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이미숙(Lee Me Suk),주영아(Ju Young Ah) 한국평생교육학회 2016 평생교육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삶의 질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구인을 밝히고, 삶의 질 향상 프로그램 실시집단이 무처치 통제집단에 비해 삶의 질 수준이 유의하게 향상하는지를 분석하여 삶의 질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내용구성은 문헌연구와 이론 및 상담현장 전문가들의 내용평정도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J시에 거주하는 35세부터 55세까지의 중년여성 24명을 선정하여 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12명씩 무선할당하고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주1회 90분씩 10주 동안 개발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는 우선 장영림(2014)이 개발한 삶의 질 척도와 김아영과 차정은(1996)이 개발하여 김아영(1997)이 수정 보완한 자기효능감 척도(Self Efficacy : SES)와 Reivich와 Shatte(2003)이 개발하고 김주환(2011)이 한국 실정에 맞게 구성한 한국형 회복탄력성 지수(KRO-53)를 27문항의 간편 질문지로 수정한 배혜련(2012)의 회복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과 회기별 경험보고서의 내용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삶의 질 전체와,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의 변화 수준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하였고 집단원의 경험내용과 회기별 목표의 일치도도 적합한 수준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검증하였고, 프로그램 활용과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riving factors of group counselling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s life quality improvement, and to prove such program s effectiveness by analyzing whether the group-counselling experience group s life quality could be improved comparing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not being given such a program. The contents composition of program being used in this study was made on the basis of literatures, relevant theories, and the results of professional counsellors contents evaluation. This study set 24 middle-aged women from 35 years to 55 years living in City J as subjects., and randomly alloted 12 women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given only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90 minutes/week for 10 weeks. As test tools, this study used the Life Quality Scale, which was developed by Yeong-Rim, Jang (2014), the Self-Efficacy Scale (SES), which was developed by A-Yeong, Kim and Jeong-Eun, Cha (1996) and later corrected & complemented by A-Yeong, Kim (1997), and the Recovery & Resilience Scale, with a corrected 27-item questionnaire by Hae-Ryen, Baeb (2012) on the basis of the Korean Recovery & Resilience Index (KOR-53) that Joo-Whan, Kim (2011) had reconstructed from the original Recovery & Resilience Index developed by Reivich & Shatte (2003). The data process was carried out with the SPSS 18.0 program and the contents analysis of experience report by segment.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 show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 entire life quality, self-efficac,y and recovery & resilienc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ose from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members experience contents and the conformity degree of goal by segment also showed an appropriate level. The results prove that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in improving middle-aged women s life quality. This study discussed the ways to utilize this program and a follow-up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