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검진자료를 활용한 건강점수 산출 방법에 관한 연구

        이찬중,조인산,우현기,임유리,박철형,Lee, Chanjung,Jo, Brian,Woo, Hyunki,Im, Yoori,Park, Chul Hyo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6 No.12

        This study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health score(HS) calculation methodology and results. HS is an index that scores the degree of personal health by applying clinical standards and statistical function to health check-up items. It's calculated by the total size of the biomarker on the health change, the influence on the health change, the weight change rate according to the degree of outlier, and the standardized value. In order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results, several diseases were selected and HS was compared between the disease occurrence group and the disease absence group. And by segmenting the ranked HS, the disease incidence rate was compared. As a result, in all selected diseases, the difference in the mean of HS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ease, and the incidence of selected disease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as HS decreased.

      • KCI등재

        머신러닝을 활용한 산불발생예측모형 개발과 과제

        이찬중(Chanjung Lee),임무영(Mooyoung Lim),이요한(Yohan Lee)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산불기간 동안 국내 산불발생을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모델링 방법으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Gradientboost, Randomforest 등의 앙상블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산불데이터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오버샘플링 기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을 활용하여 2020년 전국 산불기간 산불발생을 예측한 결과 전체 333건의 산불 중 239건의 산불을 예측했으며 예측정확도는 약 71.8%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 산불기간 동안 발생한 산불은 기온, 습도, 강수량 등 기후 요인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였다. 반면 강원도에서는 기후요인 이외에도 농지 밀도와 ha당 재적이 산불발생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첫째, 산불발생을 시·군·구 단위의 지역별로 나타내면 산불기간 동안 산불이 발생하는 지역보다 발생하지 않는 지역이 많아 데이터 값의 불균형이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오버샘플링 기법을 통해 데이터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국내 산불정책은 행정구역으로 구분하여 예방 및 진화활동을 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행정구역 단위의 산불발생 예측 및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행정구역 단위에서 적용 가능한 산불발생예측모형을 제시하였다는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odel that predicts domestic forest fire occurrences during fire outbreak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the modeling method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ensemble techniques, such as gradient boost and random forest, were used while the oversampling technique was utilized to address the imbalance problem of the forest fire data.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predicted 239 out of 333 forest fire occurrences during the nationwide forest fire period in 2020 with a prediction accuracy of approximately 71.8%. Forest fires that occur during such periods are highly influenced by different factors affecting the climate,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precipitation. In Gangwon-do, in addition to these factors, a high correlation between farmland density and stem volume per hectare has also been associated with increased forest fire occurrenc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presents a customized wildfire occurrence prediction model that can be used in the administrative parts, which serve as the basic centers for wildfire prevention, of provinces and cities across the country.

      • 버섯재배사 원격 환경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개발

        이성현 ( Sunghyoun Lee ),유병기 ( Byeongkee Yu ),이찬중 ( Chanjung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1

        오늘날 시장에 유통되는 버섯은 대부분 환경이 조절되는 시설 내부에서 재배된다. 버섯은 다른 식물과 달리 버섯의 종류, 품종 등에 따라 요구되는 환경이 매우 다르다. 특히 대부분의 버섯은 버섯이 생육되는 공간의 온도, 수분, 이산화탄소, 조도 등의 관리가 필수적이다. 버섯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이들 버섯이 필요로 하는 환경을 버섯의 생육특성에 따라 적합하게 유지해 주어야만 한다. 현재 대부분의 버섯재배사에는 이들 환경을 컨트롤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시스템의 환경 설정은 농업인이 현장에서 버섯의 상태를 확인 한 후 그때그때 경험에 의해 채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환경설정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다 보니 버섯을 재배하는 기간에는 농업인이 재배사 내부의 환경을 관리하기 위해서 항상 버섯재배사에 머물러야 하고, 재배사의 환경관리 때문에 원거리 또는 장기 출타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람이 버섯재배 현장에서 컨트롤하던 환경관리를 원격에서 컴퓨터 또는 모바일로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환경은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배기팬 및 입기팬의 가동 등 버섯재배 환경관리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들 관리 요소는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에 접속하여 버섯재배사의 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고 필요에 따라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컴퓨터에서 볼 수 있는 환경을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볼 수 있고 또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버섯배지를 입상 한 후부터 수확시기까지의 관리환경을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 농민이 버섯배지를 입상하고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한 제어가 되도록 설정하면 버섯재배사 내부의 환경은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읽어 들여 버섯의 생육단계에 따라 자동으로 내부환경이 제어되도록 하였다. 또한 농업인이 원격에서 버섯재배사 내부 버섯의 생육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재배사 상부에 CCD 카메라를 달아 실시간으로 버섯의 생육상활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사용하면 버섯재배 경험이 없는 농업인도 경험자와 같은 재배관리가 가능하고 원격에서 재배사 내부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 할 수 있기 때문에 농업인이 재배사에 매여 있지 않아도 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