcare-related services. Though the IoT cloud service platform market is at its early stage, the use cases and current social trends suggest the potential for future development. The case analysis presented here may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difficulties and decisions involved in developing new businesses using new technology for future mark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