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henylhydrazine으로 유발된 흰쥐의 용혈성 빈혈에 미치는 삼칠근(三七根)의 효과

        이재열,이장훈,Lee, Jae-Youl,Lee, Jang-Hoon 대한한방내과학회 2011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2 No.1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nax notoginseng(SCG) on phenylhydrazine (PHZ)-induced hemolytic anemia in rats. Materials and Methods : Rats were divided equally into 3 groups (Normal, Control, SCG). Anemic model rats (Control, SCG) were induced by the treatment of PHZ (40mg/kg/day, i.p.) for 3 days. Red blood cell, hemoglobin, reticulocyte count, mean corpuscular volume, mean corpuscular hemoglobin, and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were determined on days 0, 4, 7 and 10. Body weight was investigated on days 0, 2, 4, 6, 8, 10 and weight of spleen was measured on day 10. Results : In the SCG group,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RBC was found on day 4 and higher concentration of Hb on days 4, 7 and 10. Furthermore, reticulocyte count was dramatically lower on day 10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G may be beneficial in the treatment of hemolytic anemia.

      • KCI등재

        인문지리학에서 도시농업 연구의 현황과 과제: 영어권 문헌을 통한 고찰

        이재열 ( Jae-youl Lee ) 한국지리학회 2018 한국지리학회지 Vol.7 No.2

        도시농업의 대중화로 정책적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학문적 탐구가 우리나라 인문지리학자들 사이에서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에 있다. 경험적 연구가 일부 존재하지만, 기존 문헌에서는 탐구의 초점과 방향을 적절하게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보다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 중인 영어권의 도시농업 관련 문헌을 검토하고 문제점을 비평하여 우리나라 사정에 적합할 것으로 기대되는 연구의 방향성 하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우선 관련 문헌을 폭넓게 살피며 도시농업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거시적 차원에서 국가 및 지역 간에 존재하는 다양성을 출현의 맥락, 제도적 환경, 실천의 양상 등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인문지리학 문헌에 초점을 두고 연구 동향을 살펴 현재의 도시농업 연구가 장소, 영토성, 스케일을 둘러싼 정치 과정에 몰두하고 있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런 형식의 연구가 도시농업의 정치적 잠재력과 한계를 동시에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기여를 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장소성과 영토성에 몰두한 나머지 도시농업의 성립과 변화에서 지식, 정보, 기술, 정책 등의 전파와 이전 효과를 제대로 이해하고 설명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표출하고 있다. 그래서 장소/영토성/스케일 차원의 정치에서 탈피해 관계의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도시농업을 탐구해 볼 필요성을 제시했다. 우리나라 도시농업 발전에서는 초국적 벤치마킹, 학습, 수정적용 등의 역할이 중요하고, 수용 모델의 적용을 둘러싼 경쟁, 경합, 협상의 정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Urban agriculture is becoming a popular phenomenon and its policy relevance is increasing in Korea, but little research has been undertaken among human geographers in the country. Existing literature has yet to propose any analytical focus and direction adequate to specific circumstances of Korean urban agriculture. This article is designed to address the knowledge gap by reviewing related literature published in English. Through a broad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the concept of urban agriculture is clarified and cross-national and inter-regional diversity in terms of emergent contexts, institutional settings, and practice types are also outlined and compared in the beginning. Then, a more focused review of human geographic literature helps finding that researchers are immersed in place, territoriality, and scalar politics. These studies mak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understanding of urban agriculture’s political potentials and limits, but their over-emphasis on place, territoriality, scalarity acts as an hindrance to the examination of how the emergence and the evolution of urban agriculture is influenced by the circulation of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policy, and associated political processes.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calls for a shift of analytical attention towards relational politics beyond place/territorial/scalar politics. Such an analytical reframing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Korea because trans-local/transnational benchmarking and associated politics of competition, contestation, and negotiation have been crucial to the recent resurgent of urban agriculture in the country.

      • KCI등재

        미국 위스콘신주 매디슨시 바이오산업의 지역우위 구축 과정: 줄기세포 분야를 중심으로

        이재열 ( Jae-youl Lee ) 한국지리학회 2016 한국지리학회지 Vol.5 No.3

        본 논문은 지역발전에 관한 진화 및 제도주의적 관점을 바탕으로 미국 위스콘신주 매디슨에서 줄기세포 바이오산업 분야에 `구성된 우위(constructed advantage)`를 검토하였다. 구성된 우위는 제도적으로, 정책적으로 마련된 지역발전의 조건으로 정의되고, 이를 살피기 위하여 우선 위스콘신주립대학이 `위스콘신 사상(The Wisconsin Idea)`을 바탕으로 `기업가 대학(entrepreneurial university)`으로 발전하는 과정을 역사적으로 탐구한다. 그리고 그러한 대학의 성격이 매디슨 지역에서 줄기세포와 재생의료분야의 지식 생산과 혁신 창출에 중요한 제도적 근간이 되었음을 밝힌다. 한편, 줄기세포 기술 상용화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지역의 제도적 발전상도 기술하였는데, 특히 위스콘신대학에서 발생한 줄기세포 연구의 상용화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최근의 주정부의 정책을 강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제도-기술 상호작용`이 출현기술(emerging technology)과 지식 기반의 지역발전 분석에서 중요한 측면이 될 수 있다고 제시했다. Built upon an evolutionary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 on regional development, this article examines regionally `constructed advantage` for the stem cell biotechnology sector in Madison, Wisconsin, USA. Constructed advantage can be defined as a regional development condition that is supported by local institutions and policy. For the understanding, the case study historicizes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as an `entrepreneurial university` on the basis of `The Wisconsin Idea` in the beginning, and then highlights the role of the university as the institutional foundation of knowledge generation and innovation in the city-region`s stem cell sector. In addition, the study also outlines recent local and regional institutional development aiming at promoting the commercial use of stem cell technologies, with particular emphasis on state policy measures aimed to promote the commercial development of major progresses in stem cell research at the University. The article`s findings suggest that the `institution-technology` interplay be an important aspect of knowledge-based regional development,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emerging technology.

      • KCI등재

        기업가형 대학과 지역혁신체계에 관한 소고

        이재열 ( Jae-youl Lee ),이길재 ( Giljae Lee ) 한국지리학회 2018 한국지리학회지 Vol.7 No.3

        최근 한국 사회의 공간정책에서 국토균형발전의 목표가 또 다시 중심에 서게 되면서 ‘지역혁신’에 대한 학문적, 정책적 관심도 커지고 있다. 아울러, 지역혁신에서 대학의 역할 또한 재조명되고 있다. 이를 배경으로 본 논문에서는 ‘지역혁신체계’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대학과 연계 속에서 지식기반 지역경제를 탐구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우선 지역혁신체계 담론의 성격과 진화를 살피며 기업, 제도, 지역에만 몰두하며 대학의 역할을 경시했던 초기 연구의 한계를 파악하고, 동일한 문제가 지식 창출 조직과 지식 활용 조직 사이에 위치한 ‘매개체’의 역할에 주목하며 ‘제도형’과 ‘기업가형’ 지역혁신체계 간의 차이를 강조하는 보다 최근의 연구동향에서도 완벽하게 해결되지 않았음을 발견한다. 그리고 그와 같은 문제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고등교육 분야의 ‘트리플-힐릭스’ 논의에서 찾는다. 여기에서는 기업가형 대학의 역할이 강조되며, 동시에 대학-기업-정부의 상호작용에 의한 조직 혁신과 지역발전 간의 관계도 논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여, 본 연구자들은 지역혁신체계와 트리플-힐릭스 사이의 절충적 조합을 도모하면 지역발전의 새로운 ‘경로창출’을 추구하는 ‘부상지역’에 대한 경험적 분석 및 정책적 참여의 심도가 깊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While the goal of balanced territorial development in spatial policy is on the re-rise in Korea, both academia and policy circles pay growing attention to ‘regional innovation’. They are also endeavoring to shed new lights on the role of university in regional innovat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is designed to offer a critique on the studies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s (RIS)’ and propose a way to examine and understand knowledge-based regional economies in association with university in action. For the purpose, this article reviews the RIS studies, and finds that early studies’ analytical interest was focused largely on firms, institutions, and regions, with little attentiveness to the role of university. The same analytical gap is still found in more recent studies, which put emphasis on the differences between ‘institutional’ and ‘entrepreneurial’ RIS with attention to the nature of ‘intermediaries’ between the subsystems of knowledge generation and knowledge exploitation. Then, we find a clue for the solution from the studies of ‘triple-helix’, which stresses on the role of ‘entrepreneurial university’ and the effect of university-business-government interactions on knowledge-based regional development. We expect that an eclectic employment of RIS and triple-helix could help deepen our knowledge about ‘path creation’ development trajectories in ‘emerging regions’.

      • KCI등재

        논문 : 도시 건축물의 상징, 논란, 그리고 일상적 실천들: 비판건축지리학 관점에서 기술하는 서울 한강의 노들섬

        이재열 ( Jae Youl Lee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5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8 No.3

        본 논문은 ‘비판건축지리학’ 관점을 통해 서울 한강 노들섬의 다양한, 그래서 분석적 일반화가 거의 불가능한 일상적 실천들을 ‘비재현적’으로 기술하고자 노력을 한다. 비판건축지리학은 정치경제학 및 기호학적 해석, 분석, 그리고 재현에만 초점을 둔 소위 ‘신문화지리학’을 비평하며 2000년대 초반에 등장했고, 도시 건축물과 관련된 다양한 일상적 실천들을 선험적으로 규정된 인식론에 구애받지 않고 가감없이 보여주려 하는 탈구조주의적 시도이다. 이 관점의 큰 장점은 연구자가 ‘신의 눈’을 가진 엘리트주의적 입장을 탈피해, 낮은 곳에서 건축과 관련된 다양한 삶에 동참하며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최근, 행위자-네트워크론과 수행성이론 등 비재현 관점을 접목해 건축의 물질성과 연관된 ‘수행성’ 및 인간 ‘주체’ 형성과정 이해의 단초를 제시하기도 한다. 이 관점에서 본 논문은 노들섬 사용 현실의 뒤죽박죽함 가운데, 다양한 비/수행적 주체 형성과정의 일상들을 목격하고 기술한다. 이를 통해, 비판건축지리학이 내적으로는 신문화지리학의 맹점을 극복하고, 외적으로는 한국 사회에서 만연한 도시 건축의 상징주의 행태를 비평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수 있을 만한 한 가지 관점이라고 제시한다. This article built on the critical architectural geography is an experimental and non-representational attempt to describe ordinary building practices, which take place in Nodeulseom, Seoul, and which defy any analytical generalization. The perspective emerged in the early 2000s by critiquing architectural semiotics ‘new’ cultural geographers pursued. Its advocates are endeavoring to present a variety of ordinary building practices, sidelining from a priori political economic and semiotic representation, The approach helps the researcher avoid any elitist ‘god-eye’ view, and instead explore and participate in the diverse and differentiated intermingling of building and ordinary lives from an on-the-ground perspective. Its association with non-representational perspectives, such as actor-network theory and performativity, also enables the examination of embodied performances and subject formations in relation to the socio-material constitution of architecture. From this perspective, this article describes my ethnographic witnesses of performative and non-performative ordinary building practices at Nodeulseom and their association with subject formations, amidst messy realities. On the basis of the observations, this article reaffirms the value of critical architectural geography in overcoming blindspots in architectural semiotics, and also suggests that it may offer a new lens that Korean urban geographers are able to critically reexamine architectural symbolism, which politicians and design professionals are obsessed with.

      • KCI등재
      • 다변성의 시대 아래 본회퍼의 제자적 공동체운동을 통해서 본

        이재열(Lee, Jae-Youl) 계명대학교 동서신학연구소 2021 동서신학 Vol.4 No.1

        This article is about the methodology that churches and Christians should pursue to protect their unique Christian identity and piety in an era of collapse of communication and a shift in values, which was thought to be absolutely maintained due to the COVID-19 pandemic, Bonhoeffer's Discipleship Community Movement The intention is to interpret the This article attempts to view the discipleship training as claimed by Bonhoeffer on the concept and training method of the discipleship community that follows Christ created through holy training by comparing the holy discipleship community with the formal religious community. 이 글은 covid19 펜더믹으로 인해 그동안 절대적으로 유지되리라고 생각했던 소통의 붕괴와 가치관 전환의 시대에 교회와 그리스도인이 기독교 고유의 정체성과 경건성을 지키기 위해 추구해야 할 방법론을 본회퍼의 제자적 공동체 운동을 위주로 해석해보려는 의도이다. 이 글은 경건한 제자 공동체와 형식적인 종교 공동체를 비교함으로써 경건훈련을 통해 만들어지는 그리스도를 따르는 제자공동체의 개념과 훈련방법에 관하여 본회퍼가 주장한 제자훈련의 관점으로 보고자 한다.

      • KCI등재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담론의 진화

        이재열(Jae-Youl Lee) 대한지리학회 2016 대한지리학회지 Vol.51 No.5

        본 논문은 경제지리학의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담론을 태동기부터 현재의 GPN 2.0 이론화 단계까지 통시적으로 검토한다. 이 과정에서 2000년대 초반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논의의 형성 과정을 글로벌 상품/가치 사슬망의 개념적, 분석적 문제와 결부시켜 설명하고, 이후 논의의 확장과 경험적 연구의 축적을 통해 글로벌 생산네트워크가 세계화 경제, 초국적 기업, 지역발전 간의 밀접한 관계에 주목하는 담론과 실천의 틀로 자리잡게 된 점을 강조한다. 반면, 이론적 결여의 문제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었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최근 Yeung and Coe는 인과적 매커니즘의 추상화와 이와 관련된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조직 전략의 유형을 중심으로 GPN 2.0 이론을 제안했다. 이 결과,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담론은 이론화 결핍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고, 연구자는 내부 조직화, 통제적 관계, 동반자적 관계, 외부교섭 등 다양한 생산네트워크 조직 전략을 기업경쟁력 강화 요인 및 위험환경과 결부시켜 탐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와 글로벌 상품/가치 사슬 논의 간의 차이는 더욱 분명해졌는데, 여기에는 외부교섭 개념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외부교섭은 GPN 1.0에서 가치, 착근성, 권력의 분석 개념을 포괄하고 있는 네트워크 형태로 판단되며, 이것은 기업이나 산업별 거버넌스 차이에 초점이 맞춰진 사슬 담론의 한계를 초월하게 해 줄 것이다. This paper reviews the evolution process of global production network(GPN) discourse, from its origin to the recent theorization, namely GPN 2.0. In so doing, the discursive formation of global production networks is introduced in comparison with a competing discourse global commodity/value chain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conceptual and analytical lacunae in the latter. This article also outlines how the global production network perspective has become a useful discursive and practical tool that allows the examination of the nexus of global economy, transnational corporations, and regional development. Subsequently, a theoretical dearth in the approach is discussed in reference to key critiques, and in this context Yeung and Coe’s recent theorization GPN 2.0, which is centered on casual mechanisms and network configurations is reviewed.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theory adequately addresses the problem of casuality lacking in its precedented conceptual framework, and that it helps exploring the formation and evolution processes of varied production networks(including intrafirm coordination, interfirm control, strategic partnership, and extrafirm bargaining) in connection with competitive dynamics and risky environments. As a result of the theorization, the difference between GPN and the chain approaches has become more apparent, and the idea of extrafirm bargaining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differentiation. Extrafirm bargaining is seen to be a comprehensive networking form inclusive of such GPN 1.0 analytical concepts as value, embeddeness, and power, and research attentive to, and engaging with, the extrafirm networks is expected to help transcending the chain governance approaches’ analytical excess of interfirm linkages and industry-centeredness.

      • 본회퍼의 교회론의 신학적 배경에 관한 고찰

        이재열(Lee, Jae-Youl) 동서신학연구소 2023 동서신학 Vol.6 No.1

        By dealing with the theological background and fundamental interests of Bonhoeffer's ecclesiology, this study confirms that Bonhoeffer's ecclesiology inherits and develops the tradition of traditional ecclesiology while focusing only on Christology. Although Luther's theology of the cros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Bonhoeffer, it was confirmed that he had different views from Luther's due to the fact that he sublimated the issue of individual salvation into a matter of the community and rejected Karl Hall's religious concept of conscience. And although Bonhoeffer's theology learned from Harnack's liberal theology an interest in the world and a positive world view, it was revealed that it was distinguished from liberal theology in that it was thoroughly Christ-centered. In addition, Bonhoeffer's theology accepted the criticism of religion by the revelation of Christ from Barth, but it was revealed that it was distinguished from Barth in that it had a specific interest in the world.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he attempted a concrete approach to the problems of the real world by breaking away from superficial and theoretical theological thoughts and accepting Niebuhr's Christian realism. In conclusion, Bonhoeffer's theology succeeded the tradition of the theology of the cross and encompassed liberalism, neo-orthodoxy, and Christian realism, revealing that it was a theology that focused on revealing the presence of Christ in the world without being bound by formalities. Through the above discussions, the theological background and definition of Bonhoeffer's ecclesiology were examined, and the theologian's personal relationship and background, and his ecclesiology was accumulated only in Christ-likeness without being bound by the theological genealogy. Bonhoeffer's theology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e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 today. The Korean church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the material culture and the liberal trend even though the church tradition is not long. And the current social and ethical confusion that the Korean church is experiencing due to the influence of distorted fundamentalism stems from a wrong understanding of the Bible and Christian life. On this matter, Bonhoeffer's theology suggests a lot to us. The focus of Bonhoeffer's ecclesiology is always trying to follow Christ. 본 연구는 본회퍼 교회론의 신학적 배경, 근본 관심들을 다룸으로써 본회퍼의 교회론이 전통 교회론의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하면서도 오직 그리스도론적 집중을 하고 있음을 확인한 연구이다. 루터의 십자가 신학이 본회퍼에게 깊은 영향을 끼쳤으나 개인의 구원의 문제를 공동체의 문제로 승화시킨 점과 칼 홀의 양심의 종교개념을 거부한 점으로 인해 루터와는 다른 견해도 가지고 있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본회퍼의 신학이 하르낙의 자유주의 신학으로부터 세상에 대한 관심과 긍정의 세계관을 배웠으나 철저히 그리스도 중심의 신학이라는 점에서 자유주의 신학과 구별되는 사실을 밝혔다. 또한 본회퍼의 신학은 바르트부터 그리스도의 계시에 의한 종교비판을 수용했으나 세상에 대한 구체적인 관심을 가진다는 점에서 바르트와도 구별됨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피상적이고 이론적인 신학적 사유를 벗어나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를 받아들임으로써 현실세계의 문제에 구체적인 접근을 시도했던 것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본회퍼의 신학은 십자가 신학의 전통을 계승하며 자유주의, 신정통주의, 기독교 현실주의를 모두 포괄함으로써 형식에 매이지 않고 세상 속에서 그리스도의 현존을 드러내는 것에 집중한 신학임을 밝혔다. 이상과 같은 논의를 통해서 본회퍼의 교회론의 신학적 배경과 정의를 알아보았으며 신학자의 개인적인 관계와 배경 그리고 신학적 계보에 얽매이지 않고 오직 그리스도를 닮는 것에 그의 교회론이 적립되었음을 살펴보았다. 본회퍼의 신학은 오늘날 한국교회의 상황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한국교회는 교회적 전통이 길지 않으면서도 물질문화와 자유주의 풍조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왜곡된 근본주의의 영향 또한 받음으로 인해 현재 한국교회가 사회적으로나 윤리적으로 겪는 혼란은 성경과 그리스도인의 삶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해 본회퍼의 신학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본회퍼의 교회론의 초점은 항상 그리스도를 닮은 교회이다.

      • KCI등재

        하키페널티 스트로크 동작 시 숙련자와 미숙련자의 족저압력 분석

        이재열 ( Jae Youl Lee ),이중숙 ( Joong Sook Lee ) 한국운동역학회 2012 한국운동역학회지 Vol.22 No.2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biomechanical data on the average, maximum and distribution of plantar pressure during hockey penalty stroke by comparing five skilled and five unskilled players.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First in the case of average and maximum planter pressure during penalty stroke, the skilled players showed higher pressures at the moment of left foot landing in rear plantar of left foot and fore, rear plantar of right foot compared to the unskilled players. Also at the moment of impact, the skilled players showed higher pressures in fore, rear plantar of left foot and fore plantar of right foot compared to the unskilled. The analysis drew the conclusion that the skilled players move their center of body from fore, rear plantar of right foot to fore, rear plantar of left foot at the moment of left foot landing and impact in order to perform a quick and strong shooting. Second in the case of plantar distribution, as the skilled players put over 70% of their weights on left foot, they showed overall higher plantar pressure distributed on the outer fore, mid and rear parts of left foot plantar, in contrast with the unskilled players who showed about 50/50 distribution of weights on their right and left foot. The analysis concluded that such distribution was shown because the skilled players transferred their weights from the right to left foot effectively while the unskilled players could not do s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