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자율성지지, 사회적지지, 성취정서와 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

        이진령(Lee, Jin-Young),윤소정(Yoon, So-jung),강승희(Kang, Seung-hee)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율성지지, 사회적지지, 성취정서와 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를 점증하는데 있다. 그리고 자율성지지와 사회적지지가 성취정서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고자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으며,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자율성지지, 사회적지지는 긍정정서에 정적으로, 부정정서에 부적으로 영향을 주었으며, 성취정서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성취정서는 긍정정서는 학업성취에 정적으로, 부정정서는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를 통해 자율성지지와 사회적지지는 성취정서를 형성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이후의 학업성취에도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성취정서의 환경요인의 중요성을 검증한 데 그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is to explor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utonomy support, social support, achievement emo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And to examine whether autonomy support and social support influence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achievement emotion. Method: We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Sobel-tes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utonomy support and social support provide positive effects with positive emotions. And achievement emotion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autonomy support and social support have influences on the achievement emo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reveal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f achievement emotion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

        대학원 교육의 환경적・교육적 요인과 대학원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이진령(Lee, Jin-Young),박강현(Park, Kang-Hyun),김비아(Kim, Bia)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원 교육의 환경적․교육적 요인과 대학원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환경적 요인과 대학원 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육적 요인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각 변인의 성별 계열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 설정하여 적합도를 살펴보고, Bootstraping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분석결과 여학생은 교육과정, 강의, 장학지원, 인권, 대학원 만족도변인 모두 남학생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계열에 따른 차이분석결과 장학지원은 공학 및 자연계열이 인문사회계열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대학원만족도는 공학계열이 인문사회, 자연계열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대학원의 교육적・환경적 요인과 대학원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육적・환경적 요인은 대학원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며, 환경적 요인은 교육적 요인을 매개로 대학원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대학원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장학지원과 인권보장과 같은 안정적 수학 환경을 조성하고, 교육과정, 강의와 같은 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was to understand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environmental and educational factors of graduate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tried to verify that the educational factors have a medial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satisfaction of graduate education.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a total of 652 people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Results: Femal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lectures, scholarship support and human rights were all low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It was observe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lectures, scholarship support and human rights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jor groups. Conclusion: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graduate educa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create a stable environment such as scholarship support and guarantee of human rights, an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such as curriculum and lectures.

      • KCI등재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학교행복감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종단매개 효과

        이진령(Lee, Jin Young),강승희(Kang, Seung-hee)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주도학습,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행복감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부산교육종단연구(BLES)의 데이터 중 1~3차년도(2016년~2018년)의 자료를 활용하여 총 3,03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 상관분석,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변인들의 종단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행복감의 초기값과 변화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시간이 경과 할수록 변화의 속도는 느려졌다. 둘째,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학습 초기값은 학업적자기효능감 초기값과 학교행복감 초기값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었다. 자기주도학습 변화율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초기값에는 부적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변화율, 학교행복감 초기값, 학교행복감 변화율에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초기값은 학교행복감 초기값에 부적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변화율은 학교행복감 변화율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학습과 학교행복감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학교행복감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종단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longitudinal mediation of self directed learning through academic self efficacy on their school happiness. Method: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038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data from the 1st to 3rd years(2016 to 2018) BLES panel data. To do this,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was appli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initial value and rate of chang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 directed learning, academic self efficacy, school happines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s time passed. Second, the initial value of self-directed learn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initial value of school happiness. The rate of change in self-directed learning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self-efficacy. The rate of change in self-directed learn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self-efficacy, the initial value of school happiness, and the rate of change in school happiness.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self-efficacy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school happiness.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in school happiness. Third, these results supported the longitudinal partial-mediation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influ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to school happines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erified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school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대학원생 핵심역량 검사도구 개발 : P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진령(Lee, Jin Young),윤소정(Park, Kang Hyun),박강현(Yune, So J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P대학의 대학원 인재상과 고등교육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대학원에 적합한 핵심역량을 선정하고 이를 측정하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대학원생 핵심역량 검사의 문항 개발을 위하여 대학원생 핵심역량과 관련된 선행연구 및 대학원 인재상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대학원생 핵심역량의 구성요인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예비문항을 구성하여 전문가 검토와 예비조사를 거쳐 최종 55문항을 구성하였으며, 본 조사를 통해 최종 49문항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핵심역량 측정 문항을 Cronbach s ⍺계수, 요인분석 및 상관분석을 거쳐 타당도와 신뢰도를 입증하였다. P대학교 일반대학원에 재학하고 있는 석사과정과 박사과정 학생 총 187명을 대상으로 예비문항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조사에는 P대학교 일반대학원에 재학생 698명의 설문 결과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그 결과 대학원생 핵심역량 검사도구는 통섭적 지식탐구역량 5문항, 창의적 지식활용역량 12문항, 공생적 리더역량 13문항, 글로벌 연구역량 11문항, 사회적 리더역량 8문항으로 최종 구성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는 대학원생 핵심역량을 정의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는 이후 대학원 교육의 성과를 논의하고, 향후 교육의 방향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core competencies suitable for graduate school based on the talents of P university and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for higher education. And we wanted to develop an inspection tool to measure these competencies. Method: In order to develop the core competency test for graduate students, the researcher review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core competencies of 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d talents, and extracted the components of the core competencies of graduate students. In addition, the final 55 questions were made through expert review and pilot testing. The final 49 questions were derived through main survey. Results: As a result, the core competency test tool for graduate students included 5 questions of consilience knowledge explore competency, 12 questions of creative knowledge utilization competency 13 questions of symbiotic leader competency, 11 questions of global research competency, and social leader competency comprised of 8 question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developing a test tool to define and measure the core competencies of graduate students. These results will help to discuss the outcomes of postgraduate education and to set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권민성(Min-seong Kwon),강승희(Seung-hee Kang),이진령(Jin-young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9 No.1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평가염려 완벽주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중학생 402명을 연구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평가염려 완벽주의, 내면화된 수치심, 학업지연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AMOS 25.0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평가염려 완벽주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학업지연행동에 정적인 상관을 보였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학업지연행동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평가염려 완벽주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학업지연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평가염려 완벽주의를 매개하여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업지연행동 사이에 내면화된 수치심은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학업지연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내면화된 수치심은 학업지연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의의 및 한계를 서술하였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Internalized Sham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402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by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using a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scale, a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scale, an Internalized Shame scale, and an Academic Procrastination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5.0 and AMOS 25.0 as follows. First, the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data concerning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linked to both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 Academic Procrastin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was not a mediating effect for Internalized Shame.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