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섬유아세포에서 세포 활성 촉진 및 광노화 억제 효능을 보이는 신규 헵타펩타이드

        이응지,강한아,황보별,정용지,김은미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2022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8 No.2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eptapeptide on cellular activation and inhibition of cellular damage induced by photoaging condition in NIH3T3 fibroblasts. Cell proliferation and extracellular matrix (ECM) expression were induced by heptapeptide. The reduced cell viability under photoaging condition through ultraviolet A (UVA) irradiation was increased by heptapeptide. And UVA-induced apoptosis, matrix metalloproteinases-1 (MMP-1) express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 were decreased by heptapeptide. In addition, the inhibi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smad signaling under UVA irradiation which resulting in reduction of ECM expression was also recovered by heptapeptide. We also tested the effect of heptapeptide under another photoaging condition through heat shock, and pre-treatment of heptapeptide prevented the phosphory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and MMP-1 expression induced by heat shock. From these results, it has been shown that the heptapeptide has protective effects on fibroblasts through the up-regulation of cellular activity and through the decreasing of intracellular ROS level induced by UVA irradiation or heat shock. It is expected that the dermal protection effect of heptapeptide can be applied as a new cosmetic material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7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헵타펩타이드의 섬유아세포 활성 증가 및 광노화 조건에서의세포 손상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헵타펩타이드 처리 시 섬유아세포 증식 및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 구성 인자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그리고 자외선 A (ultraviolet A, UVA) 조사에 의해 유도된 광노화조건에서 감소된 세포 생존율이 헵타펩타이드에 의해 증가되었고, UVA 조사에 의해 유도된 세포 사멸, 기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1(matrix metalloproteinases-1, MMP-1) 발현 및 세포 내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수준이 헵타펩타이드에 의해 감소되었다. UVA 조사 시 나타나는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smad 기전 억제와 그에 따른 ECM 구성 인자 발현 감소 또한 헵타펩타이드에 의해 회복되었다. 또 다른 광노화유도 조건으로 heat shock을 주었고 헵타펩타이드를 전 처리 하였을 때 heat shock에 의한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인산화 및 MMP-1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의헵타펩타이드는 섬유아세포의 활성을 촉진하며, 광노화 유도 모델로 사용된 UVA 조사 및 heat shock 조건에서도세포 내 ROS 억제 효과를 보여 세포 손상에 대한 회복 및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진피보호 효과를 갖는 헵타펩타이드는 향 후 신규 화장품 소재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복령피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이응지 ( Eung-ji Lee ),배성윤 ( Seong Yun Bae ),손락호 ( Rak Ho Son ),이용화 ( Yong Hwa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09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5 No.3

        천연 미백 소재 개발을 위하여 복령피 추출물과 복령피 추출물에서 분리한 활성 물질의 멜라닌 생성에 연관된 생리 활성을 분석하였다. 복령피 추출물은 100 μg/mL 이하에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free radical 소거능(DPPH)과 superoxide radicals 소거능 결과는 각각 IC<sub>50</sub> = 19.4 ± 2.21 μg/mL, IC<sub>50</sub> = 103 ± 3.33 μg/mL을 나타내었다. 50 μg/mL 농도에서 B16 melanoma 세포 내 tyrosinase의 활성을 34 % 저해 하였으며, 세포 내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는 50 μg/mL 농도의 복령피 추출물을 72 h 동안 처리한 세포에서 51 % 억제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복령피 추출물의 활성 물질을 분리하여 1H-NMR, 13C-NMR, Mass analysis 등의 기기 분석을 실시한 결과 triterpene류의 3-β-hydroxylanosta-7,9(11),24-trien-4-oic acid로 동정되었고 100 μg/mL 이하에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3-β-hydroxylanosta-7,9(11),24-trien-4-oic acid의 free radical 소거능과 superoxide radicals 소거능 결과는 각각 IC<sub>50</sub> = 4.3 ± 0.15 μg/mL, IC<sub>50</sub> = 54 ± 1.67 μg/mL을 나타내었다. 10 μg/mL 농도에서 세포내 tyrosinase의 활성을 43 % 저해 하였으며, 멜라닌 저해 효과를 확인한 결과 IC<sub>50</sub> = 3.6 μg/mL으로 나타났다.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RP-2 단백질의 발현 감소를 확인하였다. 복령피 추출물과 3-β-hydroxylanosta-7,9(11),24-trien-4-oic acid는 우수한 미백 효능을 갖는 화장품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To develop a new natural whitening agent for cosmetics,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Poria cocos Bark extracts (PCBE) and its active compound on melanogenesis. PCBE showed ROS scavenging activities i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and xanthine/xanthine oxidase system with the IC<sub>50</sub> values of 19.4 ± 2.21 μg/mL and IC<sub>50</sub> = 103 ± 3.33 μg/mL, respectively. PCBE reduced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about 34 % at concentration of 50 μg/mL. And PCBE reduced melanin contents of B16 melanoma cells about 51 % at concentration of 50 μg/mL without cell cytotoxicity (below 100 μg/mL). We purified one active compound from PCBE and identified its structure. It was identified as 3-β-hydroxylanosta-7,9(11),24-trien-4-oic acid, triterpene family, by 1H-NMR, 13C-NMR and Mass analysis. 3-β-hydroxylanosta-7,9(11),24-trien-4-oic acid showed ROS scavenging activities in DPPH radical and xanthine/xanthine oxidase system with the IC<sub>50</sub> values of 4.3 ± 0.15 μg/mL and 54 ± 1.67 μg/mL, respectively. Also, it was shown that 3-β-hydroxylanosta-7,9(11),24-trien-4-oic acid reduced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about 43 % at concentration of 10 μg/mL. And it inhibited melanin synthesis in a dose dependent manner (IC<sub>50</sub> = 3.6 μg/mL) without cell cytotoxicity (below 100 μg/mL). 3-β-hydroxylanosta- 7,9(11),24-trien-4-oic acid inhibited tyrosinase, TRP-1 and TRP-2 expression at protein lev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PCBE and 3-β-hydroxylanosta-7,9(11),24-trien-4-oic acid reduced melanin formation by the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and expression in B16 melanoma cells. Therefore, we suggest that PCBE could be used as a useful whitening agent.

      • KCI등재

        미세먼지에 의해 유발되는 인간각질형성세포 손상에 대한 신규 트리펩타이드의 보호 효과

        이응지 ( Eung Ji Lee ),강한아 ( Hana Kang ),황보별 ( Bo Byeol Hwang ),이영민 ( Young Min Lee ),정용지 ( Yong Ji Chung ),김은미 ( Eun Mi Kim ) 대한화장품학회 2021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7 No.1

        본 연구에서는 3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트리펩타이드의 미세먼지에 의한 인간각질형성세포의 손상 억제 효과에 대해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트리펩타이드 처리 시 미세먼지에 의한 세포 사멸이 억제되어 생존율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aryl hydrocarbon receptor (AhR) 기전 활성이 억제 되어 독성 대사체 생성과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하위 인자인 cytochrome P450 family 1 subfamily A member 1 (CYP1A1) 및 cyclooxygenase-2 (COX-2)의 발현이 저해되었다. 또한 미세먼지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저해하였고, 피부 구성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matrix metalloproteinase-1(MMP-1)의 발현을 저해하였으며, 세포 사멸 인자의 수준을 저해하였다. 이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의 트리펩타이드는 미세먼지에 의한 인간각질형성세포의 사멸 및 주변 피부 조직의 손상을 유도할 수 있는 기전들을 억제하여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트리펩타이드의 이러한 안티폴루션 효과는 신규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inhibitory effect of Tripeptide against particulate matter (PM)-induced damage in human keratinocytes. PM-induced cell death was inhibited by Tripeptide and the activity of aryl hydrocarbon receptor (AhR) also inhibited by Tripeptide resulting in reduced expression of its downstream targets, cytochrome P450 family 1 subfamily A member 1 (CYP1A1) and cyclooxygenase-2 (COX-2), which are responsible for toxic metabolites production and inflammation. Furthermore, PM-induced expression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and apoptosis-related factors were decreased by anti-oxidant activity of Tripeptide. From these results, it has been shown that the Tripeptide has protective effect against PM-induced skin damage not only through the inhibiting of keratinocyte death but also through the inhibiting the secretion of several damage-inducing factors to adjacent skin tissue. And the results suggested that Tripeptide with anti-pollution effect could be applied as a new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 KCI등재후보

        천연 약용식물 추출물의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 및 항염증 효과

        이응지 ( Eung-ji Lee ),배성윤 ( Seong-yun Bae ),남궁우 ( Kung-woo Nam ),이용화 ( Yong-hwa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10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6 No.1

        여드름 완화 효과를 갖는 천연 약용식물 추출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염증 효과를 다양한 추출물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검색 결과 얻어진 후보 소재들 중, 비교적 높은 항균 활성을 갖는 보골지, 당후박과 항염증 효과를 갖는 목향, 구절초 추출물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이후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보골지(Psoralea corylifolia L., AC-1), 당후박(Magnoliae officinalis, AC-2), 목향(Inula helenium L., ACF-1),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ACF-2) 추출물 및 복합소재(AC)는 50 μg/mL 이하에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골지, 당후박 추출물 및 복합소재의 경우 여드름 유발 원인균인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에 대해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10 % salicylic acid 대비 각각 약 2.8배, 2.5배, 3.2배의 높은 항균 효과를 보였다. 또한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에 대해서도 당후박 추출물과 복합소재의 경우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10 % Methylparaben 대비 각각 약 1.4배, 1.5배 높은 항균 효과를 보였다. 목향, 구절초 추출물 및 복합소재의 경우 열에 의해 사멸시킨 P. acnes에 의해 활성화된 THP-1 세포의 IL-8 발현을 50 μg/mL 농도에서 각각 27 %, 38 %, 44 % 저해하였고 TNF-α 발현을 50 μg/mL 농도에서 각각 90 %, 88 %, 90 %로 크게 저해하였다. 이러한 항균, 항염증 활성을 보이는 보골지, 당후박, 목향, 구절초 추출물의 복합 소재를 이용하여 여드름 완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으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To develop natural therapeutic agents for acne vulgaris, we investigated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various medicinal plant extracts. Among candidate extracts, we selected Psoralea corylifolia L. extract (AC-1) and Magnoliae officinalis extract (AC-2) which showed the relatively high antibacterial effects, and Inula helenium L. extract (ACF-1) and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extract (ACF-2) which showed the relatively high anti-inflammatory effects for further investigations. All of them did not show cytotoxic effects below the concentration of 50 μg/mL.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AC-1, AC-2 and extract complex (AC) against P. acnes were 2.8, 2.5 and 3.2 times higher than that of 10 % salicylic acid respectively. And the antibacterial effect of AC-2 and extract complex against S. aureus were 1.4 and 1.5 times higher than that of 10 % methylparaben respectively. Also, it was shown that ACF-1, ACF-2 and extract complex had anti-inflammatory effects. All of them exhibited inhibitory effects for the secretion of IL-8 and TNF-α from THP-1 cells activated by heat-killed P. acnes. They reduced about 27 %, 38 %, 44 % of IL-8 secretion and 90 %, 88 %, 90 % of TNF-α secretion at concentration of 50 μg/mL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complex of medicinal plant extracts, AC-1, AC-2, ACF-1, and ACF-2, had therapeutic effects to acne vulgaris through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Therefore, we suggest that extract complex of AC-1, AC-2, ACF-1 and ACF-2 may be used as a useful agent for development of natural cosmetics which have therapeutic effects to acne vulgaris.

      • KCI등재

        B16F10 멜라닌 세포에서 신규 헥사펩타이드의 MITF 조절을 통한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이응지 ( Eung Ji Lee ),김잔디 ( Jandi Kim ),정민경 ( Min Kyeong Jeong ),이영민 ( Young Min Lee ),정용지 ( Yong Ji Chung ),김은미 ( Eun Mi Kim ) 대한화장품학회 2020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6 No.1

        본 연구에서는 6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헥사펩타이드(hexapeptide)의 미백 효능에 대해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헥사펩타이드 처리에 의해 유의한 수준의 멜라닌 생성 저해가 관찰 되었고, 멜라닌 생성 과정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인 tyrosinase의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이 관찰 되었다. 멜라닌 생성 관련 인자들의 발현을 관찰 한 결과 tyrosinase (TYR),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YRP1) 및 이들의 상위 전사인자인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의 발현이 헥사펩타이드 처리에 의해 유의한 수준으로 저해 되었다. 또한 헥사펩타이드 처리에 의해 MITF 발현을 조절하는 상위 전사인자인 cAMP-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CREB)의 인산화가 저해 되었고 MITF 인산화를 통해 프로테아좀 분해(proteasomal degradation)를 유도하는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인산화가 증가 되었다. 이외에도, 멜라노좀의 세포 내 이동에 관여하는 복합체의 구성 인자들로 알려진 Rab27A, melanophilin, myosinVa의 발현도 헥사펩타이드에 의해 유의한 수준으로 저해 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헥사펩타이드는 멜라닌세포의 멜라닌 생성 관련 핵심 전사인자인 MITF의 발현 및 분해 조절을 통해 멜라닌 생성 억제 및 멜라노좀 이동과 같은 전반적인 멜라노좀 성숙 과정에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헥사펩타이드의 이러한 미백 효능은 신규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i-pigmentation effect of a hexapeptide. The peptide significantly reduced melanin contents and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which tyrosinase is a key enzyme in melanogenesis. The peptide also significantly reduced the expression levels of tyrosinase (TYR),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YRP1) and their upstream transcription factor,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Furthermore, the peptide suppressed the phosphorylation level of cAMP-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CREB), a transcription factor of MITF, and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level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a kinase mediates MITF phosphorylation and proteasomal degradation. The peptid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xpression of Rab27A, Melanophilin, and MyosinVa, the components of motor complex involved in intracellular movement of melanosome.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xapeptide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whitening agent that has inhibitory effect on melanin production and melanosome transport by regulating expression and degradation of MITF in melanocytes.

      • KCI등재후보

        음양곽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촉진 효과

        이응지 ( Eung Ji Lee ),배성윤 ( Seong Yun Bae ),이용화 ( Yong Hwa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09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5 No.4

        멜라닌 생합성을 활성화하여 자연스러운 모발의 흑화를 촉진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음양곽 메탄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에 연관된 생리 활성을 분석하였다. 음양곽 추출물은 100 μg/mL 이하에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50 μg/mL 농도에서 B16 melanoma 세포 내 멜라닌 생합성을 104 % 증가시켰고 tyrosinase의 활성을 95 %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estern blot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음양곽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TRP-2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C3H/Hej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 실험에서 음양곽 추출물을 도포한 등 부위 털의 멜라닌 생합성이 5 % (w/v) 도포 시 25 % 증가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통해 음양곽 메탄올 추출물이 멜라닌 생합성 기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tyrosinase의 활성 촉진, 멜라닌 생합성 기전과 melanocyte 생존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TRP-2의 발현 증가를 통해 멜라닌 합성 촉진을 유도하는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음양곽 추출물의 효능을 이용해 모발의 흑화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품 소재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To develop a natural stimulating agent for hair melanogenesis, we investigated the stimulatory effects of Epimedium koreanum Nakai extract (EKNE) on melanogenesis. EKNE both increased melanin content in B16 melanoma cells up to about 104 % and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up to about 95 % at a concentration of 50 μg/mL without cell cytotoxicity (below 100 μg/mL). From the result of western blot, we could find that EKNE dose-dependently induce the expression of TRP-2. Also, EKNE increased melanogenesis up to about 25 % at a concentration of 5 % (w/v) in back hair of C3H/Hej mou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KNE has an effect to stimulate melanin formation through the induction of tyrosinase activity and TRP-2 expression which are involved in melanin synthesis in melanocyte. Therefore, we suggest that EKNE could be used as a useful melanogenesis stimulator for development of natural hair cosmetics.

      • KCI등재

        Lgr5와 결합하는 신규 헵타펩타이드를 이용한 인체 모낭 세포의 활성과 모낭줄기세포 분화 유도

        김민웅,이응지,길하나,정용지,김은미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2023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9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 of heptapeptide, composed of seven amino acids, on the activation of human hair cells isolated from human hair follicles. We have confirmed that the heptapeptide could bind to Lgr5 from the results of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analysis. Heptapeptide enhanced the proliferation of human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HHFDPCs) in a dose dependent manner. It induced the protein level of nuclear β-catenin, and the expressions of β-catenin downstream target genes, including LEF1, Cyc-D1 and c-Myc, in HHFDPCs. Heptapeptide significantly induced the phosphorylation of Akt and ERK, and the mRNA expressions of growth factors, including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keratinocyte growth factor (KGF)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 HHFDPCs. In addition, heptapeptide significantly increased mRNA expression levels of differentiation-related transcription factors of human hair germinal matrix cells (HHGMCs) and differentiation markers of human hair outer root sheath cells (HHORSCs).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heptapeptide on human hair follicle stem cells (HHFSCs) differentiation and found that the heptapeptide reduced the mRNA and protein levels of stem cell markers, while it increased those levels of differentiation markers. These results have indicated that the heptapeptide promotes proliferation or differentiation of various types of hair follicle constituent cells through the induction of Wnt/β-catenin signaling. From the results, we have suggested that the heptapeptide in this study could be applied as a new functional material for the improvement of hair growth and alopecia. 본 연구에서는 7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헵타펩타이드의 Lgr5 binding에 따른 인체 모낭 구성세포의 활성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표면 플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시스템을 이용하여 헵타펩타이드가 Lgr5에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인체 모유두세포(human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 HHFDPC)에 헵타펩타이드를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인 세포 증식이 나타났으며 β-catenin의 세포 내핵 이동 및 하위 유전자인 LEF1, Cyclin-D1, c-Myc의 발현 증가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세포 증식 기전 관련인자인 Akt와 ERK의 인산화 수준이 증가되었으며, 성장인자인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keratinocyte growth factor (K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발현이 유도되었다. 또한 인체 모모세포(human hair germinal matrix cell, HHGMC)의 분화 관련 전사 인자와 인체 외모근초세포(human hair outer root sheath cell, HHORSC)의 분화 표지 인자들도 헵타펩타이드 처리 시 높은 발현율을 보였다. 추가적으로우리는 헵타펩타이드의 인체 모낭줄기세포(human hair follicle stem cell, HHFSC) 분화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HHFSC 표지인자들의 mRNA와 단백질 수준이 감소하였고 반면에 분화 표지인자들은 증가하였다. 상기의 결과들은 헵타펩타이드가 인체 모낭 구성 세포에서 Wnt/β-catenin 경로를 촉진시켜 증식 또는 분화를유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토대로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의 헵타펩타이드는 모발 성장을 유도하고 탈모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성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광곽향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배성윤 ( Seong Yun Bae ),이응지 ( Eung Ji Lee ),손락호 ( Rak Ho Son ),이용화 ( Yong Hwa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09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5 No.1

        본 연구는 천연 미백소재 개발을 위하여 광곽향 추출물과 광곽향 추출물에서 분리한 활성물질의 멜라닌 생성에 연관된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광곽향 추출물은 100 μg/mL 이하에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free radical 소거능(DPPH)과 superoxide radical 소거능 결과는 각각 IC<sub>50</sub> = 24.2 ± 2.85 μg/mL, IC<sub>50</sub> = 118 ± 0.43 μg/mL을 나타내었다. B16 melanoma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는 20 μg/mL 농도의 광곽향 추출물을 72 h 동안 처리한 세포에서 멜라닌 억제율이 23 %로 나타났으며, 50 μg/mL 농도에서 세포 내 tyrosinase의 활성을 18 % 저해하였다. 이러한 광곽향 추출물의 활성물질을 분리하여 <sup>1</sup>H-NMR, <sup>13</sup>C-NMR, Mass analysis 등의 기기분석을 실시한 결과 sesquiterpene 계열의 활성물질인 patchouli alcohol으로 동정되었고, patchouli alcohol의 free radical 소거능과 superoxide radical 소거능 결과는 각각 IC<sub>50</sub> = 3.14 ± 0.12 μg/mL, IC<sub>50</sub> = 49 ± 3.24 μg/mL을 나타내었다. 또한 멜라닌 저해효과를 확인한 결과 IC<sub>50</sub> = 3.9 μg/mL으로 나타났으며, 10 μg/mL 농도에서 세포 내 tyrosinase의 활성을 40 % 저해하였다.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tyrosinase와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 단백질의 발현 감소를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광곽향 추출물과 patchouli alcohol은 우수한 미백 효능을 갖는 화장품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To develop a new natural whitening agent for cosmetics,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Pogostemon cablin Bentham extracts (PCE) and its active component on melanogenesis. PCE showed ROS scavenging activities i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and xanthine/xanthine oxidase system with the IC<sub>50</sub> values of 24.2 ± 2.85 μg/mL and IC<sub>50</sub> = 118 ± 0.43 μg/mL, respectively. PCE reduced melanin contents of B16 melanoma cells in a dose-dependant manner and decreased to about 23 % at a concentration of 20 μg/mL without cell cytotoxicity (below 100 μg/mL). And the PCE reduced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about 18 % at concentration of 50 μg/mL. We purified one active compound from PCE and identified its structure. It was identified as patchouli alcohol, sesquiterpene family, by <sup>1</sup>H-NMR, <sup>13</sup>C-NMR, and Mass analysis. Patchouli alcohol also inhibited ROS scavenging activities in DPPH radical and xanthine/xanthine oxidase system with the IC<sub>50</sub> values of 3.14 ± 0.12 μg/mL and 49 ± 3.24 μg/mL, respectively. Patchouli alcohol inhibited melanin synthesis in a dose dependent manner (IC<sub>50</sub> = 3.9 μg/mL). And the patchouli alcohol reduced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about 40 % at concentration of 10 μg/mL. Patchouli alcohol inhibited tyrosinase and TRP-2 expression at protein lev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PCE and patchouli alcohol reduced melanin formation by the inhibited of tyrosinase activity and expression in B16 melanoma cells. Therefore, we suggest that PCE could be used as a useful whitening ag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