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차원 분류사의 범주 확장에 관한 연구

        이운재 ( Lee Woonjae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9 中國文學 Vol.98 No.-

        본고는 원형범주이론에 근거해 2차원 분류사 ‘張’,‘片’과 공기하는 명사부류의 범주 구성원과 범주 확장에 관한 원리에 관해 논하였다. 2차원 분류사 ‘張’,‘片’은 평평한 면이 부각되는 명사부류와 결합하고 있으며, 형태적 속성과 멀어질수록 가족유사성에 의해 하나의 범주구성원을 이룬다. 이들은 원형적 구성원에서 일부 명사부류의 선택이 교차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주변적 구성원에서의 범주 확장은 상보적 분포가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2차원 분류사 ‘張’,‘片’의 범주 구성원이 의미연쇄를 이루는 도식을 망조직으로 설명했으며, 기능의존성과 문맥의존성에 의해 범주 확장되는 인지모형을 제시하였다. Based on prototypical theory, this paper discussed two-dimensional classifier ‘zhang’, ‘pian’ and how the categories and categories of nouns are expanded. The two-dimensional classifier ‘zhang’, ‘pian’ combine with nouns, and the further away from the formal properties, the more members of a category dependent on family resmeblance. They tend to cross some nouns’ choices in prototypical members, while expanding categories in non-prototypical members shows a constant distribution. Through a cognitive analysis, we looked at how the two-dimensional ‘zhang’ and ‘pian’ categories are being expanded, and presented a cognitive model for category expansion in terms of function and contextual dependence.

      • KCI등재

        현대중국어 ‘V도(到)’의 개념적 연결과 상호관계

        李雲宰 ( Lee Woon Jae ) 중국어문학회 2021 中國語文學誌 Vol.- No.75

        This paper categorizes semantic function of ‘V-dao’ into space domain, time domain, rating domain, degree domain and resultive domain, and explains that they form conceptual connections in interrelationship through conceptual metaphor and image schema. The five semantic domain have the basic meaning of reaching the target point, and the conceptual metaphor of TIME IS SPACE is based on the ‘V-dao’ semantic extension. A metaphor hierarchy is formed based on the conceptual reason of TIME IS QUANTITY, TIME IS QUANLITY, TIME IS SCALE OF CHANGE, and THE RESULT IS ACCUMULATION OF TIME. It can be confirmed from the image schema that “V-dao” is conceptually connected in the interrelationship. The image schema, which shows semantic domain of the “V-dao”, includes the starting point, ballistic body, target point, path, etc. The dotted line was processed because the path was hidden, but it remained consistent as soon as the ballistic body touched the target point. On the other hand, the name of the ballistic body is given in relation to the semantic domain, and displayed so that it is easy to input and process in accordance with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This is because the semantic expansion of “V-dao” is connected while maintaining interrelationship.

      • KCI등재

        의미지도 모형에 근거한 부사 ‘还’와 ‘아직⋅여태’의 대조 분석

        李雲宰 ( Lee Woonjae ) 중국어문학회 2020 中國語文學誌 Vol.0 No.72

        We explored the degree of relevance between concepts by describing the meaning of adverbs ‘Hai’ and ‘Ajik’, ‘Yeotea’ and presented semantic map model based on this after establishing conceptual space for them. While the Chinese adverb ‘Hai’ is built as the conceptual space of ‘continuing, duplication, addition, degree’ and ‘modality’, Chinesen adverb ‘Hai’ and Korean adverb ‘Ajik’, ‘Yeotea’ are constructed as conceptual space of ‘continuous, reserved judgment’ and ‘(timely) not yet’ respectively. The semantic map confirms that the three vocabulary elements share the meaning of ‘continous’, and that the extended conceptual meaning from it has some universality but some individuality.

      • KCI등재

        현대중국어 명사중첩 AA, AABB의 개념적 의미와 양화 기능

        이운재 ( Lee Woonjae ) 한국중국언어학회 2020 중국언어연구 Vol.0 No.86

        This study discussed the conceptual meaning and quantificative function of noun reduplication AA and AABB from cognitive linguistics perspective. While the noun reduplication AA has the conceptual meaning of ‘people, space, time and event’, the noun reduplication AABB is divided into 10 categories based on conceptual similarity. According to the method of observation of the group, noun reduplication AA and AABB are divided into collective set and distribution set. While collective set has mental representation in a way that is interconnected by group members, distribution patterns have mental representation in which members of a group are distributed in a way that is independent of each other and individual members are highlighted. When the noun reduplication ‘AA’ is used in context situations in which it is provided the associated mental representation. When the noun reduplication ‘AABB’ is used in context situations in which it is not separable from member to member, it is represented as a collective set and the whole group is highlighted in context in which one event occurs sequentially, the group is represented as a distribution pattern, highlighting individual members.

      • KCI등재

        장형양사 `조(條)`의 범주 확장에 관한 연구 -범주화와 원형이론을 근거로-

        이운재 ( Lee Woon-jae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7 中國文學 Vol.91 No.-

        본고는 인지언어학의 원형이론과 범주화에 접근해 장형양사 `條`의 범주 확장 양상과 그에 적용되는 인지기제에 관해 살펴본 후 이를 토대로 의미 연쇄 모형을 구현하였다. 다양한 형상성 양사 중에서 장형양사 `條`는 기다란 형태를 속성으로 지니고 있으며 이와 결합되는 명사 역시 기본적으로 그러한 속성을 지니고 있다. 장형양사 `條`와 결합 가능한 명사는 구체명사 `根`에서 추상명사 `心得`에 이르기까지 범주가 확장되는데, 구체적 범주 `根`에서 벗어날 수록 기다란 속성은 퇴색되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하나의 범주를 이룰 수 있는 것은 유사성에 의해 연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범주화 양상은 새를 통해서도 설명할 수 있다. 새의 전형성에서 가장 좋은 보기인 참새는 원형적 구성원에 속하지만 날지 못하고 몸집이 큰 타조와 펭귄은 주변적 구성원에 속한다. 새의 범주에서 타조나 펭귄처럼 모호한 구성원 역시 새의 범주로 귀납시킬 수 있는 이론적 근거는 인지언어학의 방법론인 원형이론과 범주화를 통해 설명 가능하다. 본고는 인지언어학적 관점에 접근해 장형양사 `條`와 결속 가능한 명사 중에서 기다란 속성이 구체적으로 구현될수록 원형적 구성원으로 귀납시켰으며, 그 의미가 모호해질수록 주변적 구성원으로 귀납시켰다. 그런 연후에 인지기제인 개념적 환유와 개념적 은유를 적용해 장형양사 `條`의 범주가 확장되는 메카니즘을 밝혔다. 개념적 환유에서는 부분·전체라는 개념적 의미를 가지고 장형양사 `條`가 형태적 속성, 기능적 부분, 구조적 부분으로 범주화되는 양상을 논하였으며, 개념적 은유에서는 장형양사 `條`의 은유계층구조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 논의된 인지기제를 토대로 장형양사 `條`의 범주 구성원의 의미 연쇄 모형을 구현하여 범주가 확장되는 경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1차원 분류사의 범주 확장에 관한 연구

        이운재 ( Lee Woon-jae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文學 Vol.95 No.-

        본고는 원형범주이론에 근거해 1차원 분류사 ‘條’, ‘支’, ‘根’, ‘道’와 공기하는 명사부류의 범주 구성원과 범주 확장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았다. 1차원 분류사 ‘條’, ‘支’, ‘根’, ‘道’는 기본적으로 기다란 형태를 지닌 명사와 결합하고 있으며, 형태적 속성과 멀어질수록 가족유사성에 의해 하나의 범주 구성원을 이룬다. 이들은 원형적 구성원에서 명사부류의 선택이 중첩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주변적 구성원에서의 범주 확장은 상보적 분포가 나타난다. 이에 인지적 분석을 통해 1차원 분류사 ‘條’, ‘支’, ‘根’, ‘道’의 범주 확장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방사형 의미연쇄 모형과 범주 확장에 적용되는 인지기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1차 분류사 ‘條’, ‘支’, ‘根’, ‘道’의 명사에 대한 선택제한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本文基於範疇化與原型理論討論一維度分類詞 ‘條’, ‘支’, ‘根’, ‘道’的範疇擴張及其認知機制, 幷且在其討論的基礎下還描畵一維度分類詞的放射型意義連鎖模型。一維度分類詞的本義根據 『說文解字』來解釋。它們都具有長形, 因此將長形作爲它的重要屬性, 同它可共現的名詞一般都具有其屬性。一維度分類詞 ‘條’, ‘支’, ‘根’, ‘道’的範疇內部成之間形成不同的地位, 因此可以說它們根據相似性實現意義擴展。我們將一維度分類詞的範疇成員分爲原型成員和周邊成員進行考察, 然後, 根據認知機制, 卽槪念轉喩和槪念隱喩, 提現範疇擴張所采用的內在因素。他們範疇擴張能力在屬性及其功能 等方面起到重要作用。最終在上述討論的基礎下說明對於一維度分類詞 ‘條’, ‘支’, ‘根’, ‘道’範疇擴張的放射形意義鏈模式, 從中可以了解對一維度分類詞 ‘條’, ‘支’, ‘根’, ‘道’的對名詞選擇。

      • KCI등재

        현대중국어 형명이합동사 의미 확장 현상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이운재 ( Lee Woonjae ) 한국중국언어학회 2023 중국언어연구 Vol.- No.106

        本文从认知语言学的角度, 将形容词和名词为中心的扩展分为讨论。当形容词后跟名词宾语时, 形容词具有动词的特性, 不仅形容词的意义得到了扩展, 而且通过与后置宾语成分的组合, 进一步通过隐喻和转喻等方式产生了意义变化。在形容词和名词为中心的扩展中, 身体名词“心”大多是从心脏到心灵的隐喻扩展, 而在“空心”中, 它是从心脏到中心的隐喻扩展。形容词和名词为中心的扩展中, 身体名词“手”表示“权力”、“所有权”、“工作”等意义, 通常用于表达消极意义。地点名词“场”转化为器皿, “静场”、“冷场”、“清场”、“哑场”表示在器皿内充满了某种局面或气氛。 在形容词为中心的扩展中, 视觉形容词“清”经过抽象化过程从“清澈”扩展到“处理”、“清除”的隐喻意义, 而听觉形容词“闹”从基本意义“不安静”派生出“闹荒”、“闹气”、“闹事”等表示消极意义的意义。在形容词和名词为中心的扩展中, 形容词“红”和“黑”与身体名词相结合, 从颜色领域扩展到情感领域;尺寸形容词“短”从尺寸领域扩展到数量领域, “宽”从尺寸领域扩展到时间和情感领域。空间形容词“满”和“空”与仓库名词结合, 表示反义关系, 与各种名词组合, 扩展到数量领域、时间领域。 形容词和名词为中心的扩展通过形容词的意义扩展具有特殊的结构, 它可以接受名词作为目标语, 并以生动的方式表达说话者的情感、态度、地点氛围和事件状态等, 这是一种能够表达丰富情感和细节的语言形式。 From a cognitive linguistic perspective, this paper discusses the semantic extension of ‘adjective-noun’ compound-verb in Modern Chinese, categorizing them into noun-centric and adjective-centric extensions. When a noun object follows an adjective and the adjective takes on verbal characteristics, its meaning expands not only through the metaphor and metonym connections made with the noun object, but also through the additional semantic transformations that occur. For instance, while the body noun ‘心’ (heart) in ‘adjective-noun’ compound-verb usually metaphorically expands from the physical heart to the emotional heart/mind, in the compound ‘空心’ (hollow-hearted), it metaphorically expands from the heart to the center. Similarly, the body noun ‘手’ (hand) takes on meanings related to power, possession, and work, and is mostly used to express negative connotations. The location noun ‘场’ (field) transforms into a container and ‘静场’(quiet field), ‘冷场’ (cold field), ‘清场’ (clear field), and ‘哑场’ (silent field) all represent a state of the container being filled with a certain atmosphere or situation. As for adjective-centric extensions, visual adjective ‘清’ (clear) undergoes an abstraction process from its literal meaning to mean ‘dispose of’ or ‘remove’, whereas auditory adjective ‘闹’ (noisy) derives from its basic meaning ‘not quiet’ and forms negative compounds such as ‘闹荒’ (famine caused by disturbances), ‘闹气’ (discontent), and ‘闹事’ (disturbance). Color adjectives ‘红’ (red) and ‘黑’ (black) metaphorically extend from the realm of color to the realm of emotion when combined with body nouns, while dimensional adjectives ‘短’ (short) and ‘宽’ (wide) expand metaphorically from the realm of dimension to the realms of quantity, time, and emotion. Spatial adjectives ‘满’ (full) and ‘空’ (empty) form an oppositional relationship when combined with the location noun ‘仓’ (barn), but expand to the realms of quantity and time when combined with various other nouns. ‘adjective-noun’ compound-verb thus possess a unique structure of taking nouns as objects through the semantic extension of adjectives, and allow for the lively expression of the speaker’s emotions, attitudes, and the atmosphere of a place or ev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