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초기 "신도팔경(新都八景)"시(詩)의 제작과 성격

        이은주 ( Eun Ju Yi ) 한국한시학회 2014 韓國漢詩硏究 Vol.22 No.-

        본고는 조선 초기에 수도 한양을 소재로 한 정도전의 <進新都八景詩>와 권근 등이 지은 차운시(이하 <진신도팔경시>와 차운시를 ‘신도팔경’으로 총칭)를 중심으로 그 성격과 특징을 재검토한 것이다. 지금까지 <진신도팔경시>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실록 기사에 언급된 신도팔경 병풍과 연관되어 그림에 대한 제화시로 이해하였다. 나아가 그림과 시의 결합이라는 측면에서 <瀟湘八景>의 영향을 받은 작품이며 차운시가 巫山一段雲 詞調로 지어졌다는 점에서 이제현의 <소상팔경> 및 <송도팔경>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고 평가되었다. 또 <진신도팔경시>의 주제의식에 대해서는 새로 개창한 왕조를 송축하기 위해 올린 시라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본고는 실록 기사와 배치되는 것처럼 보이는 『삼봉집』의 서술을 분석하여 <진신도팔경시>의 제작 시점이 신도팔경 병풍보다 앞선다는 점을 밝혀 ‘소상팔경’과 <소상팔경>시라는 제화시의 맥락이 아니라 팔경시의 맥락에서 이 작품이 논의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6언시 <진신도팔경시> 뒤에 무산일단운조 ‘신도팔경’ 시가 지어졌다는 가설을 전제로 정도전의 <진신도팔경시>가 이제현의 무산일단운조 <소상팔경> 및 <송도팔경>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은 아니라고 본 것이다. 또 이전의 팔경시가 주로 遊賞處를 선별하고 병렬하는 데에 비해 <진신도팔경시>는 수도 한양을 구성하는 풍경을 선별한 것이며, 이 때 팔경은 전체를 이루는 부분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 정도전이 <진신도팔경시>를 태조에게 진상한 시점이 태조가 수도 선정에 고심하며 한양에 도성을 축조하면서도 한양을 수도로 삼는 것에 확신이 부족할 때라는 창작배경을 바탕으로 ‘신도팔경’의 주제의식이 왕조 찬양의 송축시라고 평가한 기존의 논의를 반박하였다. 정도전이 <진신도팔경시>를 제작한 시점과 이상적인 王道에 대해 구체적으로 방책을 제안한 『맹자』의 구절들이 이 시에 등장한다는 점으로 볼 때 ‘신도팔경’은 단순한 왕조 찬양의 송축시가 아니라 수도 한양의 팔경을 통해 조선 왕조의 태평성세를 실현하기 위한 요건들을 강조하고 당부하는 성격이 강하다는 점을 밝혔다. The focus of this paper is on the review of Sidopalgyeongsi(the eight poems of the New capital in Joseon dynasty written by Jeong do-jeon). So far the previous studies have looked upon this work as the poem on painting because it is mentioned with the paperscreen(a drawing of the new capital, Hanyang) in Joseon Dynasty Chronicles. Besides as written for the King Taejo Lee sung-gye, it is considered to celebrate the Joseon dynasty founded in 1392. But there is still a fundamental misunderstanding about the real purpose of this work. Most studies have relied on the article in Joseon Dynasty Chronicles to determined it written in 1398, but it is written in 1395 not in 1398 according to Sambongjip(三峰集) of Jeong`s book. In other words, Jeong composed the poem to the Taejo in 1395 and Taejo said the word to paint the paperscreen to what the poem means in 1398. Consequently it is not the poem on the painting. At that time Hanyang was chosen as the new capital, but Taejo was still not quite sure that Hanyang is well fitted. Proposing Hanyang as a new capital, Jeong had to convince him to think that Hanyang is the cornerstone of peaceable reign. Quoting Maengja(Mencius) for royal road is in the same vein. It is not directly affected by Sosangpalgyeong and Songdopalgyeong with Musanildanun, the tune of cipai(詞牌) written by Yi Je-hyeon because its meter is different from Yi`s. Although it connected to palgyeongsi(the poems of the eight scenic views) in Goryeo Dynasty, it focuses on the roles of capital by selecting parts of the whole, not on the scenery like others listing areas in Hanyang.

      • KCI등재

        김제학(金濟學)의 관서(關西) 죽지사(竹枝詞)에 나타난 역사 인식

        이은주 ( Yi Eun-ju ) 한국실학학회 2021 한국실학연구 Vol.- No.42

        19세기에 창작된 金濟學의 「次申石北關西樂府百八韻」은 申光洙의 「關西樂府」를 차운한 작품이다. 차운시의 특성상 원시의 다양한 요소를 계승하면서도 평양보다는 평안도 지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점이 있다. 이 시는 김제학이 접한 다양한 정보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19세기 중엽 평안도의 여러 상황과 평안도를 바라보는 인식을 살펴볼 수 있다. 이 시는 평안도 지역사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이 시의 특이점을 짚어가면서 김제학이 어떤 관점에서 여러 지역의 사건들을 선별하여 하나의 흐름으로 만들어 냈는지를 논의하였다. 예컨대 심하 전투, 최효일 사건 등을 보면 평안도의 유명 인물보다는 대명의리를 강조하는 시각이 두드러진다. 또 이 시는 홍경래의 난이 상당히 비중 있게 제시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이전 시기부터 만연했던 영고탑 회귀설의 소환, 곧 홍경래의 난으로 변방의 위협이 고조된 맥락 속에서 과거 사건들을 선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요컨대 이 시에서 지역사를 바라보는 구도는 대명의리와 변방의 위협으로 양분되며 그런 맥락에서 국가의 수호, 충성, 절의 같은 것들이 강조되고 있다. 이 시에 나타난 평안도 지역사는 외부인이 평안도를 국경을 지키는 울타리로 인식하는 방법이자 평안도 지역민에게 기대했던 모습이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Kim Je-hak's “Bouts-rimés of Gwanseo-akbu” is a work that following the rhymes used by Shin Kwang-soo's “Gwanseo-akbu” created in the late 18th century. Due to the nature of bouts-rimes, it inherits various elements of the original poem, but at the same time, it focuses all over Pyeongan-do rather than Pyongyang. Since this poem reflects various information encountered by Kim Je-hak, we can read various information and perceptions of Pyeongan-do in the mid-19th century. Since the proportion of local history in Pyeongan-do is high in this poem, this paper discussed from what perspective Kim Je-hak selected local incidents and created the flow, by following the peculiarities of this poem.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derive a flow that emphasizes Loyalty to the Ming Dynasty rather than Pyeongan-do's famous figures, such as the Battle of Sarhu and the incident of Choi Hyo-il. In addition, since Hong Kyung-rae's rebellion are presented with considerable weight in this poem, it can be thought that past events were selected in the context of the the Rumor of Manchurian return to Ningguda, which was prevalent from the past. In other words, the structure of evaluating local history in this poem is divided into the Loyalty to the Ming Dynasty and the Frontier areas under military threat, and in that context, the protection, loyalty, and patriotism of the state are emphasized. The local history of Pyeongan-do shown in this poem can be thought of as a way for outsiders to perceive Pyeongan-do as a fence protecting the border. They expected loyalty to protect the country from the people of Pyeongan-do.

      • KCI등재

        「통해백팔사(統海百八詞)」의 지방 형상화 연구 -19세기 새로운 지방의 발견-

        이은주 ( Eun Ju Yi ) 한국한문학회 201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6

        19세기 문인 南一元이 경남 고성에서 체류한 경험을 담은 「統海百八詞」는 새로운 지역의 발견이라는 점에서 눈여겨볼 만하다. 이 작품은 申光洙의 「關西樂府」에서 본격적으로 가시화된 지역죽지사의 계보를 잇고 있으면서도, 익히 알려져 있고 동시대 사람들이 선망했던 `평양`을 시화한 「관서악부」와는 달리시문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고성이라는 지역의 형상화를 시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남일원의 고성 묘사는 통제영이 있는 고성의 어떤 점을 지역적 특징을 제시할 것인가의 고민을 담고 있으며, 이는 신광수가 전대에 평양에 대한 인식을 계승하면서 무수한 시적 전통을 취합하여 창작한 것과는 차이가 있다. 조선후기 지방악부의 변화는 조선중기에 쓰여진 유람기록이 道體의 구현에 집중되는 경향에 대한 반발이라는 점에서 예견된 것이기도 하다. 조선중기의 기록에는 산이나 바다를 유람하며 거대하고 영원한 자연에 대한 경외감과 造化의 궁극적인 원리를 발견하고자 했지만 동시에 특정한 지방의 개별성을 거의 드러내지 못했기 때문에 특정 지방의 개별적 성격을 보여주는 방향성이 후대에 두드러졌던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지방악부가 읍지와 결합하거나 보완하는 측면은 이 시기의 특징적인 지방묘사의 한 경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 남일원의 「통해백팔사」의 소재인 통제영은 조선중기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이전의 문학적 전통이 거의 정립되지 않았고, 그런 점에서 이 시는 통제영이 있는 고성의 지방 형상화를 본격적으로 시도한 최초의 시인 셈이다. 조선후기 새로운 변화에 대해서는 새롭게 도시로 거듭난 서울의 市井의 삶과 人情物態를 떠올리거나 경제적 부를 축적한 경화세족들의 다양한 관심사에 주목하기 쉽지만, 다른 한편에서 조선후기 여러 지역이 어떤 모습으로 변화해가는지, 또는 이곳을 거쳐간 사람들에게 어떻게 경험되는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못했다. 본고에서는 고성을 소재로 한여러 기록들을 살피면서 「통해백팔사」에서 독특하게 구현된 지역적 모습을 살펴보고자 한다. "Tonghae-baekpalsa(統海百八詞)" written by ilwon Nam in 19th-century Joseon Dynasty is 108 pieces of poetry about Goseong(固城) which is located in Gyeongsangnam-do(Province). He went Goseong accompanied by the commander-in-chief of a naval station, stayed for five years and wrote this poem based on experience on his way home. It deserves more attention in terms of excavation of new material as a new region. The naval base in Goseong was established after Imjin war(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so it had no time to accumulate abundant literary works and to create a regional image. It strikes me that this poem is the first figuration of the whole scenary of Goseong. This poem shows two aspects of Goseong that consist of a naval station and a sea village. Its description seems to be both a town chronicle and a city of utopia under the influence of " Guanseo-akbu(關西樂府)". To sum up, it provides geographic information to satisfy people`s curiosity for some exotic place by following the town chronicle format. Besides it makes them imagine a romantic world by describing it like the place they want to visit.

      • KCI등재

        일제강점기 개성상인 孔聖學의 간행사업 연구

        이은주(Yi, Eun-ju) 한국어문학회 2012 語文學 Vol.0 No.11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Sunghak Kong’s publishing business and the nature of his publications. To achieve this, it is needed to collect materials relating to his biography and his book lists and to analyze them. Kaesung(開城) is generally recognized as an area of political discrimination in the Joseon Dynasty, and political alienation and isolation, was the rhetoric that symbolizes the people from around here. As the world was moving into a new epoch, economic wealth as a ginseng-based commercial was acting as a power that can be released into cultural needs for the merchants from Kaesung. The merchants from Kaesung including Kong used the slogan “descendant of Goryeo(高麗)” for the community solidarity. Kong has focused on the business of publishing as part of an effort to improve their status. His most publications are garlands of literati from Kaesung and travel records. While maintaining the traditional writing, he reflect the modernity represented by the touris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특집 : 19세기(世紀) 한국한시사(韓國漢詩史)의 구도(構圖) ; 박문규(朴文逵)의 집구시집(集句詩集) 『천유집고(天游集古)』 연구

        이은주 ( Eun Ju Yi ) 한국한시학회 2011 韓國漢詩硏究 Vol.19 No.-

        본고는 19세기 문인 朴文逵의 集句詩集 『天游集古』를 중심으로 이전에 이루어졌던 집구시의 창작과 이에 대한 비평을 검토하여 19세기에 집구시가 창작되고 향유되는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개성출신 문인이었던 박문규의 경우 金澤榮이 개성출신 인물들을 입전한 『崧陽耆舊傳』에서 근체시와 집구시를 잘 지어 그의 명성이 널리 알려졌고 문인들이 모여 詩韻戱를 할 때 참석하는 것을 꺼릴 정도로 박문규의 시재가 출중했음을 증언하였다. 20세기초로 접어들면 여러 출판사에서 『천유집고』가 간행될 정도로 주목을 받기도 했다. 우리나라 최초의 집구시집으로 꼽히는 『林祭酒百家衣詩集』의 林惟正을 평가하는 그동안의 비평맥락을 살펴볼 때 집구시는 기존의 시를 표절하거나 절취한 것으로 인식되지 않았고 옛것[古]에 대한 존경으로 비춰졌다. 유명한 시구를 암송하면서 숙지하는 능력과 어떤 시구를 다른 맥락에서 전용할 수 있는 순발력을 시적 재능으로 인정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세기의 박문규의 집구시 창작과 유포에는 그밖에 다른 요인도 개재되어 있다. 그는 정치적 진출이 봉쇄되어 상업에 종사하는 것 외에 별다른 선택지가 없었던 개성출신 문인이었고, 집구시를 통해 드러난 박학다식과 순식간에 적절한 시구를 가져올 수 있는 재기는 그의 불우한 환경과 대비되어 두드러졌다. 이는 그의 사후에 『천유집고』가 간행되는 데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aspects and the meaning of writing and reading poems in 19th century with priority given to chenyou cento poetry by Mun-gyu Park. For this, we have examined the previous cento poems and the comments about it. In his book, Tak-Young Kim(金澤榮) wrote that Mun-Gyu Park from Kaesung(開城) is a very famous poet and too bright to welcomed in the poet meetings for playing games of poetry. In the early 20th century, his cento poems attracted more attention than printed in several publishing houses. A look at comments of cento poems, O ne Hundred Cento Poetry(百家衣集) by You-jung Yim(林惟正) suggests that cento poetry is recognized as an instance of hommage to antiquity rather than plagiarism, for being agreed that if a person has a good memory and reacts quickly to rapidly changing situations, he is a talented poet. But there is another reason why he became famous and were increasingly distributed more and more. He is from Keasung(開城), whose people were treated discriminatingly throughout Joseon Dynasty periods, so his talent stood out in bold contrasted with disadvantaged circumstances, and that would play a big part in being published his cento poetry book after he died.

      • KCI등재

        『기옹집(幾翁集)』의 한시 비평 연구

        이은주 ( Eun Ju Yi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0

        이 논문은 조선후기 인물 李選(1762~?)의 시집 『幾翁集』에 수록된 시평을 중심으로 19세기 시 이해의 단면을 살펴본 것이다. 현전하는 『기옹집』은 이선의 시 전체가 아니라 말년의 시만을 수록한 것으로 대략 1820년에서 1830년경까지 지은 시로 추정할 수 있다. 『기옹집』에 시평을 단 시점은 그 이후이지만 하한선은 장서각본의 서문을 쓴 1878년까지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기옹집』의 시평은 19세기 시 이해의 단면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기옹집』의 시평을 누가 썼는지는 알려주는 자료는 없지만 그럼에도 『기옹집』의 시평은 시 전체에 대해 ‘評第一句’ 같은 방식으로 시에 대한 해설과 평을 자세하게 달아놓고 있으며, 이렇게 구체적이고도 상세한 실제비평이 남아있는 자료가 별로 없다는 현실을 감안할 때 의미가 큰 자료이다. 본고에서는 이 시평의 두드러진 측면을 크게 두 가지로 제시하였다. 하나는 잘 쓴시에 대해 ‘眞境’을 구현했다고 서술한 부분이며, 또 다른 하나는 감정이 드러난 대상묘사, 곧 感物托興이 드러난 시구에 대해 평가하고 있는 부분이다. 이 두 측면에 대해 평자는 모두 어떤 상황을 겪은 사람만이 포착할 수 있는 장면이나 감정이라는 점을 서술하고 있는데, 종래의 비평이 한시의 풍격이나 절묘한 표현을 강조했다면, 이 시기에는 풍경 제시와 묘사의 리얼함에 강조점이 놓이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This paper will focus on one aspect of understood poetry in 19th century by studying comments on the poems in Ki-ong-jip written by Yi sun(李選). ki-ong-jip, collection of Yi sun``s poems, includes poems written in old age, from about 1820 to around 1830. And it is assumed that these comments are written since then, and the preface is written in 1878, that is the bottom line. The comments on the poems in Ki-ong-jip helped readers tease out the meaning of the poem. Few texts have such detailed comments in the way of comment on the first line. In this paper, the features of these comments are presented two. One is that imagery of the actual state of things(眞境) is a good criterion of poems, the other is that emotional portraits are regarded highly. the actual state of things means the states beyond the imagination of those who have not experienced it, and it is an emerging criteria of the poems in the 19th century.

      • KCI등재

        『창북고(滄北稿)』 연구

        이은주 ( Yi Eun-ju ) 한국한시학회 2018 韓國漢詩硏究 Vol.26 No.-

        본고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19세기 시집 『창북고(滄北稿)』를 소개하면서, 이 시집의 저자가 박긍순이며 세부적인 인적 정보, 시의 특징과 그 의의를 논의하였다. 박긍순은 충청도 정산에 거주하였던 지방 출신 문인으로, 음직을 통해 서울에서 관료 생활을 하였다. 특히 그는 집안끼리 아는 사이였기 때문에 안동 김문과 관련을 맺고 있었다. 관련 자료에 따르면 관리가 된 이후의 출세는 산릉 작업에 참여를 했고 처가가 왕실과 관련이 있었기 때문인데, 여기에 더하여 그의 관료생활의 중심에는 안동 김문 일가인 김보근(金輔根)이 자리하고 있다. 박긍순의 시적 특징은 시의 기교적인 측면을 중시했다는 점과 평담하고 온화한 시적 어조를 유지했다는 점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는 시집의 서문에서 자신이 어렸을 때부터 시에 뜻을 두었다고 했는데, 이 점은 관료 문인의 사회적 활동을 넘어 시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가졌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그는 빈궁한 상황이나 불만족스러운 마음을 시에 표출하는 데에는 다소간의 거부감이 있었던 것 같다. 때문에 “빈궁한 뒤에 시를 잘 쓰게 된다”는 전통적인 시관을 정확하게 시적 기교의 문제로만 이해했다. 그런 맥락에서 박긍순은 전고와 표현, 시상 전개라는 기술적 측면을 중시하였지만, 다른 한편으로 다양한 감정이 아니라 현실 만족과 낙관론이 흐르는 평화로운 시적 세계라는 단조로운 톤을 견지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시인의 의의는 당대의 한시사적 위상으로만 규정될 수는 없다. 19세기에 이전 시대의 문학을 넘어서는 새로운 전조와 변화가 의미 있는 만큼이나 그 당시 대세적인 경향도 그 시기 문학의 특성으로 간주해야 한다. 19세기에는 전시대 문학 전통에 대한 고수, 문학 전성기를 재현하려는 보수적 성향도 엄존해 있었다. 『창북고』의 시는 바로 그 보수적 지향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In this article, I introduced the less well - known 19th century collection of poems, changbukgo, and discovered the identity of the author. And I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ignificance of these poems. Park, a native of the province of Chungcheong province, has lived as a bureaucrat in Seoul by recommendation. Especially, he was involved with Andong Kim Clans because the families were close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related documents, it is said that the success after the administration was involved in the work for royal tomb, and that his wife was related to the royal family. In addition, his bureaucratic life includes Kim Bogeun, the member of Andong Kim Clans. The poetic characteristic of Park keungsun can be summarized as the emphasis on the technical side of the poem and the maintenance of the peaceful and gentle poetic tone. In the preface to his poetry, he said that he had wanted to write a beautiful poem since he was a child. This point can be understood as meaning that he has a special interest in poetry beyond the social activities of bureaucratic literati. However, he seemed to have a somewhat disfavored feeling in expressing poverty or unsatisfied mind to poetry. Therefore, he understood the traditional poetry "to write poetry well after poverty" as precisely the problem of poetic technique. In that context, Park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oetry, expression, and an authentic precedent, but on the other hand, he maintained a monotonous tone of peaceful poetic world in which real satisfaction and optimism flows, not various emotions. However, the significance of the poet can not be confined to the contemporary personal history. In the nineteenth century, it was not only the prominence of new prehistory and change that transcended the literature of earlier tim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conservative tendency to reproduce the history of literary tradition and the prime period of literature. The poetry of changbukgo is an example of the conservative ori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